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은 책과 함께] 편지로 읽는 해방과 점령 外
◆편지로 읽는 해방과 점령 정용욱 지음/민음사 1945년 8월 15일부터 남과 북에 서로 다른 정부가 수립된 1948년 8, 9월까지 한반도 북위 38도선 이남은 미군이, 이북은 소련군이 점령했다. 책은 점령기에 오간 편지들을 연구해 당시 한국인들이 해방과 점령을 어떻게 생각했고, 대응했는지 살핀다. 발신인은 이승만, 김구, 여운형 같은 한국인 지도자부터 장삼이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들이 보낸 편지는 누구의 손을 거쳐 어디로 갔을까? 저자는 미국 국립문서관에 70년 넘게 잠들어 있던 편지들이 어떤 사연을 간직하고 있는지, 오늘날 이 편지가 후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는 무엇인지 알려준다. 같은 문서고에 수장된 미군정의 통치 자료와 당대 간행된 신문, 잡지를 이용해 재구성한 역사와 이 편지들이 증언하는 역사가 얼마나 차이 나는지 주목해보자. 312쪽. 2만3000원. ◆데이터과학자의 사고법 김용대 지음/김영사 바야흐로 불확실성의 시대이다. 비 한 방울 내리지 않는 사하라 사막에 눈발이 날리고, 한겨울에도 영상 10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텍사스에 영하 20도의 한파가 몰아친다. 코로나19로 저점을 찍었던 주식시장은 최고점을 돌파하고, 2018년 열풍 후 대폭락을 겪은 비트코인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며 극적인 폭등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제 불확실성은 세계를 움직이는 하나의 법칙이 됐다. 책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세상에서 통계와 확률로 구성된 데이터과학이 어떻게 우리 사회와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지 보여준다. 저자는 불확실성을 없애려고 무모한 시도를 하기보다는 불확실성 자체를 받아들이고 대비하라고 조언한다. 394쪽. 1만6800원. ◆인공지능, 법에게 미래를 묻다 정상조 지음/사회평론 얼마 전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가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빚은 적이 있다. 이루다는 데이터 수집부터 대사 표현에 이르기까지 각종 윤리적·법적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는 이루다뿐만 아니라 모든 인공지능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이다. 책은 알파고, 크롤러, AI스피커를 포함, 현역으로 활동 중인 흥미로운 인공지능 로봇들을 소개하고 AI 기술로 인해 새롭게 부상한 이슈를 법학자의 시선으로 하나하나 짚어 나간다. 저자는 '성 인지 감수성'을 갖고 성차별 문제를 바라볼 때 비로소 성평등한 시대가 열리는 것처럼 '로봇 인지 감수성'을 갖고 로봇의 관점에서 사회를 직시해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올바로 살아갈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204쪽. 1만2000원. /김현정기자 hjk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