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50대 능력남' 숀 펜, 요한슨 이어 테론과도 열애설

할리우드 유명 배우 숀 펜이 미녀 스타 스칼렛 요한슨에 이어 15세 연하인 샤를리즈 테론과도 열애설에 휩싸이며 '50대 능력남'의 면모를 과시했다. 미국 연예 주간지 피플은 6일(현지시간) "펜과 테론이 새해 첫날 하와이에서 함께 휴가를 보내고 돌아온 뒤 지난 토요일 데이트를 즐겼다"며 같이 있는 사진을 보도 했다. 사진에는 테론이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스타벅스에서 커피를 사고, 펜이 차 안에서 테론을 기다리는 모습이 포착됐다. 목격자는 "두 사람이 웃고 있었다. 매우 행복하고 편안해 보였다"고 두 사람의 분위기를 전했다. 두 사람은 이후 테론의 집으로 향했으며, 다음날 밤 영화 '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를 함께 관람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양측 대변인은 아무런 입장도 밝히지 않고 있으나, 두 사람이 오랜 기간 친구로 지내다 지난해 10월 할로윈 파티를 계기로 가까워지기 시작했다고 귀띔했다. 한편 펜은 마돈나·로빈 라이트와 이혼 후 스무살 이상 연하인 페트라 넴코바·스칼렛 요한슨과 연이어 염문을 뿌렸다. 요한슨과는 2011년 교제 5개월 만에 헤어졌다. 테론은 2010년 남자 친구 스튜어트 타운센드와 결별했다. 이후 흑인 아이를 입양해 화제를 모았다.

2014-01-07 12:03:10 탁진현 기자
기사사진
최문기 장관 "연구개발특구가 창조경제 확산 중심 역할해야"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연구개발특구가 창조경제의 성공모델을 구축하고 확산에 앞장서는 중심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래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8일 낮 12시부터 대전 컨벤션센터 2층 그랜드볼룸에서 '2014 연구개발특구 신년인사회'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는 최문기 장관, 김차동 특구재단 이사장, 염홍철 대전광역시장을 비롯, 출연연 원장, 대학총장, 벤처기업대표 등 산·학·연·관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축하공연, 내빈소개, 영상물 상영, 신년사, 시루떡 커팅, 건배제의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최 장관은 이날 신년인사말을 통해 "연구개발특구가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많은 역할을 해온 것이 사실"이라며 "앞으로는 창조경제의 성공모델을 구축하고 확산에 앞장서는 창조경제의 중심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문할 예정이다. 특히 "특구를 구성하는 산·학·연 각자가 맡은 바 역할을 충실히 하는 한편, 상생협력을 강화해 특구가 가지고 있는 공동체로서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미래부는 연구개발특구를 창조경제 핵심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부 주도 방식의 지원에서 탈피해 대전시 등 지자체와 산·학·연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선순환 창조생태계가 구축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할 계획이다. 김차동 이사장 역시 "새해는 참신한 아이디어와 역동적인 추진력으로 과학기술 패러다임을 창출하고 창조경제를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해 가야 하는 시대적 소명이 요구되는 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최 장관은 신년인사회 후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을 방문해 출연연의 2014년 혁신전략을 듣고 출연연 운영진 및 연구자들과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다.

2014-01-07 12:00:00 이재영 기자
기사사진
스켈레톤 '겁없는 신예' 윤성빈 겨울 스포츠 보배로 급부상

한국 스켈레톤의 '겁 없는 신예' 윤성빈(20·한국체대)이 겨울 스포츠의 보배로 떠올랐다. 윤성빈은 7일 캐나다 휘슬러에서 열린 인터컨티넨탈컵 6차 대회에서 1·2차 레이스 합계 1분45초73의 기록으로 안톤 바투예프(러시아·1분46초27)를 0.54초 차로 제치고 우승했다. 인터컨티넨탈컵 출전 역사상 최초의 금메달이다. 지난해 여름 스켈레톤에 입문해 타고난 운동신경으로 3개월만에 국가대표에 발탁된 윤성빈은 2년차의 짧은 경력에도 불구하고 당당히 한국 스켈레톤 역사상 최초의 인터컨티넨탈컵 금메달이라는 놀라운 성과를 냈다. 인터컨티넨탈컵은 월드컵보다는 한 단계 낮지만 한국 선수들이 자주 출전하는 아메리카컵보다 수준이 높다. 윤성빈은 지난해 11월 아메리카컵에서 은메달 1개와 동메달 2개를 수확했고, 12월 인터컨티넨탈컵에서도 2개의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스켈레톤 입문 2년만에 인터컨티넨탈컵 금메달까지 목에 건 윤성빈이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깜짝 활약'을 펼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대회에서 2011~2012시즌 월드컵 종합 순위 6위에 오른 알렉산더 가즈너(독일)는 윤성빈에 0.74초나 늦었고,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존 몽고메리(캐나다)도 윤성빈에 0.84초 뒤진 5위에 그쳤다. 한편 윤성빈과 함께 출전한 이한신(28)도 1분47초61의 기록으로 전체 24명의 출전 선수 가운데 12위에 오르는 선전을 펼쳤다.

2014-01-07 11:46:28 양성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