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금률 높여 '빚투' 막기...효과는 '글쎄'
테마주 장세가 지속되면서 '빚투(빚내서 투자)' 우려가 깊어지자 증권사들이 증거금률을 상향하는 등 투자자 보호 조치에 나섰지만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에 이차전지 광풍으로 급격히 늘어난 코스피 신용융자 잔고는 지난달 11개월 만에 10조원을 기록한 후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증권은 지난 10일부터 POSCO홀딩스, LG에너지솔루션, 초전도체 테마주 대창 등의 증거금을 30%에서 40%로 높였다. 삼성증권은 앞서 지난 5월 에코프로 형제주에 대한 신용거래융자를 막고, 기존 신용거래 잔액은 만기 연장을 중단하기도 했다. 한국투자증권과 신한투자증권도 에코프로 형제주에 대한 신용거래를 중단한 상태다. KB증권 역시 지난 8일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 2차전지 종목에 대한 증거금률을 40%에서 100%로 올렸다. 증거금률이란 증거금으로 주식을 매수할 때, 투자자가 보유해야 할 현금 비중을 말한다. 이때, 증거금은 주식 등에서 결제를 이행하기 위한 보증금을 의미하며, 나머지 금액은 거래 이후 증권사에 납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증거금률이 50%이고, 현재 보유 예수금이 1000만원이라면 2배인 2000만원어치의 주식을 구매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1000만원을 증권사에 납부해야 하는데, 기한 안에 갚지 못할 경우 반대매매가 이뤄진다. 증거금률이 100%라면 미수거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반대매매 리스크가 차단된다. 2차전지 등 테마주 투자 열풍과 함께 신용공여 잔고가 크게 늘어나자 금융당국은 증권사에 '빚투 억제' 조치를 권고했다. 이에 따라 증권사들이 신용 이자, 증거금률 상향 등 투자자 보호 조치에 나선 모습이지만 효과는 미미하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신용공여 잔고는 20조3437억원으로 지난달 25일 이후 3거래일을 제외하고 20조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유가증권시장에서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10조원에 도달한 것은 지난해 9월 23일(10조279억원) 이후 처음이다. 신용거래융자란 증권사가 개인 투자자에게 담보를 잡고 일정 기간 주식 매수 자금을 빌려주는 대출을 의미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증권사 측에서도 시장 변동성이 크고, 이율 자체가 높지 않기 때문에 신용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면서도 "신용 이자나 증거금률을 올리는 등 투자자 보호 조치를 취하더라도 사용 할 사람은 하기 때문에 증거금률 상향이 신용거래 억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증거금률 상향 조정 등 과열된 빚투 억제는 증권사의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도 필요한 조치이다. 상반기 테마주 열풍으로 인해 증권사들은 거래 수수료 증가의 수혜를 입으면서 실적 선방에 성공했다. 리테일 부문 강자인 키움증권의 경우, 전 분기 대비 거래 수수료 수익이 17% 가량 늘기도 했다. 다만, 신용공여 잔고가 늘어난 만큼 빚투를 통해 이뤄진 거래 비율이 높고, 증권사들이 신용거래를 허락한 만큼 테마주의 주가 폭락 시 감당해야 될 위탁매매 미수금, 반대매매 리스크도 높아졌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투자자 보호 측면도 있지만 증권사 내부적인 리스크 관리들도 엮여 있는 사안"이라며 "증권사 입장에서도 리스크 관리 위해 신용 불가능으로 제한하고 싶지만 수요가 높기 때문에 쉽사리 막지 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