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K-바이오 랩허브' 송도에 만든다
美 보스턴 혁신 클러스터 벤치마킹…4만㎡ 공간에 2700억 투입 중소벤처기업부가 윤석열 대통령 미국 순방을 계기로 인천 송도에 'K-바이오 랩허브'를 2025년까지 완성한다. 이는 미국 보스턴 혁신 클러스터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3일 중기부에 따르면 송도 4만㎡ 공간에 들어설 K-바이오 랩허브는 총 2700억원을 들여 의약·바이오 분야 창업기업들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후보물질 발굴부터 사업화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K-바이오 랩허브의 벤치마킹 대상인 '보스턴-캠브리지'는 '지구상에서 가장 혁신적인 1 스퀘어마일(2.59㎢)'로 불리는 세계 최고의 혁신 클러스터로 꼽힌다. COVID-19 mRNA 백신을 개발한 모더나, 로봇개로 유명한 보스턴 다이나믹스 등 글로벌 혁신 기업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 대통령 순방에 동행한 이영 중기부 장관은 지난달 28일 보스턴에서 열린 '한미 클러스터 라운드 테이블'에 참여해 미국측 관계자들과 한미 클러스터 혁신전략 등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다. 당일 라운드 테이블 행사에는 세계 최고의 의료·바이오 임상 연구 기반을 가진 메사추세츠 종합병원(MGH) 데이비드 브라운 원장, 글로벌 바이오 스타트업 인큐베이션 전문회사 요하네스 프로이하우프 랩센트럴 대표 등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 주요 구성원이 참석했다. 특히 모더나,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최고경영자(CEO), 미국 시총 1위(약 590조원) 바이오제약사인 존슨앤존슨 부회장, 3대 컨설팅 회사 중 하나인 매킨지와 베인캐피탈의 파트너, 보스턴 생태계 진출에 성공한 제노스코의 고종성 대표 등 11명의 한미 클러스터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혁신 클러스터의 성공요인과 한·미 협력방안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에 앞서 보스턴 혁신 클러스터의 성공 요인이 'K-바이오 랩 허브'에 성공적으로 이식되고 양국 클러스터 주체들 간 공고한 협력 기반이 마련될 수 있도록 보스턴 랩센트럴과 K 바이오 랩허브 간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MGH와 KAIST 협력 MOU, 모더나와 KAIST 인력양성 MOU 등도 진행됐다. 이와 별도로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다쏘시스템과 협력해 AI, 바이오 등 보스턴 클러스터와 관련도가 높은 분야의 한국 스타트업 14개사가 미국의 기술·마케팅 전문가 및 노무·특허·투자 전문가 등과 만나 현지 진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중기부에 따르면 한·미 정상회담이 이뤄진 워싱턴 D.C.에선 지난달 25일 경제사절단 및 현지진출 중소기업을 격려하기 위한 네트워킹 만찬이 열린 가운데 최대 5000억원 규모의 기술 수출을 포함한 양국 기업 간 MOU 6건이 체결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중기부는 UL Solutions와 신산업 분야 한국 스타트업의 미국 실증사업 추진 등과 관련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데 이어 이와 연계한 순방 후속조치로 '글로벌 혁신 특구 조성방안'을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 조주현 중기부 차관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동맹은 '가치동맹'의 주춧돌 위에 안보동맹, 산업동맹, 과학기술동맹, 문화동맹, 정보동맹이라는 다섯 개의 기둥이 세워졌다"면서 "이를 토대로 중소벤처분야에서도 더욱 견고한 양국 협력이 이뤄지고, 이는 수출 드라이브와 스타트업 코리아의 성공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