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가 만난 기업人]고향 제주서 만든 초콜릿, 글로벌 시장 '공략'…제키스 정기범 대표
원료 공급하다 완제품 제조사 창업…낙향해 '제주의 맛' 초콜릿에 담아 제주서 생산하는 한라봉, 감귤, 백년초, 녹차, 복분자등 가미해 제품 선봬 카카오 함유량 높은 프리미엄 상품도 내놔…마카롱, 크런치등 제과류도 정 대표 "제주 넘어 육지, 글로벌 시장 공략…온라인으로 채널 다양화도" 【애월(제주)=김승호 기자】달콤한 향기가 난다. 제주공항에서 중문으로 가는 평화로를 차로 20여분 정도 달리다보면 만나는 제키스(JEKISS) 본사에 들어서자마자 코가 가장 먼저 반응한다. 제키스에는 '제주(Jeju)와의 달콤한 입맞춤(kiss)'이란 의미가 담겨있다. 초콜릿 공장 사명 답다. 제주에서 감귤초콜릿을 제조하는 기업 중 10년 넘게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회사가 바로 이곳 제키스다.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 해태제과, 오리온 등 초콜릿을 만드는 대기업을 제외하면 제키스는 육지에 있는 코롬방제과, 로얄제과와 어깨를 나란히하고 회사다. "제주에서 5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제조회사는 삼다수, 한라산 소주 그리고 우리 회사 정도일 것이다. 나도 고향이 제주다. 청정 제주에서 나는 특산물을 이용해 세계인이 찾는 명품 초콜릿을 만들고 싶어 고향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정기범 대표가 중소기업중앙회가 주최하는 '2023 제주 리더스포럼' 기간인 지난 13일 애월에 있는 회사를 찾은 기자들에게 자신과 회사를 소개했다. 정 대표는 대학 졸업후 싱가포르에 있는 회사에 처음 취업, 설비기계 영업을 했다. 5년 후 한국으로 돌아와 초콜릿 원료를 대기업에 납품하는 회사를 창업했다. 서른 초반 시절 사업가로서 초콜릿과 첫 입맞춤을 한 것이다. 초콜릿 원료를 다루다보니 완제품에도 욕심이 생겼다. 그래서 아예 초콜릿 공장을 차렸다. 2004년 서울에서의 일이다. 팜유 등 식물성유지를 넣은 컴파운드 초콜릿이 대부분이었던 당시 국내 시장에서 카카오버터를 함유한 '진짜 초콜릿'을 만들어보겠다는 일념에서 벌인 일이다. 카카오함유량이 50%를 넘는 '하이카카오'도 개발해 눈길을 끌었다. 판매도 제법 했다. 하지만 유사 제품들이 쏟아져나오면서 버틸 재간이 없었다. "당시 제주에서 생산하는 초콜릿은 제품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제주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품질 좋은 제주 초콜릿을 선물하고 싶었다." 고향으로 돌아와 초콜릿 사업을 시작한 정 대표는 2006년 당시 '제주웰빙'과 한라산 높이와 같은 '일구오공'이란 사명을 거쳐 지금의 제키스에 이르기까지 제주의 대표적인 초콜릿 회사로서의 명성을 차곡차곡 쌓기 시작했다. 제주의 자연이 선사하는 한라봉, 감귤, 백년초, 녹차, 복분자 등을 담은 초콜릿을 통해서다. 카카오 함유량이 92%에 달하는 '프리미엄 다크 초콜릿'도 제키스의 대표 제품 중 하나다. 초콜릿 뿐만 아니라 마카롱, 크런치 등 제과류까지 제품군을 확장했다. 물론 이들 제품 모두 청정 제주에서 나오는 원료들을 담았다. 정 대표는 "지난 3년의 코로나19가 많은 교훈을 줬다.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초콜릿은 방문하는 인원에 따라 매출이 정비례한다. 코로나19 기간 제주가 관광객들의 마음을 제대로 얻지 못한 것은 참 안타까운 일이다. 일부 초콜릿 회사는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한때 120억원까지 찍었던 제키스의 매출도 '사드(THAAD) 사태'로 중국 관광객이 크게 줄며 급감했다. 설상가상으로 코로나19까지 터지며 2019년엔 매출이 최고점의 절반 수준인 60억원대까지 떨어졌다. 다행히 지난해부턴 서서히 반등하며 90억원대까지 올라섰다. "코로나를 겪고나니 온라인 판매와 해외시장 공략에 더욱 눈을 뜨게 됐다. 제주를 벗어나 육지도 눈여겨보게됐다. 미국, 러시아, 싱가포르, 태국, 두바이 등으로까지 해외 판매망을 넓혀나가고 있다. 10월부터는 일본시장에도 다시 진출 기회가 생길 것 같다. 현재 매출 기준으로 비중은 제주가 40%로 가장 높고 30%는 수출, 나머지 30%는 육지에 판매하고 있다." 해외에서 첫 직장 생활을 시작한 정 대표가 육지를 거쳐 고향 제주로 돌아와 만든 초콜릿이 다시 육지를 넘어 글로벌 시장을 넘보고 있는 것이다. 해외여행을 갈때마다 한국인의 손에 하나씩 들려오던 '○○초콜릿'이, 이젠 한국을 찾는 외국인이나 해외 여행을 가는 우리의 손에 '제키스' 브랜드 초콜릿으로 바뀔 날도 머지 않은 셈이다. "제주에서 만들다보니 물류 비용이 많이 드는게 가장 큰 애로다. 물류비는 전체 매출의 1%나 차지한다. 또 민간기업이 원료 가공을 위한 설비까지 갖추기엔 부담이 너무 크다. 지역에서 나오는 농산물들을 1차 가공할 수 있는 설비가 절실하다. 이런 것은 자치도에서 투자나 지원을 해줘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