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명 중 한 명은 교통약자…고령화에 ↑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한 명을 교통약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고령자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4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교통약자 수는 총인구 5133만 명의 30.9%인 1586만 명이다. 전년 대비 총인구는 약 11만 명 줄었지만 교통약자는 약 18만 명이 늘었다. 교통약자는 장애인이나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 어린이 등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을 말한다. 이번 조사는 8개 특별·광역시의 교통수단과 여객시설을 대상으로 했다. 유형별로는 고령화 추세에 따라 고령자(65세 이상)가 973만 명으로 61.3%를 차지했다. ▲장애인 264만 명(16.7%) ▲어린이 230만 명(14.5%) ▲영유아 동반자 245만 명(15.4%) ▲임산부 23만 명(1.4%) 순으로 나타났다 특별·광역시의 교통수단, 여객시설, 도로(보행환경)를 대상으로 한 이동편의시설의 기준적합 설치율은 85.3%로 조사됐다. 2021년 대비 3.8%포인트(p) 높아졌다. 주 이용 교통수단을 조사한 결과, 자치구 내 이동 시에는 버스(32.4%)를 이용하거나 보행(29.8%, 휠체어 이용 포함)으로 주로 이동했다. 특별·광역·자치시 내 이동에는 버스(42.6%), 지하철(28.1%)을, 시외로 이동에는 승용차(62.8%), 기차(15.5%)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경우 모든 통행에서 바우처·임차택시(기초 15.0%, 광역 20.0%, 지역 간 12.1%) 및 특별교통수단(기초 5.5%, 광역 6.7%, 지역 간 3.1%)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계단이 없고 차체가 낮아 휠체어 이용자, 고령자 등의 승·하차가 용이한 저상버스(시내버스)의 전국 보급률은 38.9%다. 전년 대비 4.1%p 상승했다. 특별교통수단은 법정대수 대비 약 101.4%로 전국적 으로 볼 때 법정대수를 처음으로 달성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실태조사 결과를 전국 교통행정기관 및 사업자에 제공해 개선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라며 "이동편의시설 지속 확충 노력과 함께 교통약자 서비스를 제고할 수 있도록 현장 종사자·관리자 교육을 강화하고 시청각 정보안내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