아파트 청약시장 양극화...경쟁률 극과 극
지난 8월 아파트 청약시장은 서울을 비롯해 지방 대도시에서 강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 중소형 건설사 브랜드와 서울에서 떨어진 경기도 외곽지역 분양 성적은 저조한 결과를 보여, '아파트 청약 양극화' 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분석됐다. 13일 부동산 플랫폼 업체인 직방은 '2023년 8월 청약결과' 자료를 통해 8월 1순위 청약경쟁률은 대전 68.7대 1, 서울 53.9대 1, 전남 5.6대 1, 광주 3.9대 1, 전북 2.7대 1, 경기 0.8대 1, 제주 0.2대 1, 경남 0.1대1 순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국 1순위 청약경쟁률은 20.3대 1로 7월 14.8대 1에 비해 상승했다. 서울의 경쟁률은 전월 대비 낮아졌지만 대전에서 높은 청약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청약미달률은 1순위 기준 7월 17.3%에서 8월 26.6%로 상승하면서 청약 흥행단지와 실패단지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했다. 8월 1순위 청약미달률은 서울, 대전, 전남이 0%, 광주 10.2%, 전북 13.3%, 경기 76.9%, 제주 77.5%, 경남 89.8% 순으로 조사됐다. 경기는 외곽지역에서 주로 분양이 이뤄지면서 청약미달률이 2023년 2월 이후 처음으로 70%를 넘어섰다. 대전은 편의시설 이용이 양호하고 건설사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로 인해 수요자의 관심을 끌면서 청약에 성공했다. 광주는 단지주변 편의시설과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 등 차이로 청약결과가 갈렸다. 각 지역 아파트 중 8월 1순위 청약경쟁률이 가장 높은 단지는 서울 성수동 청계 SK뷰로 무려 183.4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는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의 래미안라그란데가 79.11 대 1을 기록했고, 대전 서구 둔산자이아이파크 68.67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어 서울 구로구 호반써밋개봉이 25.24대 1의 청약결과를 나타냈다. 반면,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의 골든렉시움은 1순위에 1명도 청약을 하지 않았다. 이 같이 청약이 아예 안되는 지역들도 나타나고 있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분양 시장의 양극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최근 분양 시장의 특성을 고려할 때 양극화는 지속될 수 밖에 없다"면서 "모든 지역이 동일한 양상이 나타나기 보다는 서울, 수도권 중심으로 가격 회복세가 뚜렷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