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인천지역유산 제도' 첫 시행…100년 후를 위한 미래유산 발굴
인천시가 지역의 사건과 인물, 생활 속 이야기를 시민과 함께 발굴하고 미래세대에 전하기 위해 올해부터 '인천지역유산 제도'를 시행한다. 다양한 유무형 자산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해 인천만의 역사와 정체성을 이어갈 계획이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국가유산제도에 포함되지 않는 다양한 유·무형 자산을 인천 고유의 역사·문화 자산으로 가꾸기 위해 '인천지역유산 제도'를 올해 처음으로 시행한다. '인천지역유산 제도'는 인천시민이 함께 만들어 온 지역 내 사건, 인물, 생활 속 이야기를 체계적으로 선정하고 보존해 미래세대가 인천의 정체성과 가치를 이어받을 수 있도록 마련됐다. 단순한 보존에 그치지 않고 체계적인 관리와 다양한 활용 방안을 통해 지역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확장할 방침이다. 지역유산은 도시, 역사, 산업, 생활문화, 문화예술 다섯 개 분야로 나누어 발굴된다. 군·구와 전문가, 시민, 단체의 추천을 통해 예비후보를 찾고, 인천광역시 지역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후보군을 선정한다. 이후 전문가의 조사·연구와 해당 유산 소유자의 동의를 거쳐 최종 심의를 통해 '인천지역유산'으로 공식 지정된다. 유형유산은 반드시 소유자의 동의를 받아야 선정이 가능하며, 발굴부터 보존·관리까지 시민 참여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인천광역시는 이번 제도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지역유산위원회 구성 ▲시민 제안 공모를 통한 후보 발굴 ▲전문가 조사 실시 ▲소유자 동의 확보 ▲최종 선정 심의 등의 절차를 마련했다. 선정된 유산에는 인증서와 표식을 부착해 공식적으로 알리고, 시민 홍보, 관광 및 체험 프로그램과 연계해 유산 가치를 확산할 계획이다. 윤도영 문화체육국장은 "이번 인천지역유산 제도는 시민의 관심과 참여를 바탕으로 근현대의 소중한 유산을 발굴하고, 그 가치를 미래세대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 인천의 정체성과 감성이 담긴 다양한 지역유산을 선정해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인천의 역사와 문화를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지역유산으로 선정될 수 있는 대상은 국가유산과 예비문화유산을 제외한 유무형 자산으로, 역사적·예술적·학술적·경관적 가치가 있는 것을 기준으로 삼는다. 주요 선정 기준은 역사성, 예술성·학술성, 경관성, 사회문화성, 보존상태이며, 제작 당시의 원형이 잘 보존된 유산을 우선 고려한다. 인천광역시는 이번 제도를 통해 과거를 기억하고 현재를 보존하여, 100년 후에도 인천의 정신과 이야기가 살아 숨 쉬는 도시를 만드는 데 힘쓸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