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기계에 절단된 손 다리에 '길러' 완벽 복원

기계에 말려들어가 절단된 손을 다리에서 '길러' 복원할 수 있을까. 최근 중국 중난(中南)대학 샹야(湘雅)의원에서 이 수술을 완벽하게 성공시켜 화제다. 후난성 창더(常德)시에 사는 장웨이(가명·25)는 한 달 전쯤 공장에서 일하던 중 기계에 팔이 말려 들어가 순식간에 오른쪽 손이 절단됐다. 그는 바로 현지 병원으로 달려갔지만 의료진은 "오른손을 살릴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장웨이는 손을 포기할 수 없었다. 한 손이 없으면 평생 불편한 몸으로 '반쪽 노동'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는 사고 7시간 만에 상야의원을 찾았다. 상야의원 미세재건 전문의 탕쥐위(唐擧玉) 교수는 환자의 오른손이 단순히 절단된 것뿐만 아니라 압착되며 뭉그러져 넓은 면적의 피부조직과 혈관, 신경, 힘줄이 손상돼 상태가 매우 심각한 것을 발견했다. 절단 사고 중에서도 복원이 가장 어려운 단계에 속했다. 하지만 다행히도 장웨이의 오른손과 손목 관절이 파손되지 않아 희망이 있었다. 탕 교수는 절단 부위의 조직을 제거한 후 종아리에 이식을 시키고, 그 부위가 재생되고 환자의 건강 상태가 회복된 후에 다시 제자리로 원상 복귀시키는 수술을 하기로 결정했다. 겨우 30분 정도의 수술로 전문의들은 성공적으로 손을 종아리에서 자라게 했다. 지난 4일 탕 교수팀은 다리에서 1달 가량 자란 손을 다시 오른쪽 팔에 이식했다. 수술 1주일 뒤 이식한 오른손과 피부가 모두 자리를 잡았고, 상처도 잘 아물고 있다. 장웨이는 하마터면 잃을 뻔했던 오른 손을 바라보며 안도의 미소를 지었다. 탕 교수는 "절단 부위 혈액 순환 회복, 조직 손실 회복, 기능 회복이 이식수술 성공의 3대 요소"라며 "이식한 손의 감각과 기능이 의수보다 뛰어나야 목표달성"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재활훈련과 기능회복수술이 필요하다"면서 "마치 집을 짓는 것처럼 건물 뼈대를 완성시킨 후 내부 인테리어를 하는 것과 같다"고 덧붙였다. /정리=조선미기자

2013-12-19 13:32:59 조선미 기자
기사사진
스웨덴, 소매치기로 골머리...방법도 기상천외

스웨덴이 들끓는 소매치기 때문에 고민이다. 소매치기 수법도 기상천외, 각양각색이다. 경찰은 "전국의 소매치기 배후에 알려지지 않은 커다란 조직이 있어 그들을 교육하고 훈련시키고 있을 수 있다"고까지 말했다. 케첩, 지도, 종이 한 장, 춤. 모두 전문 소매치기들이 피해자의 의식을 분산 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페떼르 린드그렌(Peter Lindgren) 스톡홀름 쇠데말름 경찰서 범죄 조사 팀장은 "소매치기들이 대단히 능수능란하며 재빠르다"고 강조했다. 소매치기 신고는 스웨덴 남부에 위치한 두 대도시 말뫼와 예떼보리에서 가장 흔하게 일어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다른 지역의 중소 도시에서도 소매치기 신고가 급증하고 있다. 전문 소매치기를 키워내는 큰 단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스웨덴 경찰은 그들이 한 지역에서 얼굴이 팔리면 지능적으로 활동 지역을 옮겨 다닌다고 전했다. 스웨덴이 부유한 나라인 것은 사실이지만, 대도시에는 부랑자도 자주 눈에 띄며 빈부격차도 분명히 존재한다. 스톡홀름, 말뫼, 예떼보리 같은 큰 도시를 여행할 때는 다음의 경우들을 주의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길거리에서 옷에 묻은 케첩 닦기 길거리에 핫도그를 들고 돌아다니다가 본인도 모르는 새에 케첩을 옷에 묻힌다. 그리고는 두 사람이 다가와서 한 사람이 옷에 묻은 케첩을 닦는다. 그 사이에 옆에 있던 짝이 피해자의 가방에서 물건을 슬쩍 꺼내간다. ▲카페에서 지도 펴며 길 묻기 카페에 혼자 앉아 있는데 누군가 다가오더니 스마트폰이 올려져 있던 테이블 위에 지도를 꺼내며 길을 묻는다. 피해자가 열심히 길을 설명하며 스마트폰의 존재를 잊어갈 때, 소매치기는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지도와 함께 스마트폰을 챙겨간다. 케첩과 지도는 아니지만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피해자의 정신을 현혹시킨 뒤, 옆에 있던 공범이 물건을 가져가는 형태의 소매치기가 다양하다. 이런 상황에서는 자신의 소지품을 먼저 챙기거나, 나쁜 손이 뻗치지 않게 적정 거리를 유지하기를 추천한다고 메트로스웨덴은 전했다. / 요한 모뗀손 기자 · 정리 = 김동재 인턴기자

2013-12-19 11:41:16 김동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