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IT카페]곽정욱 그래텍 대표 "올해 키워드는 생존과 가능성의 확인!"

"지난해 투자 위주의 경영을 펼쳤다면 올해는 지난해 추진한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성과를 가시화하는 해가 될 것입니다." 곽정욱(47) 그래텍 대표는 지난 9일 메트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키워드는 생존과 가능성의 확인"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1999년 설립된 그래텍은 국내 1위 시장 점유율로 주목받은 동영상 소프트웨어인 '곰플레이어'로 이름을 알렸다. 현재 5개 국어로 번역돼 전 세계 1억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으며, 일 사용자는 400만명에 달한다. 2006년에는 곰TV로 사업을 넓히며 영화·드라마·e스포츠 중계 등 다양한 인터넷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로 플랫폼을 확장하고 있다. 지난달 공연을 간편하게 예매할 수 있는 모바일 컬처커머스 '티켓인포켓'을 출시한 데 이어 지난 8일에는 영화·TV프로그램 정보와 주문형비디오(VOD)를 통합 서비스하는 '곰가이드' 모바일 앱을 선보였다. 곽 대표는 "그래텍은 곰플레이어를 시작으로 비디오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전문성도 높여가고 e스포츠 등 콘텐츠 제작을 통해 전문성을 키워가고 있다"며 "특히 그동안 PC를 중심으로 쌓아온 콘텐츠 사업을 고객 니즈에 맞춰 모바일, 태블릿PC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갈수록 이용자들은 텍스트로 이뤄진 콘텐츠에서 비디오를 통해 바라보고자 하는 욕구가 늘어나고 있다"며 "앞으로 사업자가 검증된 영상을 제공하는 곰TV뿐 아니라 이용자들 스스로가 짧은 영상을 제작해 소통할 수 있는 비디오 SNS 서비스 제공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래텍이 현재 주력 사업으로 내세우고 있는 e스포츠 사업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곽 대표는 "올해는 e스포츠 방송제작 및 콘텐츠 유통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곰 EXP'라는 새 브랜드를 내걸고 관련 사업을 강화하려 한다"면서 "그동안 인기를 누려온 스타크래프트2 리그뿐 아니라 '곰TV 클래식 시즌4'를 통해 스타크래프트1 리그를 선보이면서 이용자들에게 과거 스타1의 문화를 다시금 떠올리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해외 이용자들을 위한 편의 제공에 대해서도 약속했다. 그는 "e스포츠 역시 한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곰TV를 통한 e스포츠 방송 시 해외 이용자들의 이용률이 70%에 이를 정도로 급증하고 있다"면서 "곧 해외 버전의 사용자 환경(UI)을 개선해 곰TV를 새롭게 선보이는 등 다양한 언어와 해외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 강화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곽 대표는 올해 성공에 대한 가능성도 자신했다. "지난해에는 스튜디오 확장, 곰TV 제공 콘텐츠 확장 등 다양한 투자를 진행했다면 올해는 성과를 내야하지 않을까요. '곰플레이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노하우를 쌓은 만큼 고객들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비디오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노력하겠습니다." /이재영기자 ljy0403@

2014-01-13 16:09:53 이재영 기자
기사사진
2014 소치 동계올림픽 태극전사 윤곽 드러나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태극전사들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대회에 출전한 48명의 선수단 숫자를 훌쩍 뛰어넘어 역대 최다인 67명 내외의 선수가 올림픽 무대를 밟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일 최종 엔트리가 확정되는 봅슬레이·스켈레톤·루지 등 썰매 종목과 스키 종목을 제외하면 대부분 종목은 사실상 출전권의 윤곽이 드러난 상태다. 한국 선수단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곳은 빙상이다. 스피드스케이팅에서 15명, 쇼트트랙에서 10명, 피겨스케이팅에서 3명의 출전이 확정됐다. 4년 전 벤쿠버 동계올림픽에서 가능성을 보인 종목 다변화 경향이 이번 대회에서 더욱 뚜렷해지면서 새로운 종목에 대한 기대감도 늘어났다. 가장 눈에 띄는 종목은 썰매 종목이다. 봅슬레이에서는 남자 4인승과 2인승, 여자 2인승까지 전 종목 출전권을 손에 넣었다. 이변이 없는 한 봅슬레이에서만 11명의 선수가 소치 땅을 밟는다. 루지에서도 사상 최초로 남녀 싱글과 남자 2인승에서 모두 출전권을 획득하고 4명의 선수가 태극마크를 가슴에 단다. 남자 스켈레톤에서는 윤성빈(한국체대)이 출전권을 확보한 가운데 이한신(전북연맹)이 두 번째 출전권을 두고 마지막 경쟁을 벌이고 있다. 스켈레톤에서 2장의 출전권을 획득한다면 썰매 종목에서만 17명의 선수가 출전하게 된다. 스키 종목 역시 밴쿠버 때보다 많은 선수를 출전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13일까지 경기 결과로 대한스키협회에서 시뮬레이션을 돌려 본 결과로는 모두 15명 정도가 출전권을 따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동현(경기도체육회)이 앞장선 알파인 스키에서 5명, 최재우(한국체대)가 기대주로 꼽히는 프리스타일 스키에서 4명의 출전이 기대된다. 이채원이 건재한 크로스컨트리와 김호준(CJ제일제당)이 활약하는 스노보드, 영화 '국가대표'로 익숙한 스키점프에서 각각 2명씩 출전할 것으로 대한스키협회는 내다보고 있다. 밴쿠버 대회까지 한 번도 올림픽에 나서 본 일이 없는 한국 컬링도 이번 대회에 여자 대표팀 5명이 출전권을 따냈다.

2014-01-13 16:08:53 양성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