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투자, 하반기로 갈수록 회복 조짐…투자 업종도 '확대'
중기부, '3분기 투자액 및 펀드결성 동향 분석' 결과…투자액 7조6874억 집계 1.8조→2.7조→3.2조등 증가세…중기부 "21·22년 제외시 역대 최고 수준 예상" 투자, 비대면·바이오 집중서 2차 전지·디스플레이·반도체·ICT제조등 분야 확대 벤처투자가 하반기로 갈수록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투자가 일부 업종에 집중된 현상도 완화되고 있다. 9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3년 3분기 국내 벤처투자 및 펀드결성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3·4분기까지 벤처투자금액은 7조687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중소기업 창업투자회사 등과 신기술사업금융업자 등의 투자 실적을 모두 포함한 액수다. 3분기까지 누적 벤처투자금액은 2019년 5조4463억원, 2020년 5조4110억원이었던 것이 2021년(10조8679억원)과 2022년(10조2126억원)에는 10조원을 훌쩍 넘었었다. 중기부 관계자는 "지난 2021년과 2022년은 유동성 확대 등에 따라 투자가 이례적으로 급증했던 시기였다"면서 "올해 3분기까지 투자금액은 2020년의 연간 실적(약 8조1000억원)에 근접하고 있는데 21·22년을 제외하면 올해 투자액은 역대 최고 수준에 해당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올해의 경우 분기별 벤처투자액은 1조7822억(1분기)→2조7091억(2분기)→3조1961억원(3분기) 등으로 점차 증가세다. 신기술금융사를 제외한 창투사 등의 월별 투자실적도 1월 이후 꾸준히 늘고 있는 모습이다. 투자 분야도 다양화되고 있다. 2021년과 지난해의 경우 비대면, 바이오 등 코로나 관련 분야에 투자가 집중됐었다면 올해엔 2차 전지,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딥테크 및 국가첨단전략산업 분야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전기, 기계, 장비, ICT제조 등의 투자 비중이 늘고 있다. 한국의 벤처투자는 미국, 유럽 등 주요 지역에 비해서도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는게 중기부의 분석이다. 올해 3분기 현재 투자액은 달러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은 -39%, 유럽은 -47%, 이스라엘은 -62% 등 감소하는 등 한국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이다. '유럽'은 영국, 프랑스, 독일, 스위스, 스페인, 스웨덴 등 유럽 전 지역의 투자액을 합산한 수치다. 한편, 올해 3분기까지의 벤처펀드 누적결성액은 8조4482억원을 기록했다. 통상적으로 벤처펀드가 4분기에 가장 활발하게 결성되고, 모태펀드 1차 정시 출자사업에서 선정된 조합들의 결성도 4분기 중 완료될 예정인 점 등을 고려하면 연말까지 10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게 중기부의 관측이다. 이영 장관은 "올해 3분기 벤처투자 실적은 시장이 안정적으로 연착륙할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투자심리 회복을 가속화할 수있도록 글로벌 CVC와의 협력을 강화해 우리 스타트업의 해외투자 유치를 돕고, 스타트업코리아펀드 및 민간 벤처모펀드와 같은 벤처투자 가용재원을 두텁게 마련하는 등 필요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