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줄었는데…강남·과천, 절반 이상 ‘신고가’
지난 4월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이 전월 대비 절반 가까이 줄었지만 서울 강남구와 경기 과천시를 중심으로 종전 최고가 이상 거래가 전체의 절반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입지 경쟁력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는 여전히 선별적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신고가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12일 직방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지난 4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만3423건으로 전월(2만5456건)보다 약 47% 감소했다. 거래량은 줄었지만 서울 강남구(59.0%)와 경기 과천시(62.5%)에서는 전체 거래의 절반 이상이 종전 최고가와 동일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수준에서 거래됐다. 서울 강남구는 2022년 4월(53.7%) 이후 처음으로 신고가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겼다. 과천시는 과천푸르지오써밋, 래미안슈르, 과천자이 등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이어졌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전반적으로 거래는 감소했지만 강남과 과천 등 고급 주거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다수 발생했다"며 "실거주 수요와 향후 가치에 대한 기대가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수도권 전체의 신고가 거래 비중은 3월 9.10%에서 4월 5.97%로 하락했다. 서울은 18.75%에서 15.44%, 인천은 2.97%에서 2.55%, 경기는 3.75%에서 3.08%로 각각 감소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오는 7월 예정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도입, 조기 대선 등 정책 변수에 대한 관망세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내에서도 지역별 차이가 뚜렷했다. 강남(59.0%)과 용산(46.2%)은 높은 비중을 유지했고 양천구는 목동 재건축 기대감에 따라 전월(25.9%)보다 18.1%포인트(p) 상승한 44.0%를 기록했다. 서초구는 33.3%로 전월보다 소폭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송파(27.9%), 마포(26.0%), 강동(22.8%), 성동(22.2%) 등도 20% 이상의 비중을 나타냈다. 반면 외곽 지역은 신고가 비중이 낮았다. 도봉(0.9%), 강북(1.5%), 노원(1.9%)은 1% 내외에 그쳤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이 62.5%로 가장 높았으며 분당구는 15.7%를 기록했다. 판교 백현동의 중대형 아파트와 수내·서현동 등 1기 신도시 내 리모델링 추진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졌다. 부천 오정구(15.4%)와 소사구(10.1%)도 서울 접근성이 좋은 중소형 구축 단지 위주로 신고가 거래가 포착됐다. 인천은 미추홀구가 7.5%로 가장 높았으며 동구(4.5%), 부평구(4.4%), 서구(1.9%), 남동구(1.5%), 계양구(1.1%), 연수구(0.7%) 등은 모두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김 랩장은 "입지 선호도가 높은 지역에는 선택적 매수세가 여전히 유효하다"며 "일부 고가 단지의 신고가 거래가 기준점(앵커) 역할을 하면서 주변 단지 시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금리와 정책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역·단지별로 수요 양극화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고가 주거지를 중심으로는 매수자 간 눈치 싸움이 이어지고 있으며 실수요자는 관망과 선별 매수 사이에서 신중한 선택을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