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中企중앙회·중기부 장관 간담회…50인 미만 중대재해처벌법 '화두'

김기문 회장, 여·야 원내대표 만나 유예 촉구 전달 金 "이제 막판까지…합의 단계서 긍정적 결론 기대" 오영주 장관, 고용부·국토부 장관과 별도 브리핑도 吳 "국회에 의견 잘 전달…기업 예방 역량 강화 지원" 중소기업중앙회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초청, 24일 연 정책간담회 자리에서도 시행 사흘 앞으로 다가온 50인 미만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이슈가 화두로 부상했다.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열린 오영주 장관 초청 간담회 자리에서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오늘 새벽부터 국회로 가 오전 8시엔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9시엔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각각 만나 27일로 예정된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유예를 촉구했다"면서 "이제 (시행이)끝판까지 와 있다. 여야가 합의하는 단계가 남아있는데 긍정적으로 결론을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영주 장관도 이날 아침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과 함께 중대재해처벌법 추가 유예를 위한 입법을 국회에 촉구하는 브리핑을 하고 부랴부랴 간담회에 참석하기위해 여의도로 넘어왔다. 오 장관은 간담회 인사말을 통해 "현장이 아직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법이 시행되면 범법자만 양산할 우려가 있다"면서 "50인 미만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당하지 않고 잘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국회에 잘 전달하고, 이후에도 기업들이 중대재해 예방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고용노동부와 노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오 장관은 국회 인사청문회에 앞서서도 중기중앙회를 방문, 김기문 회장 등과 중소기업 현안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공유한 바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기문 회장 외에 30여명의 중소기업 대표들이 참석했다. 현장에선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지정시 중소기업 입장 우선 고려 ▲명문장수기업 확인 업종 확대 및 동일 업종 유지요건 완화 ▲납품대금연동제 실태조사 강화 및 예외조항 개선 ▲소상공인 전국 통합 물류 구축 지원 등 10건의 건의가 있었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확대 등 17건은 서면으로 건의했다. 올해는 3년마다 진행하는 '중소기업자 간 경쟁제품'을 지정하는 해다. 중소기업계는 경쟁제품 지정 과정에서 대기업과 공공기관 등 이해 충돌시 중소기업 입장을 우선 고려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업종별 전문위원회 구성시 중소기업계 참여도 의무화해달라고 덧붙였다. 중소기업자 간 경쟁제품은 중소기업의 판로 확보를 도모하기위해 지정하는 제품으로, 공공 조달시장에서 중소기업자만 참여할 수 있다. 오 장관은 "중기 간 경쟁제품 관련해 지적해준 대로 여러 절차에서 잘못된 규제도 있다고 생각한다"며 "기업이 내는 보고서들을 전문위원회를 통해 점검할 때 중기 측 참여자가 들어올 수 있는 방식으로 보완해보겠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내수 부진 등으로 민생경제는 여전히 어렵다"며 "중소기업의 내수 판로 확대를 통한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공공기관의 중소기업제품 구매액을 지속 확대하고, 구매예산이 조기에 집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중기 간 경쟁제품은 중소기업들의 마지막 보루였다. 중견기업 등이 타 부처를 이용해 시장 진입을 시도했을 때 중기부가 버티면 되는 것이었다. 중기부가 (중소기업을 위해)철저하게 막아줘야한다"고 강조했다.

2024-01-24 13:46:08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행복얼라이언스, BTS 팬클럽 아미 '다정한파동'과 행복상자 캠페인…팬덤·시민 동참 의미

방탄소년단(BTS) 팬클럽 아미도 행복상자를 함께 만들어 나눴다. 행복얼라이언스는 아미의 소셜 캠페인팀인 '다정한 파동'과 함께 행복상자 캠페인을 전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BTS 멤버인 진과 뷔의 생일을 기념해 소외된 이웃들과 기쁨을 나누겠다는 취지로 기획됐다. 다정한파동이 행복얼라이언스와 협력한 것은 2022년에 이어 두번째다. 행복상자 캠페인은 끼니 뿐 아니라 다양한 부분에서 결핍을 겪는 결식우려아동을 위해 생활 필수품을 전달하는 활동이다. 다정한파동과 함께 30개 기업이 물품 32종과 현금 등 20억원 상당을 지원했다. 행복얼라이언스는 12월 BTS 노래 가사와 발언을 댓글로 남기거나, 눈덩이 굴리기 게임에 참여하는 경우 결식우려아동에 행복상자를 1개씩 제공하는 방식으로 행복상자를 전달하며 의미를 더했다. 1713명이 동참하고 추가 인증 등으로 2172개 상자를 마련할 수 있었다. 행복얼라이언스는 BTS 팬덤과 시민까지 함께 기부 문화를 확산했다는 데에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행복얼라이언스 사무국을 담당하고 있는 행복나래 조민영 본부장은 "팬덤의 영향력을 사회 곳곳 소외된 이들을 위해 활용해 기부 문화 정착에 앞장서주신 다정한파동에 감사드린다"며 "행복얼라이언스는 앞으로도 다양한 협력을 통해 시민 사이 아동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알리고 기부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

2024-01-24 13:45:36 김재웅 기자
기사사진
HD현대오일뱅크, HD현대사이트솔루션과 '북미 윤활유 시장 진출'

HD현대오일뱅크와 글로벌 산업차량 제조기업 HD현대사이트솔루션이 공급 협력 사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 입지를 강화한다. HD현대오일뱅크는 HD현대사이트솔루션에 윤활유 엑스티어(XTeer) 제품을 공급하며 북미 시장 진출에 나선다고 24일 밝혔다. 공급 제품은 유압유, 미션오일 등 산업용 차량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윤활유다. 공급 물량은 컨테이너 기준 연간 25 TEU(Twenty foot Equivalent Units)이다. HD현대오일뱅크에 따르면 북미시장은 세계 1위 윤활유 수요 지역이지만 메이저 회사가 이미 자리 잡고 있어 국내 제조사들의 점유율은 0.1% 미만이다. 이번 협력 사업은 진입 장벽이 높은 북미시장에서 산업차량용 윤활유 시장 확대의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조휘준 HD현대오일뱅크 윤활유사업본부장은 "앞으로도 HD현대 계열사와 협업을 통해 글로벌 산업차량 제조업체들에게 자사 윤활유를 공급하는 등 명실상부한 수출 브랜드로 입지를 다질 것"이라 말했다. 허광희 HD현대사이트솔루션 산업차량본부장은 "엑스티어(XTeer) 제품의 경쟁력이 산업차량에 적용하기에 우수하다고 판단했다"며 "앞으로 양사 간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제품 공급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 말했다. /차현정기자 hyeon@metroseoul.co.kr

2024-01-24 13:45:04 차현정 기자
[기자수첩] 부동산 규제완화와 현실

정부는 지난 10일 '국민 주거 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 및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했다. 주택시장의 근본적 안정과 국민의 안정된 주거생활을 위해 수요에 부응하는 충분한 주택공급이 핵심이다. 준공된 지 30년이 넘으면 안전진단 없이도 재건축 착수를 허용하고, 조합설립 시기 조기화를 통해 사업기간을 최대 3년 단축한다. 안전진단을 통과하지 않아도 정비사업 착수가 가능토록 개선해 도심의 주택 공급 기반을 확충한다. 정부의 이번 대책을 바라보는 시장의 반응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서울의 경우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을 제외하면 신규 공급이 가능한 부지가 부족하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분양가상한제와 안전진단, 재건축부담금의 합리적 개선을 반기는 분위기지만, 집값 하락기에는 규제 완화 효과가 미미할 것이란 목소리가 우세한 것. 실제로 1·10 부동산 대책이 발표되고 14일이 흘렀지만, 수혜 대상인 재건축 및 노후 단지들조차 가격 움직임은 미미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리서치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재건축 아파트는 실거주보다 투자재 성격을 띠고 있어, 수요가 크게 위축되는 집값 하락기에는 규제 완화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 또한 공사비, 인건비 상승으로 조합원들의 추가분담금이 늘고 있어, 사업성에 따른 단지별 추진 속도의 격차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재건축 규제 완화를 담은 1·10 부동산 대책 발표에도 시장은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면서 "경제 불확실성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등 건설업 침체, 대출 부담 등이 맞물려 매수심리가 위축된 탓"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면서 시장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15일 기준)은 7주 연속 하락세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날 기준)은 1772건으로, 1월(1413건) 이후 11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거래량이 2000건 미만으로 집계된 것은 작년 1월 이후 처음이며, 11월(1843건)에 이어 2달 연속 2000건을 밑돌고 있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 안전진단 완화 등 정비사업 규제 개선안을 발표한 것은 반길 일이지만, 정책 효과를 높이기 위해선 집값과 거래량을 회복시킬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2024-01-24 13:28:51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서울 분양가 3.3㎡당 3500만원 근접..."오늘이 가장 싸다"

최근 원자잿값과 고금리에 따른 금융 부담 등으로 분양가가 급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의 분양가가 3.3㎡당 3500만원에 근접한 가운데 수요자들이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 지역으로 눈길을 돌리는 모양새다. 24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는 3.3㎡당 1736만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분양가(1710만원) 대비 1.5%(26만원) 오르며 10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동월 분양가(1546만원)와 비교하면 약 12.3%(190만원) 올랐다. 지난달 서울 민간아파트 3.3㎡당 분양가는 3494만원으로, 전월 분양가(3414만원)보다 2.3%(80만원) 올랐다. 전년 동기(2977만)와 비교하면 17.4%(517만원)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전용면적 84㎡ 기준 새 아파트의 분양가는 11억원을 훌쩍 넘는 수준이다. 서울 지역의 분양가는 지난 2022년 5월 2000만원대로 떨어진 후 같은 해 12월까지 3000만원을 밑돌았다. 지난해 1월 3000만원대로 다시 오른 이후 3월부터 지속적인 상승세를 타며 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HUG가 발표하는 월별 평균 분양가격은 공표 직전 12개월 동안 분양보증서가 발급된 민간 분양사업장의 평균 분양가격을 의미한다. 업계에서는 원자잿값 급등과 인건비 상승, 고금리 등으로 분양가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한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톤(t)당 7만8800원이던 시멘트 7개 회사의 평균 가격은 지난해 11만2000원으로, 3년 만에 42.1%(3만3200원) 올랐다.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적용 건설업 임금실태 조사'를 보면 올해 상반기 건설업 평균임금은 27만789원으로, 지난해 하반기 평균임금(26만5516원) 대비 2%(5273원) 올랐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6.01% 상승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서울에서 내 집 마련을 포기하고 상대적으로 분양가가 저렴한 인천, 경기로 이동하는 수요자가 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인천의 민간아파트 3.3㎡당 분양가는 서울의 절반 수준인 1949만원이고, 경기의 경우 2159만원으로 서울보다 약 1335만원이나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분양시장도 뜨거워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 분양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피로감을 느낀 수요자들이 인천, 경기 청약시장에 몰리고 있는 것.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달 분양이 이뤄진 경기 안산시 단원구 '롯데캐슬 시그니처 중앙'은 1순위 청약에서 총 3333건의 청약통장이 접수돼 평균 13.0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용면적 59㎡A타입이 최고 경쟁률인 20.19대 1을 기록했다. 단지는 이달 8일부터 10일까지 정당계약을 진행한 후 8일 만인 18일에 완판을 이뤘다. 업계 관계자는 "시멘트, 레미콘 등 원자잿값부터 인건비까지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분양가는 앞으로 더 오를 수밖에 없다"면서 "최근 전셋값이 급격히 오르면서 임대 부담이 커지는 만큼 내 집 마련을 계획하는 수요자라면 하루라도 빨리 청약을 통해 새 집을 분양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4-01-24 13:20:58 김대환 기자
작년 전국 땅값 0.82% 상승…15년만에 최저 상승률

지난해 전국 땅값이 0.82% 올랐다. 이 같은 상승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땅값이 하락한 지난 2008년(-0.32%) 이후 1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24일 국토교통부 '2023년 전국 지가상승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지가는 0.82% 상승해 지난 2022년(2.73%)보다 상승폭이 1.91%포인트(p) 하락했다. 월별로 전국 지가는 지난해 1∼2월 하락하다가 3월 상승 전환한 뒤 10개월 연속 소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다만 지난해 10월 0.158%, 11월 0.157%, 12월 0.148%로 상승폭이 줄어 들었다. 지난해 지가 변동률은 수도권(3.03%→1.08%)과 지방(2.24%→0.40%)에서 모두 전년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국 17시 광역시도 가운데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세종(1.14%), 경기(1.08%), 서울(1.11%) 등이었다. 제주 땅값은 0.41% 하락, 전국에서 유일하게 떨어졌다. 전국 250개 시군구 중에서는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신규택지가 조성되는 경기 용인 처인구의 땅값 상승률이 6.66%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성남 수정구(3.14%), 대구 군위군(2.86%), 경북 울릉군(2.55%), 서울 강남구(2.43%)의 땅값 상승 폭이 컸다. 토지 거래량은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포함한 전체 토지 거래량은 지난해 약 182만6000 필지(1362.4㎢)로 1년 새 17.4% 줄었다. 건축물 부속 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 역시 71만 필지(1263.8㎢)로 전년보다 27.1% 감소했다. 그러나 대구(18.5%), 대전(6.9%), 서울(0.7%)에선 토지 거래량이 늘었다. 토지 거래량 감소 폭이 가장 큰 곳은 세종(-31.7%)이었고, 제주(-31.3%), 경남(-24.1%)이 뒤를 이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46.0%), 부산(-42.7%), 대전(-40.0%) 등 17개 시도에서 모두 줄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4-01-24 13:06:55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 8곳 신규 선정… "석·박사 인재양성 본격 확대"

정부가 국가첨단전략산업 분야 석·박사 고급인재 양성을 위해 특성화대학원 8곳을 신규 선정해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 공고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특성화대학원은 '국가첨단전략산업법' 제37조에 근거해 지원하는 것으로, 지난해 KAIST·UNIST·성균관대 3개 대학원을 반도체 특성화대학원으로 선정한 바 있다. 올해는 반도체 특성화대학원 3개교를 추가 지정하고, 배터리 3개교, 디스플레이·바이오 각 1개교 등 총 8곳을 신규 선정해 석·박사급 인재 양성을 본격 확대하기로 했다. 선정된 대학은 연구 장비 등 교육 환경 구축, 교육과정 개발·운영, 기업과 연계한 산학프로젝트 추진비 등에 대해 각 대학당 연간 30억원 내외, 최대 5년간 지원을 받는다. 다만, 단계평가 결과 등에 따라 지원규모가 조정되거나 중단될 수도 있다. 지원을 통해 산업계 수요기반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 산업계 전문가 교원을 활용한 현장밀착교육 등을 진행하고, 배출인력에 대한 채용 매칭, 취업 컨설팅 등 사후관리까지 지원한다. 신청기한은 이날부터 3월 14일까지로 산업부는 신청대학의 보유역량, 대학원 운영계획, 산학협력 활성화 계획, 파급 효과 등을 평가해 지원대학을 선정할 계획이다. 사업설명회는 오는 2월 6일 온라인으로 게시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반도체·배터리·디스플레이·바이오 등 4개 분야 특성화대학원 설치(예정) 대학으로, 이번 지원사업 전담조직을 설치해야 하며, 연구책임자는 전임교수 중 조교수 이상 자격을 갖춰야 한다. 특히, 올해부터 첨단산업 특화단지 입주기업과의 산학프로젝트 추진계획 등에 대해서도 평가해 특성화대학원을 통해 양성된 석·박사인재가 특화단지로 활발히 유입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

2024-01-24 12:37:20 한용수 기자
기사사진
전봉현 건국대 교수팀, ‘복합 나노소재 활용’ 1분 내 수은 검출 시스템 개발

건국대학교 KU융합과학기술원 전봉현 시스템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수은 금속 나노소재를 활용해 수은을 1분 내에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실리카-은 복합 나노소재를 무기수은이 미량 함유된 시료와 혼합하면 소재 표면에서 아말감과 은 나노입자의 융합(coalescence) 구조가 형성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에 연구팀은 실리카-은 복합 나노소재가 수은에 반응하는 표면 구조에 주목해, 표면증강 라만분광법(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 기반의 수은 검출법으로 활용했다. 해당 기법은 금속 나노소재 표면에서 발생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으로 흡착된 분자 고유의 '라만 산란 신호'를 비약적으로 증폭시키는 분석 기법이다. 아주 미량의 분자도 검출할 수 있어 수많은 유기물 검출에 활용되고 있다. 연구팀은 라만 리포터가 도입된 실리카-은 복합 나노소재를 무기수은의 검출을 위한 SERS 기질로 활용했다. 수은에 반응해 변형된 표면 구조는 억제된 SERS 활성을 나타냈으며, 무기수은의 농도와 일정한 관계를 보여 정량 검출 시스템으로써 활용 가능성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로 개발된 실리카-은 복합 나노소재 기반의 검출 시스템은 1분 이내에 164 ppb 수준의 미량의 무기수은을 성공적으로 검출한다. 또한 기존의 SERS 기반 검출법에서 지적돼 온 낮은 재현성을 상대표준편차 (relative standard deviation) 4.62% 이하 수준으로 개선하는데도 성공했다. 연구팀은 구축된 검출 시스템의 간편성과 신속성, 그리고 높은 재현성에 기반해 현장에서 채취된 시료 내 수은 화학종을 검출, 정량함으로써 중금속 노출 환경에 대한 신속한 실태 조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당 연구는 국제 저명 학회인 미국 화학회(ACS, American Chemical Society)의 국제 저명학술지인 'ACS Applied Nano Materials'에 지난달 내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건국대 생명공학과 김윤희 박사과정 학생이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강원대 장혜진 교수와 건국대 전봉현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한편,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원천기술개발사업(BRIDGE융합연구개발사업),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과 건국대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4-01-24 12:26:47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지난해 손상화폐 4조원…쌓으면 에베레스트산 16배

지난해 불에 타고 찢어져 폐기한 돈이 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기된 화폐를 쌓으면 높이 14만159m로 에베레스트산(8849m)의 16배에 달하는 규모다. 한국은행은 24일 지난해 4억8385만장의 손상화폐를 폐기했다고 밝혔다. 1년전과 비교해 17.2% 늘었다. 금액으로 보면 3조 8803억원으로 같은기간 31.9% 증가한 수준이다.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된 이후 상거래가 회복되며 지폐사용이 늘고, 5만원권 유통수명이 도래해 손상권이 증가했다"며 "시중금리 상승으로 환수금액이 늘어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폐기된 지폐(1000원~5만원)는 총 4억 2732만장(3조8724억원)으로, 만원권은 2억3775만장으로 전체의 55.6%에 달했다. 1000원권은 1억 4369만장(33.65), 5만원권은 2493만장(5.8%), 5000원권은 2095만장(4.9%)이었다. 동전은 100원화가 3391만장으로 폐기된 동전의 60%를 차지했고, 10원화 980만장(17.3%), 500원화 837만장(14.8%), 50원화 444만장(7.9) 이었다. 폐기된 화폐를 낱장으로 길게 이으면 총 길이는 6만2872km로 경부고속도로(415km)를 약 76회 왕복한 수준에 달했다. 낱장으로 쌓을 경우 총 높이는 14만150m로 에베레스트산의 16배, 롯데월드타워(555m)의 253배에 해당하는 규모다. 한편 한은은 화재 등으로 지폐가 손상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남아있는 면적이 4분의 3 이상이면 액면 금액의 전액을 교환해준다. 또 남아있는 면적이 5분의 2 이상 4분의 3 미만이면 금액의 절반으로 교환할 수 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

2024-01-24 12:00:10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환경시험·검사기관 1500곳 부산 벡스코서 발전방향 논의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이 오는 25~26일 부산 벡스코에서 '2024년도 정도관리 대상기관 연찬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전국 1500여 개 환경시험·검사기관 관계자들이 한데 모인다. 정도관리란 측정치가 항상 일정한 정확도 및 정밀도를 유지하도록 검사의 각 과정을 기술적·통계적으로 관리하는 작업을 뜻한다. 연찬회는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측정분석센터가 주최한다. 환경부 소속 유역(지방)환경청을 비롯해 4대강 물환경연구소,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측정대행업체, 공공 하·폐수시설 등에 속한 전문가 및 관계자 2000여 명이 참석한다. 행사 1부에서는 금한승 환경과학원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허유정 환경측정분석센터장이 지난해 정도관리 추진 결과와 올해 추진 방향을 소개한다. 이혜리 환경측정분석센터 연구사는 정도관리 고시 개정 내용, 숙련도 시험과 현장평가 추진계획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2부에서는 김은미 환경측정분석센터 연구관이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의 개정사항을, 홍석영 환경측정분석센터 연구관이 간이측정기 성능인정제도를 소개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이경석 박사의 특강(측정방법의 유효성 검토 또는 검증을 위한 인증표준물질의 활용)도 예정돼 있다. 연찬회에서 논의된 내용들은 추후 환경시험·검사종합운영시스템(qaqc.nier.go.kr)에 공지될 예정이다. 이수형 환경과학원 환경기반연구부장은 "환경분야 시험·검사 결과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시험·검사기관과 항상 소통하며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01-24 12:00:08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이정식 고용장관 "중대재해법 확대 시, 800만 근로자 피해 자명"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을 사흘 앞두고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 장관 3명이 합동 브리핑을 갖고 유예기간 연장을 위한 법 개정을 촉구했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 오영주 중기부 장관,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2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법이 확대 시행된다면, 상시 근로자가 5명 이상인 동네 음식점이나 빵집 사장님도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 대상이 된다"며 유예기간 연장을 호소했다. 이정식 고용장관은 "현장에서는 영세·중소기업의 경우 대표이사가 생산부터 기획·영업·안전관리까지 모든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중대재해로 대표이사가 처벌을 받을 경우 경영이 제대로 이뤄지기 힘들다고 한다"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800만명 근로자의 고용과 일자리에 미칠 것이 자명하다"고 말했다. 충분한 준비 없이 법이 확대 시행될 경우 행정 역량 부족에 따른 부작용도 우려된다고 했다. 이 장관은 "조직·인력 등 한정된 행정 인프라 하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수사 대상이 2배 이상 급증할 경우 고용부의 행정 역량이 수사에 치우쳐 산업재해 예방이나 감독 기능이 현저히 약화될 것"이라며 "결국 중대재해 예방이라는 법 본래 목적에도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제 더 이상 중대재해처벌법 개정안을 논의할 시간이 없는 만큼, 국회에서 전격적 합의를 통해 신속히 처리해 주신다면, 민관은 합심해 추가 유예 기간 동안 산업안전 대진단 등을 통해 50인 미만 기업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국회에 간곡히 요청한다"며 "아직도 어떻게 안전보건확보의무를 이행해야 하는지 제대로 알지 못하는 83만7000개의 기업에 준비할 기회를 주시기를 머리 숙여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지난 2022년 1월 27일부터 50인 이상 사업장(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원 이상)에서 근로자 사망 등 중대재해 발생시 사고 예방 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주 등을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있다. 50인 미만 사업장과 공사금액 50억원 미만 건설 사업장의 경우 유예기간을 거쳐 오는 27일부터 적용될 예정인데, 정부와 여당은 유예기간을 2년 추가 연장하는 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

2024-01-24 11:59:06 한용수 기자
기사사진
셀트리온, '우시 XDC'와 ADC 업무협약...미래 성장동력 확보 나서

셀트리온이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에 속도를 낸다. 셀트리온은 ADC 특화 기업인 우시XDC와 ADC 신약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위탁개발생산(CDMO)을 위한 제품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셀트리온은 신성장동력 사업인 ADC 신약 개발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ADC 제품의 CDMO 확대에 대한 논의도 이어간다. 셀트리온은 앞서 지난 2023년 12월 우시XDC와 자체 개발중인 ADC 신약 파이프라인의 링커-페이로드 합성 공정 개발을 위한 CDMO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해당 계약은 ADC 파이프라인 2개 품목을 우선 개발하는 신약 개발 프로젝트다. 우시 XDC는 링커-페이로드 합성공정 개발부터 1상 임상용 cGMP ADC 물질 생산을 담당한다. 우시XDC는 우시바이오로직스와 우시STA가 합작해 설립한 회사로 ADC 및 바이오접합체 중심의 위탁연구개발생산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난 2023년 9월에는 신규로 cGMP 생산시설을 준공했다. 이에 따라 개발부터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까지 ADC 치료제의 원스톱 cGMP 생산이 가능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이밖에 셀트리온은 ADC 신약 개발을 위해 국내외 다양한 기업과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테크 피노바이오와는 고형암을 타깃하는 ADC 항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영국 ADC 개발사 익수다 테라퓨틱스와도 협업을 진행 중이다. 현재 셀트리온이 개발중인 ADC 신약 파이프라인은 현재 총 6개다. 셀트리온은 향후 ADC를 포함해 여러 모달리티를 활용한 혁신신약을 개발해 오는 2030년 매출 12조원을 달성할 방침이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

2024-01-24 11:31:58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윤휘종의 잠시쉼표] AI에 일자리 뺏기지 않으려면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CES 2024'의 가장 큰 특징은 '인공지능(AI)의 약진'으로 요약할 수 있다. CES 2024에는 AI뿐 아니라 모빌리티, 헬스케어, 스마트홈을 비롯해 지속가능성 등에서 다양한 기술과 비전이 제시됐으며, 이들 분야에서 기술의 역할은 무엇이고 혁신방향은 어떻게 잡을지를 기업들의 첨단 기술로 점쳐볼 수 있는 자리였지만 무엇보다 AI에 대한 주요 기술기업들의 투자와 성과물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AI는 지난 2016년 3월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고'가 이세돌 9단과의 바둑에서 4승 1패로 승리하며 단번에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후 AI는 꾸준한 기술발달로 인간의 영역을 파고들며 일자리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이미 우리 일상에서도 웬만한 단순상담 업무는 AI가 대체했으며 방대한 분량의 법조항을 학습하거나, 전문의만 볼 수 있었던 영상의학 자료를 심층 학습해 의사보다 더 정확한 진단을 해내기 시작했다. 정밀 수술이 필요한 분야에선 로봇 팔이 의사의 손을 대체하고 있다. 증권시장에선 AI가 종목을 추천하고나 매수·매도 업무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미국에선 매치닷컴이란 곳에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서로 적합한 이성을 골라 결혼을 주선해주기도 한다. 지금도 AI는 전 세계에서 고도의 지식이 필요한 전문직 일자리 영역을 파고 들고 있다. 또 다른 한편에선 키오스크나 서빙 로봇과 같은 자동화 기기들이 단순직 업무를 대체하고 있다. AI와 로봇 기술을 결합한 기술도 인간의 일자리를 빠르게 차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첨단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삶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기술의 발달로 고부가 일자리는 AI에게 뺏기고 있지만 인간의 수명은 평균 80세를 넘어서고 있으며, 빈부의 차이는 더 심화돼 고통의 삶을 사는 기간만 늘어날 것이란 우울한 예측을 내놓기도 한다. 하지만 아직은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완벽하게 대체하지 못하고 있다. 비용 효율성이 맞지 않는 분야, AI·로봇을 지원·활용하는 분야, 사람을 상대해야 하는 영업·마케팅 분야 등은 여전히 인간의 몫이다. 당분간은 AI와 협력하는 방법을 찾는 것도 유효하다. '4차 산업혁명, 강력한 인간의 시대(원제: Average is Over)'의 저자인 조지메이슨대 경제학과 타일러 코웬 교수는 AI와 경쟁하려들지 말고 AI와 협력할 것을 제안한다. 당분간 AI의 능력을 지원하는 업무의 수요는 늘어날 것이란 근거다. 예를 들어, 미 공군에서는 F-16 전투기가 한 번의 임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인원이 100명 미만이지만 무인 정찰기를 작동시키려면 168명의 인원이 필요하다. 글로벌 호크(Global Hawk) 같은 대형 무인 정찰기 운영에는 약 300명의 인원이 배후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 첨단기술을 보조하거나 운용하는 인력 수요는 더 늘어난다는 것이다. AI와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 것은 명백한 트렌드가 됐다. 기술 발달은 이런 추세를 더 빠르게 만들 것이다. 이런 첨단기술에 일자리를 뺏기지 않으려면 본인의 업무역량에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등 이른바 STEM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수밖엔 없다.

2024-01-24 11:28:24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