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화업계 상반기는 ‘구름’…스페셜티 사업으로 2분기 승부수 띄우나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이 대내외적 영향으로 1분기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어려운 업황 속에서도 '선방'했다는 평을 듣는다. 하지만 회복될 줄 모르는 글로벌 경기 침체 상황에 상반기 반등은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을 제외한 주요 석유화학 기업들의 실적이 거의 발표를 끝마쳤다. 올해 들어 중국의 본격적인 리오프닝 영향을 기대하며 석유화학 업계의 실적 상승을 기대했지만, 했지만 1분기 실적은 지난해보다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진한 업황을 감안하면 선방한 것으로 평가된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봉쇄 이후 줄어든 중국 내 수요 회복은 더딘 편이다. 유가가 올라 원유 기반의 나프타 가격도 높아져 화학제품 수요도 위축됐다. 여기에 석화 업계의 수익성 지표로 꼽히는 에틸렌 스프레드(에틸렌 가격에서 나프타 가격을 뺀 가격) 가격 회복이 더뎌 영업이익은 낮을 수밖에 없었다. 에틸렌 스프레드는 올해 1분기 내내 손익분기인 톤당 300달러 아래에 머물렀다. 손익분기가 톤당 300달러 이하가 되면 '만들수록 손해'라는 공식이 적용된다. 실제로 LG화학은 올해 1분기 석유화학 사업에서 508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작년 4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적자를 낸 것이다. LG화학 측은 글로벌 경기 둔화로 가전과 건설 업황 침체가 지속되면서 주요 제품 수요가 줄었고, 영업이익도 동반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1분기 LG화학 콘퍼런스콜에서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 사장은 "글로벌 경기 둔화가 계속되면서 소비 및 투자, 환율 등 불확실한 환경이 지속되고 있다"며 '험난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면서도 "2분기부터는 성수기 진입 및 점진적 수요 회복세로 석유화학 사업은 흑자 전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도 화학 시황 악화로 인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37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86.9%로 떨어졌다. 금호석유화학 1302억원의 1분기 영업이익을 올렸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1% 감소한 수치다. 11일 실적 발표를 예고한 롯데케미칼도 올해 1분기 1448억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석유화학 제품 수요 부진에 공급 과잉까지 동시에 일어나면서 실적 부진이 이어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석화 업계는 원자재 가격에 큰 영향을 받는 업황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신사업 매출 비중을 늘리며 새로운 기회를 찾아 나서고 있다. 신사업을 내세운 한화솔루션과 LG화학은 석화업황에 영향을 덜 받은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LG화학은 첨단소재, 생명과학에서도 영업이익을 올리고 배터리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이 8523억원 영업이익을 올리며 적자폭을 대폭 감소시켰다. 한화솔루션은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를 신사업으로 내세우며 1분기 반등의 주역이 됐다. 한화솔루션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3조1002억원, 영업이익 2714억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은 8.9%, 영업이익은 85.1% 증가한 수치다. 당기순이익만 29.4% 증가한 1334억원으로 집계됐다. 금호석유화학도 사업 다각화에 초점을 맞춘다. 핵심사업에선 타이어용 고형 합성고무와 라텍스 제품의 시장 지배력을 높이고, 기초사업 부문에서는 합성수지 판매 범위 및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 전략을 추진할 예정이다. 여기에 배터리 소재로 사용 가능한 탄소나노튜브(CNT)의 제품 경쟁력 확보에 공을 들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