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52% "서울시가 자율주행 서비스 세계 최초로 도입해야"
서울시민 10명 중 5명 이상이 서울시가 자율주행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서울시가 '자율주행 운영환경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2일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14~23일 서울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2.3%가 완전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 시기를 10년 이내(5년 내 25.6%, 10년 내 56.7%)로 예상했다. 기존 도시교통 서비스 중 '자율주행 승용차'(58%)에 대한 기대감이 가장 컸고, '자율주행 버스'(11.2%), '자율주행 택시'(10.8%), '자율주행 배달'(9.7%), '자율주행 공유차'(5.7%)가 뒤를 이었다. 시민들은 자율주행 승용차 도입으로 '교통사고 감소 등 안전성 향상'(36.1%), '차내 시간 활용 가능'(26.9%), '유지비 감소'(16.4%), '도로혼잡 감소로 인한 통행시간 단축'(9.5%)을 기대했다. 자율주행 버스에 대한 기대 요소로는 '24시간 운영'(30.6%), '낮은 요금'(22.6%), '교통사고 감소'(11.1%)가 꼽혔다. 자율주행 택시의 경우 '현재보다 저렴한 요금'(29.3%), '운전기사에 따른 불편 해소'(25.8%), '24시간 운행'(15.3%)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다. 서울시가 자율주행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도입할 필요성에 대한 시민 의견을 조사했더니 '필요하다'는 의견이 52%('매우 필요' 9.6%, '필요' 42.4%)에 달했다. 부정답변 비율('매우 불필요' 2%, '불필요' 7.8%)은 9.8%에 그쳤다. 서울시는 2019년부터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과 연계해 상암DMC 지역을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로 운영해왔다. 작년 11월부터는 테스트베드 지역을 '자율주행 시범운행 지구'로 넓히고 다양한 기업, 연구소, 대학의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 서비스 실증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자율주행 교통서비스를 서울시에 적용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묻는 항목에서는 '테스트베드 확대를 통한 단계적 도입'이라는 응답이 65.8%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규제완화를 통한 진취적 도입'(17.5%), '안전한 해외도시 성공사례가 나타나기 전까지 도입 전면 금지'(14.4%) 순이었다. 연구진은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운영에 대한 시민 인식을 살펴본 결과 거부감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응답자의 거주지에서 자율주행 실증을 시행하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물었더니 '찬성한다'가 55.1%로 가장 많았다. '상관없음'은 37.8%, '반대한다'는 7.1%였다. 한영준 서울연구원 교통시스템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자율주행 발전을 위한 공공의 새로운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며 "지금까지의 자율주행 정책이 민간의 기술 실증을 위한 공간 제공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도시의 운영환경을 개선해 자율주행 수준을 향상시키는 적극적인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시에서 운영 중인 인프라정보(교통안전 시설물 관리시스템, T-GIS), 소통정보(서울시 교통정보시스템, TOPIS), 정밀도로지도(HDmap)를 활용한 '서울시 자율주행 운영환경 평가시스템' 구축을 제안했다. 한영준 부연구위원은 "다양한 서울시의 교통시스템을 통합·확대해 자율주행 운영환경 평가시스템을 만들고 자율주행 서비스 도입에 제약이 되는 지점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면 자율주행 친화적인 도시여건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