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폐쇄 3년 세미나…여야 중진 참석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가 공단 재개를 촉구하는 '개성공단 폐쇄 3년, 어떻게 할 것인가' 세미나를 개최했다.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의원회관에서 열린 이번 세미나는 비대위가 평화·번영의 시대를 열기 위한 첫 단추로 개성공단 재개를 촉구하기 위해 마련했다. 신한용 비대위원장은 "2월 11일, 바로 3년전 개성공단이 닫혔던 날"이라며 "공단 폐쇄 3년간 '희망고문'을 당하며 재개를 간절하게 희망하는 개성기업인의 실태와 한반도 신경제의 주축인 개성공단 재가동의 필요성을 전하기 위해 이번 세미나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신 위원장은 그러면서 "개성공단은 어려운 경제사정과 무한경쟁으로 갈 곳 없어진 국내 중소제조기업의 활로가 되고 해외 제조업의 유턴을 촉진해 일자리 창출로 국가경제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와 임직원,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을 맡은 홍익표 의원, 같은 당 이종걸 의원, 손학규 바른미래당 당대표, 같은 당 이찬열 의원 등 여야 의원, 정부 관계자, 북한 전문가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세미나를 공동주최한 심재권 민주당 의원은 "개성공단이 지난 정부의 잘못된 정책으로 인해 중단된 지 벌써 3년 가까운 시간이 지났다"며 "(문재인 정부는) 북핵실험과 미사일 고도화 등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에 출범했지만, 지난해 3차례 남북정상회담과 1차례 북미회담을 통해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는 등 결실을 만들어 가고 있다"고 전했다. 심 의원은 또 "개성공단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부터 여건이 조성되면 정상화하고 2단계 250만평을 넘어 3단계 2000만평까지 확장하겠다고 공언했다"며 "공단 재가동과 남북관계 전환을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세미나 발제는 홍현익 세종연구소 외교전략연구실 실장이 맡았다. 홍 실장은 ▲개성공단 재개를 가로막는 난관 ▲개성공단 역할과 재개 필요성 ▲개성공단 재개방안 등에 대해 발표했다. 토론에는 김광길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와 정기섭 비대위 공동위원장, 유창근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 등이 나섰다. 세미나를 마친 비대위는 오는 27일 열리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공단 재개 계획·방안에 대해 다시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