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봄봄봄] 마지막 제주 국제'전기차'엑스포 가봄, 규모 대신 실속 차렸다

새로운 시작을 앞둔 국제전기차엑스포(IEVE)는 볼거리가 많진 않아도 실속이 있었다. 2일부터 5일까지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와 중문단지 일대에서 열리는 IEVE는 단순히 규모로 보면 크지 못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을 비롯한 주요 완성차도 참여하지 않았다. BMW 공식 딜러사 도이치모터스가 대신 전기차 라인업을 전시하고 테슬라가 소규모 시승을 제공할 뿐이었다. 그렇다고 의미가 작지는 않았다. 이미 전기차가 보편화된 만큼 단순한 전시보다는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현실적 논의와 공론에 초점을 맞췄다는 게 김대환 국제전기차엑스포 이사장 설명. 실제로 전시장은 업계 관계자들의 네트워크 활동으로 시끌벅적했다. 국제컨벤션센터 1층이 메인 무대다. 행사장은 대기업이 점유하는 여느 박람회와는 달리, 중소기업과 학교, 연구소 등이 작지만 알찬 부스를 통해 실속있는 교류를 나눴다. 관계자들은 서로 부스를 공유하고 인사를 나눴다. 일부는 행사가 끝난 후 만남을 약속하기까지 했다. 업체도 다양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가 아이오닉5로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부스를 넘어서면 삼륜 전기 오토바이를 전시한 BSP를 비롯한 B2C는 물론, 다양한 부품 업체들이 저마다 인정받은 금형 등 가공 기술로 만든 부품과 함께 새로운 고객사를 기다리고 있었다. 미래 모빌리티 난제인 에너지 문제도 논의됐다. 한국전력공사가 전기차 충전솔루션부터 발전까지 망라하는 미래 계획을 소개하고, 충전 솔루션 업체 PEP도 전기 오토바이를 위한 충전기를 전시했다. 미래 로봇 기술도 여럿 자리잡았다.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이 만든 수소전지 파워트레인을 활용한 소형 로봇과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서 내놓은 청소 로봇 한아 등이 이목을 사로잡았다. 지자체와 지역 대학들도 동참했다. 다음달 예정된 광주미래산업엑스포를 비롯해 광주경제자유구역청과 경기경제자유구역청, 대구경제자유구역청과 함께 영남대학교 미래차전환부품사업단과 울산대 등 지역 대학교 등이 다양한 기술과 제품들을 소개하며 미래 발전과 투자 유치를 노렸다. 제주중국상회와 주한필리핀대사관, 한아세안센터 등 국가적으로도 IEVE에 합류해 협력을 모색했다. 행사장을 가장 많이 채운 것은 단연 대학생들이었다. 자율주행경진대회를 위해 전국에서 제주로 몰려든 것. 소형 전동차를 활용해 행사장을 누비며 시험 주행을 이어가고 있었다. 참가만이 아니라 박람회를 누비며 새로운 기술을 느끼고 결의를 다지는 모습이다. 그 밖에 1층에는 도이치모터스의 BMW 전동차와 함께 제주도미래혁신관이 지역 발전을 위한 노력을 소개하고 있었다. 전동화 및 수소전지 선박 모델과 함께 리텍과 우진산전의 전기버스도 야외에서 관람객들을 맞이했다. /제주=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

2023-05-03 10:10:23 김재웅 기자
기사사진
SK이노베이션 '그린픽쳐' 캠페인에 '민중의 여신' 등장…“넷제로 혁신 주도"

SK이노베이션이 새로운 60년의 시작과 올 타임 넷제로(All Time Net Zero) 실행 원년을 맞아 넷제로 달성 의지를 담은 새 브랜드 캠페인을 선보인다. SK이노베이션은 SK이노베이션 계열의 탄소 감축 비전과 실행의지를 표현한 2023년 브랜드 캠페인 '그린픽쳐(Green Picture)'를 전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시리즈로 제작돼 SK이노베이션을 시작으로 사업 자회사들까지 순차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그린픽쳐 캠페인은 명화 패러디, 인공지능(AI)이 제작한 그림 등을 활용해 SK이노베이션 계열의 그린 비즈니스 추진 현황을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표현했다. 각 사의 넷제로 달성 노력을 친근하고, 유쾌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SK이노베이션은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1830, 들라크루아 作)'을 패러디해 넷제로 혁신을 주도해 가는 SK이노베이션의 의지를 강조했다. SK이노베이션은 카본 투 그린(Carbon to Green) 전략을 통해 탄소에서 그린으로 사업구조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창립 60주년을 맞아 넷제로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올 타임 넷제로를 선언했다. 이는 창립 100주년이 되는 2062년까지 창립 이후 직접 배출한 4.8억톤의 탄소를 모두 감축하겠다는 도전적인 목표다. SK이노베이션은 올 타임 넷제로 달성을 위해 전기 중심 사회로의 전환(Electrification)을 위한 청정 에너지 생산, 리사이클 밸류 체인 확보 등 뉴 그린 포트폴리오 구축에 매진하고 있다. 임수길 SK이노베이션 밸류크리에이션센터장은 "올해는 올 타임 넷제로 실행 원년이자, 새로운 60년의 시작"이라며 "그린픽쳐 캠페인을 통해 SK이노베이션의 넷제로 비전과 달성 의지를 이해관계자들에게 쉽고 친근하게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2023-05-03 10:05:15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SK지오센트릭, 캐나다 루프사와 합작법인 설립 계약

SK지오센트릭이 울산에 세계 최초 플라스틱 재활용 종합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 중인 가운데, 재활용 핵심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과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 SK지오센트릭은 캐나다의 루프(Loop Industries)와 합작법인 설립 계약(JVA)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체결식은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 다니엘 솔로미타(Daniel Solomita) 루프 CEO 등 양사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온라인 화상 연결로 진행됐다. SK지오센트릭과 루프는 51대 49 비율로 각각 지분 투자해 합작법인을 연내 설립 예정이다. 이 합작법인은 SK지오센트릭이 2025년 완공을 목표로 구축중인 플라스틱 재활용 종합 클러스터(울산 ARC?Advanced Recycling Cluster) 내 연 7만톤 규모의 해중합 재활용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루프는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의 일종인 해중합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해중합 기술은 유색 페트(PET)병, 폐폴리에스터 섬유 등 플라스틱을 이루는 큰 분자의 중합을 해체시켜 플라스틱 기초 원료 물질로 되돌리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재생수지로 다시 재활용이 가능해진다. 아시아는 글로벌 제조업 중심지로 페트(PET)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가장 많이 생산되는 지역 중 하나다. 특히, 폴리에스터로 만든 스포츠의류, 봉제원단, 현수막 등은 현재의 기술로는 재활용이 어려워 주로 소각-매립되고 있다. SK지오센트릭 측은 "합작법인 공장이 설립되는 2025년 이후엔 이러한 폴리에스터 섬유도 재활용이 가능해져, 버려지는 쓰레기를 줄이고 환경오염 방지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한 합작법인은 아시아에서 해중합 기술 상업화의 독점적 권리도 갖게 된다. 양사는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30년까지 아시아에서 최소 3개 이상의 해중합 공장 건설 목표를 세웠다. 이를 통해 재활용 플라스틱 수요를 선점할 계획이다. SK지오센트릭은 유럽에서도 루프와 협력하며 플라스틱 재활용 합작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양사는 프랑스의 환경전문기업 수에즈(SUEZ)와 함께 프랑스 북동부 생타볼 지역에 오는 2027년까지 연간 7만톤 규모의 재활용 공장설립을 목표로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은 "이번 합작법인 설립 계약으로 재활용 공장 건설 구체화는 물론 세계 최고의 리사이클링 소재 기업(Global No.1 Recycling Material Company)이라는 목표에 한발 더 다가서게 됐다"며 "루프와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글로벌 폐플라스틱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니엘 솔로미타 루프 CEO는 "SK지오센트릭과 수년간 긴밀한 협력으로 페트(PET)와 폴리에스터 섬유의 순환경제를 구축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자랑스럽다"며 "아시아지역 합작 공장 설립을 통해 폴리에스터 섬유를 활용하는 글로벌 브랜드 고객들도 순환경제 구축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3-05-03 10:01:41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LG전자, 렉스턴 신형 모델에 '마이카 알람 서비스' 첫 도입…TV로도 커넥티드카

LG전자가 주차 중 차량 상태를 스마트폰 뿐 아니라 TV로도 알려주는 서비스를 론칭했다. LG전자는 3일 '마이카 알람 서비스'를 공개했다. KG모빌리티 신차인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과 렉스턴 뉴 아레나에 처음 탑재된다. 마이카 알람 서비스는 주차 중 차량 정보를 TV로 알려주는 기능이다. 스마트 TV 기반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주차된 차에 충격이나 전기차 배터리 충전 상태, 문 열림 사고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LG전자는 이를 통해 스마트폰을 곁에 두지 않고 TV를 보다가도 주차 차량 돌발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했다. 커넥티드카 앱을 스마트폰에서 TV로도 확대한 것. 아울러 LG전자는 신차 출시와 계절성 이벤트 등 프로모션 정보, 유용한 콘텐츠 등도 TV로 전달할 수 있어 완성차 업체가 다양한 용도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마이카 알람 서비스는 webOS23을 탑재한 스마트 TV와 함께, 안드로이드OS를 사용하는 셋탑박스에도 LG 마이카 알람 앱을 설치해 사용할 수 있다. KG모빌리티 신차의 경우 스마트폰앱인 인포콘과 연결된 TV에 연동하면 된다. LG전자는 마이카 알람 서비스를 블랙박스와 내비게이션 등 플랫폼 업체로도 확대하며 서비스를 늘릴 계획이다. LG전자는 가전과 IT 제품에서 쌓은 노하우를 모빌리티에도 확대 적용하는 과정에서 마이카 알람 서비스를 개발했다. 앞으로도 부품 제조사를 넘어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영역을 확대한다는 포부다. LG전자 VS사업본부장 은석현 부사장은 "자동차 산업이 적극적으로 고객과 교류하는 시대로 변하고 있다"며 "LG전자의 풍부한 고객경험 노하우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혁신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기회를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

2023-05-03 10:00:04 김재웅 기자
기사사진
[공기업] 인천공항공사, 위험성평가 우수사례 발굴해 안전관리 강화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우수사례 발굴 및 확산으로 인천공항 내 사업장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2일 공사 회의실에서 '2023년 인천공항 위험성평가 경진대회'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위험성평가는 사업장 내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한 후 부상 또는 질병 발생 감소를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공사는 인천공항 내 위험성평가 제도 정착 및 확산을 위해 지난 4월 초 '2023년 인천공항 위험성평가 경진대회'를 개최해 참가자를 모집하고 서류심사를 진행해 왔다. 이번 경진대회에는 공사 직영 및 도급·발주사업을 담당하는 26개 사업소가 참가하였으며, 이날 시상식에서는 서류심사를 통과한 5개 사업소의 우수사례 발표와 우수 사업소에 대한 시상이 진행됐다. 최종 심사 결과, 대상은 ▲인천공항시설관리(주)(기계시설 유지관리사업), 최우수상은 ▲인천공항시설관리(주)(T1 수하물처리시설 유지관리사업), 우수상은 ▲KCC건설(주)(4단계 첨단복합항공단지 개발 부지조성사업) ▲인천국제공항보안(주)(외곽경비사업) ▲인천공항시설관리(주)(승강시설 유지관리사업)이 각각 수상했다. 공사는 이번 우수사례를 공항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사례집을 제작해 현장에 배포할 계획이다. 이경용 인천국제공항공사 안전보안본부장은 "이번 경진대회 외에도 각 사업장의 자율적 안전보건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함으로써 인천공항 내 안전문화를 확산하고 중대재해를 예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3-05-03 09:59:02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SK온, 美 웨스트워터와 음극재 공동 개발…"IRA 대응"

SK온이 미국 광물개발 기업들과 연이어 음극재 개발 협력에 나섰다. 3일 SK온은 웨스트워터 리소스(Westwater Resources· 이하 웨스트워터)와 배터리 음극재 공동개발협약(Joint Development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SK온 배터리에 특화된 친환경 고성능 음극재를 연구·개발할 예정이다. SK온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대응을 위한 현지 공급망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을 구사할 예정이다. 웨스트워터에서 정제한 흑연으로 만든 음극재를 SK온이 개발 중인 배터리에 적용하고, 그 성능을 함께 개선해 나갈 계획으로, 협업 기간은 3년이다. 개발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SK온은 웨스트워터로부터 음극재를 공급받아 미국 내 SK온 배터리 공장에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1977년에 설립된 웨스트워터는 미국 나스닥 증시에도 상장됐다. 초기 우라늄 관련 사업을 펼쳤으나 2018년 흑연 업체를 인수한 뒤 배터리용 음극재 개발 기업으로 변신했다. 웨스트워터는 미국 앨라배마주에서 1만 7000헥타르(ha)에 이르는 쿠사 흑연 매장 지대의 탐사·채굴권을 갖고 있다. 현재 광산 근처에 2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흑연 정제 공장을 짓고 있다. 연산 7500톤 규모의 이 공장은 올해 말 시운전을 거쳐 2024년 상반기부터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음극재는 양극재?분리막?전해질과 함께 리튬이온 배터리를 구성하는 4대 요소다. 배터리의 수명, 충전 속도 등을 좌우한다. 현재 원소재로는 주로 흑연이 쓰이고 있다. 음극재는 특정 국가 의존도가 매우 높아 배터리 기업들은 공급망 다각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지난해 하반기에 발간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음극재 생산의 85%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 앞서 SK온은 지난 1월 우르빅스(Urbix)사와도 음극재 공동개발협약을 발표하고 북미 현지에서 주요 배터리 소재 확보 역량을 높였다. 우르빅스는 현재 애리조나주에 연산 약 1,000톤 규모의 음극재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생산규모를 2025년까지 연산 2만 8,500톤까지 확장하는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선희영 SK온 선행연구담당은 "현지 공급망을 강화해 IRA에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이를 위해 현지 유력 원소재 기업들과의 협업을 꾸준히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렌스 크라이언 (Terence Cryan) 웨스트워터 회장은 "글로벌 선도 배터리 제조사와 협력할 수 있어 기대가 크다"며 "이번 협약은 미국에서 배터리용 천연흑연 확보 옵션이 될 수 있어 향후 SK온에게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2023-05-03 09:51:29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SK(주) C&C, 'AI 뇌출혈 영상 의료 솔루션'효과 글로벌 논문 게재

SK㈜ C&C가 개발한 AI 뇌출혈 영상 의료 솔루션 '메디컬 인사이트 플러스 뇌출혈(Medical Insight+ Brain Hemorrhage)'의 효과성을 입증한 논문이 국제 학술 저널에 실렸다. SK㈜ C&C는 3일, 'AI 뇌출혈 영상 의료 솔루션 효과성에 대한 논문'이 네이처 파트너 저널(Nature Partner Journals, npj)인 '디지털 메디신(Digital Medicine)'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네이처 파트너 저널 '디지털 메디신(npj. Digital Medicine)'은 과학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네이처 리서치(Nature Research)의 인공지능의학 전문 저널이다. 2018년 1월 출범 이후 네이처 파트너 저널 중 가장 영향력 있고 인기 있는 저널로 꼽히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윤태진 교수와 아주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최진욱 교수가 주 저자로 집필한 '딥러닝 기반의 뇌출혈 자동 탐지 알고리즘 : 무작위 확증 임상시험(Deep learning based automatic detection algorithm for acute intracranial haemorrhage: a pivotal randomized clinical trial)' 논문에는 총 7명의 연구 교수진이 함께했다. '메디컬 인사이트 플러스 뇌출혈'은 뇌 CT 영상을 수초 내로 분석해 출혈 위치와 이상 여부를 의료진에게 바로 알려주는 AI 뇌출혈 진단 보조 솔루션이다. 이번 연구에서 비영상의학전문의들이 AI 뇌출혈 진단 보조 솔루션의 도움을 받으면 영상의학전문의 수준의 진단 결과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입증됐다. 의료진을 전공별로 ▲비영상의학전문의 ▲영상의학전문의 ▲신경두경부 영상의학전문의 그룹으로 나워AI가 뇌출혈 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AI의 도움을 받았을 때 진단 정확도의 향상을 보였다. 특히 비영상의학전문의의 경우 가장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동준 SK㈜ C&C Healthcare그룹장은 "이번 논문은 영상의학 전문의가 24시간 대응하기 어려운 의료환경에서 응급실 현장 의료진이 골든타임이 3시간에 불과한 뇌출혈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데, AI 솔루션이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메디컬 인사이트 플러스 뇌출혈이 활용될 수 있도록 임상 적용을 확대해 가겠다"고 말했다.

2023-05-03 09:21:42 최빛나 기자
기사사진
대동, 5월 맞아 '오늘과 내일의 농업' 이벤트 열어

5~7일 수원 국립농업박물관서 오프라인 행사…인스타 이벤트도 대동이 5월을 맞아 자녀와 부모가 농업의 현재를 체험하고 미래를 생각하는 '오늘과 내일의 농업' 이벤트를 진행한다. 3일 대동에 따르면 경기 수원에 위치한 국립농업박물관에서 5일부터 7일까지 열리는 오프라인 행사는 ▲오늘은 내가 농부 ▲미래농업 알록달록 색칠하기 를 진행한다. '오늘은 내가 농부'는 어린이가 농부, 트랙터 정비공, 운반차 라이더 복장 중 하나를 갖추고 국내외 농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대동의 트랙터 및 운반차 등 농기계에 탑승해 기념 촬영을 할 수 있다. '미래농업 색칠하기'는 대동이 만들길 원하는 자율주행 트랙터, 농업용 로봇, 스마트 팜 등의 미래농업 일러스트 도안에 어린이가 자유롭게 색칠해 현장 제출하면 뽑기 참여권을 제공하는 이벤트로 매일 보호자 동반 최대 1000명까지 참여할 수 있다. 뽑기를 통해 대동과 국립농업박물관이 준비한 트랙터 장난감, 트랙터 키링(열쇠고리), 연필, 텀블러 등의 선물들 중 하나를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대동 인스타그램에서에서 더 나은 농업 환경을 위한 플로깅 키트 증정 및 인증 이벤트인 '대동 플로깅 디데이'도 진행한다. 대동 박지성 현장경영실장은 "76년간 농업의 미래를 만들어가는데 앞장섰던 기업으로써 지속 가능한 농업의 중요성에 대해 더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시간을 만들기위해 이벤트를 준비했다"면서 "농업의 발전과 미래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행사에 참여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2023-05-03 09:21:10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공영홈쇼핑, '바다어부'등 간판 프로그램 새단장

방송시간대 옮기고 재미, 소비자 만족도 더해 공영홈쇼핑의 최장수 프로그램인 '국민 장보기 TV하나로마트', '바다어부', '피팅룸'이 새단장한다. 3일 공영홈쇼핑에 따르면 'TV하나로마트'는 개국 첫 해인 2015년 12월부터 매주 화요일 방송하는 국내산 농축산물 전용 프로그램이다. 그동안 오후 5시40분(1부)에 프로그램을 운영했지만 이번 개편에선 9일부터 아침시간대로 옮겨 오전 8시20분(1부)에 시작한다. 2부는 종전과 같이 저녁 9시45분에 방송한다. 오전 방송에서 주문한 상품은 당일출고, 이튿날 배송이 가능해져 더욱 다양한 고객층에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지 이원생방송도 진행한다. 사과, 복숭아, 만감류 등의 신선식품은 산지에서 LTE 생중계를 통해 현장감을 살려 상품성을 강조하고 해당 상품을 바로 고객에게 배송함으로써 생산자와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대한민국 수산물 대표 프로그램인 '바다어부'는 작년 8월 '어랍쇼'에서 이름을 바꾼 수산물 전문 프로그램이다. 2015년 10월21일 영광 굴비를 시작으로 매주 수요일 오후 5시40분 방송한 공영홈쇼핑의 대표 장수 프로그램이다. 방송 시간대는 오후 7시40분으로 바뀌었다. 일과 후 저녁 시간에 시청하는 고객들이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는 판단에서다. 또한 '바다한끼'라는 새로운 코너를 추가해 재미를 더한다. 캠핑요리 컨셉의 코너로 어종별 요리방법 등을 소개하고 이를 모바일로 촬영해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등에 업로드 해 SNS를 통한 소통도 강화할 예정이다. 매주 수요일 오전 8시20분에 방송한 '피팅룸'도 대표 패션 프로그램이다. 작년 5월11일 론칭해 1년간 많은 관심을 받았다. '피팅룸'은 런웨이 방식의 모델링 존을 만들고 스크린 바 뒤에서 모델이 나오는 스튜디오 리뉴얼 및 연출 방법을 활용해 방송의 재미와 상품의 특징을 강조한다. 이번 '피팅룸' 리뉴얼에 역점을 둔 부분은 트랜드 분석존 추가다. 상품 설명존에서 1차로 제품을 설명한 후 트렌드 분석존으로 이동해 쇼호스트가 패션 트랜드를 분석하고 해당 상품을 활용한 코디로 런웨이를 진행한다. 공영홈쇼핑 방송제작실 박인철 실장은 "20~30대 뿐만 아니라 중장년층도 TV홈쇼핑을 비롯해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나 SNS, 쇼츠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상품의 정보와 리뷰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구매를 결정한다"며 "고객의 니즈와 트렌드, 편의성 등을 반영한 이번 봄 개편에 많은 소비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2023-05-03 09:06:06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국내 완성차 업계 실적 '청신호'…흑자전환속 판매량 상승

국내 완성차 업체가 신차 흥행에 힘입어 성장세를 기록했다. 다만 르노코리아자동차는 수출 선적 스케줄 조정에 따른 영향으로 부진한 성적표를 기록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4월 국내 완성차 5개사(현대차·기아·KG모빌리티·르노코리아·한국지엠)는 국내외 시장에서 총 65만 6478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4월 59만5569대 대비 9.8% 성장한 수치다. 올 상반기 이같은 성장세를 유지한다면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한 중견 완성차 3사의 실적 상승세는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지난달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한 33만6212대를 판매했다. 국내 판매는 12.2% 늘어난 6만6660대, 해외 판매는 7.6% 증가한 26만9552대로 집계됐다. 내수 실적을 보면 세단은 그랜저가 9997대로 1만대 가까운 판매고를 올리며 신차 효과를 이어갔고 쏘나타 2232대, 아반떼 5278대, 아이오닉6 1316대 등 총 1만8823대가 팔렸다. 레저용 차량(RV)은 2만1349대를 판매했다.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는 G90 1023대, G80 4573대, GV80 2916대, GV70 2766대 등 모두 1만2187대를 판매했다. 내수 친환경차 판매는 1만8191대를 기록해 전년 동월보다 46.1% 성장했다. 기아는 지난달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4만9086대, 해외 20만9945대, 특수 493대 등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25만 9524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국내는 1.8% 감소했지만, 해외는 10.9% 증가한 수치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판매될 모델은 쏘렌토로 6835대를 기록했다. 세단은 레이 4158대, K8 4011대, K5 2739대, 모닝 2164대 등 총 1만4225대가 판매됐다. RV는 쏘렌토를 비롯해 카니발 6481대, 스포티지 6282대, 셀토스 4119대, EV6 2694대 등 총 2만9489대가 판매됐다. 해외 시장에서는 스포티지가 3만 7363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다. 이어 셀토스가 2만2182대, K3(포르테)가 1만5156대로 뒤를 이었다. 한국지엠은 트레일블레이저와 트랙스 크로스오버의 인기에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한국지엠은 지난달 내수 5230대, 수출 3만6003대 등 전년 동기 대비 108.4% 늘어난 총 4만 1233대를 판매했다. 내수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77.2% 늘어났으며 해외는 113.9% 증가했다. 내수 시장은 본격적인 고객 인도가 시작된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한 달간 3072대 판매되며 전체 판매량을 견인했다. 한국지엠의 해외 판매는 13달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뷰익 앙코르 GX 포함)는 지난달 총 2만2693대가 해외 판매되며 전년 동월 대비 183.6% 증가세를 기록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높은 인기를 입증했다. KG 모빌리티는 지난달 중형 SUV 토레스의 판매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총 9929대를 판매했다. 토레스는 지난해 7월 출시된 이후 누적 판매 4만대를 돌파했다. 4월 내수 판매량은 5583대로 전년 동기 대비 15.4% 증가했으며 수출은 4346대로 전년 동기 대비 31.7% 상승했다. KG모빌리티는 수출 물량 증가를 위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SNAM사와의 KD 협력사업은 올해 9월부터 선적이 시작될 예정이며, 지난 2월에는 아랍에미레이트(UAE)의 NGT사와 수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3월에는 베트남 킴롱모터스와 2024년 연간 1만5000대를 시작으로 2029년까지 총 21만 대 KD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반면 르노코리아자동차는 글로벌 시장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르노코리아는 지난달 내수 1801대, 수출 7779대로 전년 동기 대비 52.8% 감소한 총 9580대를 판매했다. 내수 판매량은 전년 대비 22.6% 감소했고, 수출은 전년 대비 56.8% 급감했다. 내수 시장판매량을 모델별로 살펴보면 중형 SUV QM6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4% 증가한 994대를 팔았다. QM6의 부분변경 모델 출시와 함께 추가된 신개념 SUV QM6 퀘스트는 180대가 출고됐다. 반면 쿠페형 SUV XM3는 612대에 그쳐 전년 동기(1104대) 대비 44.6% 감소했다. 르노코리아의 수출은 7779대를 기록했다. 르노코리아는 전년대비 떨어진 수출 실적에 대해 선적 스케줄 조정에 따른 일시적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2023-05-03 08:53:01 양성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