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재영
기사사진
소니, 'MWC 2014'서 '엑스페리아Z2' 등 스마트폰·태블릿PC 공개

소니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4'에서 새로운 스마트폰·태블릿PC·웨어러블 기기 등을 공개했다. 소니는 24일(현지시간) 'MWC 2014' 전시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스마트폰 엑스페리아Z2와 태블릿PC 엑스페리아Z2 태블릿, 스마트밴드 등 제품을 선보였다. 이날 선보인 엑스페리아Z2는 소니의 최고급 스마트폰 시리즈인 엑스페이라Z 시리즈의 최신작으로, 화면을 전작보다 다소 큰 5.2인치로 늘리고 방수 기능을 탑재했다. 또한 98% 수준의 소음 제거 기술을 탑재했으며, 동영상 모드에선 4K(풀HD 해상도의 약 4배) 수준의 고해상도 영상을 지원한다. 스즈키 쿠니마사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대표는 "엑스페리아Z2는 소니의 카메라와 캠코더 기술, 디스플레이 기술을 모두 집약시킨 제품"이라며 "올해는 '더 크고, 더 좋고, 더 강한'을 모토로 신제품을 준비했다"고 소개했다. 이와 함께 공개한 엑스페리아Z2 태블릿PC는 제품 두께 6.4㎜, 무게 426g으로, 얇고 가볍게 만들었다. 아울러 웨어러블 기기인 '스마트밴드 SWR10'은 제품 이용 시 자신이 하루종일 어디에서 무엇을 했는지, 누구와 통화를 했는지, 잠은 어떻게 잤는지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소니는 이 기록을 이용해 이용자의 하루를 그림 애니메이션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라이프로그'도 만들었다. 한편 이날 소니가 공개한 제품들은 다음달부터 글로벌 시장에 출시되며, 이날 함께 소개한 보급형 스마트폰 엑스페리아M2는 4월부터 출시할 예정이다.

2014-02-24 21:00:14 이재영 기자
기사사진
신종균 삼성전자 사장 "중국 스마트폰 시장 경계해야"

"중국 스마트폰 시장을 얕잡아봐선 안된다. 성장 속도가 빨라서 장래에 세계 시장에서 돋보일 것이다." 신종균 삼성전자 IT·모바일(IM) 사장은 2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멜리아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중국 업체를 얕잡아보는 일이 많은데 그러면 안된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신 사장은 최근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중국 업체 화웨이에 대해 "네트워크 사업도 하고 스마트폰도 열심히 한다"며 "중국하면 낙후됐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천만의 말씀"이라고 전했다. 다만 화웨이가 이날 내놓은 웨어러블 기기 제품에 대해서는 "경쟁사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며 "앞으로 많은 회사들이 웨어러블 기기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신 사장은 삼성전자 역시 올해는 스마트폰 시장보다 차세대 성장동력인 웨어러블 기기 시장에서 성과를 내보이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소비자들이 매일 착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며 "기어 시리즈 제품은 그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신 사장은 '졸면 죽는다'가 자신의 어록이 맞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것은 예전 버전이고 요즘은 '꿈뜨면 죽는다'"라며 "이는 1등이 됐다고 자만하면 금방 떨어진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2014-02-24 17:22:35 이재영 기자
기사사진
[기자수첩]제4이통 탄생 가능할까

제4이동통신이 이번엔 탄생할 수 있을까. 미래창조과학부는 27일까지 제4이통용 2.5GHz 주파수 할당 공고를 받고 있다. 현재 한국모바일인터넷(KMI) 컨소시엄이 지난해 11월 사업허가 신청서를 제출, 지난달 적격성 심사를 통과하고 본심사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09년부터 4차례 도전에 번번이 실패한 KMI는 이번에야말로 제4이통 진출이 가능할 것이라 자신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스페이스타임(IST)도 포기 의사를 밝히며 KMI의 사업권 획득 가능성도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업계에선 제4이통의 등장이 시장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이에 이통3사는 견제하는 모습이다. 일각에선 일부 통신사업자가 제4이통 출범을 막기 위해 본심사의 심사위원으로 예상되는 이들에게 접근해 로비를 펼치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 KMI 관계자는 "일부 이통사가 지나치게 방해공작을 펼치려 하고 있는데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시장진입을 차단하는 꼴"이라며 "대기업이라면 요금 경쟁, 서비스 품질 경쟁 등으로 소비자 안목과 변별력을 바꿔야 하지 않겠나"라고 항변했다. 이제 최종 선택은 미래부에 달렸다. 이통3사는 건전한 통신시장 생태계를 위해, 미래부는 소비자의 선택권 확대를 위해 제4이통의 탄생을 객관적인 눈으로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2014-02-24 17:10:41 이재영 기자
기사사진
모바일 전시회 'MWC 2014' 개막…삼성·LG, 스마트폰 시장 '혁신으로 승부'

전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인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4'가 24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본격 개막했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주최로 1987년 처음 개최된 MWC는 전시회 명칭도 'GSM 월드콩그레스'로 시작됐다. 당시 통신사 주도의 소규모 전시회였던 행사는 2008년부터 MWC로 명칭을 바꾸며 지금은 매년 1월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국제소비자가전쇼(CES), 9월 독일 베를린의 국제가전박람회(IFA)와 함께 세계 3대 IT 전시회에 꼽힐 정도로 급성장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이 참여해 이동통신 분야의 새로운 기술과 통신기기를 선보인다. 특히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해 MWC에서 혁신적인 제품들로 이번 행사의 주목을 한 눈에 받고 있다. 우선 삼성전자는 행사 첫째날 차세대 주력 스마트폰인 '갤럭시S5'를 공개한다. 삼성전자가 2011년 첫선을 보인 '갤럭시S 시리즈'는 지금까지 누적 판매 2억대를 기록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이번 MWC에서도 갤럭시S5가 공개될 것이라는 소식에 현지 언론을 비롯,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일각에선 갤럭시S5의 출시발표 행사가 'MWC 2014'의 메인이라고 밝힐 정도다. 신종균 삼성전자 IT·모바일(IM)부문장 사장은 행사 전날인 2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체 스마트폰 시장은 성장이 둔화되고 있지만 갤럭시S나 갤럭시 노트 시리즈 등 주력 스마트폰은 이미 확고한 기반을 다졌다"면서 "이번에 공개되는 갤럭시S5도 전 세계의 사랑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번 갤럭시S5 출시에 힘을 싣기 위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도 현지 행사에 직접 참여한다. 지난 1월 열린 CES에 불참했던 이 부회장은 이번 MWC에 참석해 세계 IT 트렌드를 살펴보고 주요 거래처와 면담을 통해 갤럭시S5의 글로벌 시장 확대에도 한몫 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2세대 웨어러블 기기인 '삼성 기어2'와 '삼성 기어2 네오'를 동시에 공개하고 '갤럭시노트3 네오'도 선보일 계획이다. LG전자는 '내일을 노크하세요(Knock and Discover Tomorrow)'를 주제로 자체 부스에서 최근 국내에서 출시한 'LG G프로2', 'G플렉스', 'G2미니', 'L시리즈' 등 스마트폰 8종 130여대를 선보인다. 박종석 LG전자 MC(모바일커뮤니케이션) 사업본부장 사장은 "G프로2에 처음 탑재한 '노크코드'를 비롯, 차별화한 사용자경험(UX)을 통해 올해 세계 3위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4-02-24 16:21:29 이재영 기자
파이어아이, '2014 파이어아이 데이' 세미나 27일 개최

보안솔루션 업체 파이어아이 코리아는 27일 IT 보안 담당자를 대상으로 '2014 파이어아이 데이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기업들의 막대한 보안 투자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3.20 지능형사이버위협(APT) 테러, 6.25 디도스(DDoS) 테러 등 다양한 보안 시스템이 무력한 모습을 보였다. 이번 세미나는 기존 IT 보안 방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사이버 보안 위협에 대해 보안을 다시 디자인하는 수준의 혁신이 필요함을 역설할 예정이다. '보안을 다시 디자인하다'를 주제로 서울 역삼동 리츠칼튼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더글라스 슐츠(Douglas Schultz) 파이어아이 아태지역 수석 부사장과 스티븐 레잔(Steve Ledzian) 파이어아이 아태지역 이사가 방한해 글로벌 보안 기술 트렌드를 공유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APT를 중심으로 보는 최신 위협 트렌드와 대응' ▲파이어아이의 '혁신적인 APT 방어 기술 - 보안을 다시 디자인하다' ▲델 소프트웨어 코리아의 '기업 정보 보호를 위한 보안 전략' ▲세계 최고의 엔드포인트 및 침해 대응 전문 기업인 맨디언트 인수와 그 시너지를 설명하는 '파이어아이와 맨디언트가 만들어내는 완벽한 보안' 등을 주제로 세미나가 진행된다. 이날 오후 세션에는 모바일 보안, 제로데이 악성코드 분석, 데이터센터 보안, 망분리 보안 이슈, 모바일 및 BYOD(Bring Your Own Device), 이메일 스피어피싱 등 중소기업에서부터 대규모 조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보안 이슈에 대해 체계적인 보안 구축 방안을 소개한다. 전수홍 파이어아이 코리아 지사장은 "최근 잇따른 보안사고는 더이상 백신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보안 방식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며 "최신의 사이버 위협은 방어에 있어서 발상의 전환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2014-02-24 12:52:54 이재영 기자
미래부, '2014 ITU 전권회의' 주관사 및 공식항공사 협약식 개최

'2014 ITU 전권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방송·통신·항공 분야 CEO가 함께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5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2014 ITU 전권회의' 주관사 및 공식항공사로 선정된 KBS, KT, 연합뉴스, 아리랑국제방송, 대한항공과 방송·통신 및 항공 지원에 관한 기본약정을 체결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ITU 전권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미래부, 방송·통신 주관사 및 공식 항공사가 각자의 역할을 확정하고 상호 협력을 약속하는 자리다. 이날 행사에는 최문기 미래부 장관, 길환영 KBS 사장, 황창규 KT 회장, 송현승 연합뉴스 사장, 손지애 아리랑국제방송 사장, 지창훈 대한항공 사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약정체결로 전권회의 및 준비기간 중 KBS는 주관방송사로서 주요 행사와 회의에 대한 취재·배포, 기획보도 및 특집프로그램 편성·방송을 수행하며 KT는 주관 통신사업자로서 전권회의 및 프레스룸 운영에 필요한 정보통신 서비스 지원을 하게 된다. 연합뉴스는 주관뉴스통신사로서 전권회의 관련 기사와 사진을 국문 및 6개 국제공용어로 배포하며, 아리랑국제방송은 해외 홍보용 특집 프로그램 방송을 통해 주관해외방송협력사로서의 역할을 맡는다. 대한항공은 공식항공사로서 안정적 노선 확보 등 원활한 참가자 수송을 담당하게 된다. 최 장관은 이 자리에서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인 한국에서 열리는 전권회의에 대해 전 세계의 관심과 기대가 그 어느때보다 높은 만큼, 역대 최대·최고의 전권회의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할 예정이다.

2014-02-24 12:00:00 이재영 기자
기사사진
LG유플러스, 'MWC 2014'서 LTE보다 6배 빠른 '3밴드 CA' 선보여

LG유플러스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4'에서 최대 450Mbps 속도를 제공하는 '3밴드 주파수집적기술(CA)'을 시연했다. LG유플러스가 이번에 MWC에서 시연한 3밴드 CA 기술은 3개의 LTE 주파수를 연결해 대역폭을 넓혀 단일 주파수 대역이 지원하는 최대 속도인 150Mbps 이상을 제공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로, 하향 20MHz폭의 광대역 주파수 3개를 묶을 경우 기존 LTE 대비 6배 빠른 최대 450Mbps 속도가 가능하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스마트폰으로 1GB 용량의 영화를 18초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4MB 용량의 음원은 1초에 14곡까지 받을 수 있다. 같은 용량의 영화를 다운로드 받을 경우 광대역 LTE는 55초, LTE는 약 1분57초 소요된다. LG유플러스는 800MHz 대역 LTE망을 기반으로 전국 84개시 주요지역을 중심으로 LTE-A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7월까지 광대역 LTE 전국망 구축도 완료할 예정이다. 특히 지난달 선보인 300Mbps의 3밴드 CA가 연내 상용화되면 국내 통신사 중 가장 빠른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LTE 장비공급사인 삼성전자, 화웨이, NSN과 지난해부터 3밴드 CA외에도 3밴드 멀티캐리어, 업링크 콤프 등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개발을 위해 긴밀한 협력을 진행해 왔다. 김선태 LG유플러스 SD(Service Development)본부장은 "고객에게 가장 빠른 LTE 서비스 속도를 제공하고 보다 완벽한 네트워크 품질을 위해 글로벌 장비 제조사들과 긴밀한 파트너십을 유지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차별화된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4-02-24 11:30:51 이재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