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원자력 발전비중 1위 … 신재생에너지도 10% 돌파
산업부, '2024년에너지 수급 동향' 발표 전체 발전량 중 원전이 31.7%… 가스·석탄 각 28.1% 지난해 전기 공급 발전량 중 원자력 비중이 1위를 차지했다. 또 신재생 비중도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지난 17년간 최대 발전원이던 석탄 발전이 감소하며, 에너지 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1일 발표한 '2024년 에너지 수급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총 발전량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595.6테라와트시(TWh)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원자력 발전 비중이 31.7%(188.8TWh)를 차지하며 최대 발전원에 올랐다. 이어 가스·석탄이 각각 167.2TWh(28.1%)로 공동 2위를 기록했다. 지난 2007년 이후 줄곳 최대 발전원이던 석탄이 원자력과 가스에 이어 3위로 내려앉았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전년 대비 11.7% 증가한 63.2TWh로, 전체 발전량 중 10.6%를 차지하며 사상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넘어섰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은 2020년 6.6%, 2021년 7.5%, 2022년 8.9%, 2023년 9.6%로 지속 증가해왔다. 가스와 원자력 발전량은 각각 전년대비 6.0%, 4.6% 증가한 반면, 석탄 발전량은 9.6% 감소했다. 총 발전설비 용량은 전년대비 6.0% 증가한 가운데, 특히 태양광 발전설비 증가폭(13.1%)이 전년대비 증가하면서 신재생 발전 비중 확대를 견인했다. 지난해 국내 총 에너지 소비는 전년 대비 1.7% 증가한 3억940만toe(석유환산톤)를 기록했으나, 국내총생산(GDP) 100만원을 창출하는데 소비된 에너지 양인 에너지원단위는 소폭 개선됐다. 이는 산업 생산활동 증가와 함께, 사회 전반의 효율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에너지 소비는 석탄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했다. 석탄은 발전과 산업 부문 모두 감소하며 전년보다 6.2% 감소한 반면, 석유는 산업 부문 내 석유화학 연료 수요 회복 등 영향으로 2.8%, 천연가스는 발전과 산업 부문 증가로 5.9%, 원자력은 신한울 2호기 가동 등 영향으로 4.6%, 신재생·기타는 6.2% 각각 증가했다. 전기소비는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건물부문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0.4% 증가했고, 수송부문은 철도부문 소비가 감소했으나, 도로부문에서 전기차 등 확대로 대폭 증가하며 증가세를 견인했다. 조익노 에너지정책관은 "정부는 앞으로도 탄소중립과 함께 AI 데이터센터, 첨단산업 등에 대한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에너지 공급으로 우리 경제의 성장을 뒷받침해 나갈 계획"이라며 "원전·재생·수소 등 다양한 무탄소에너지를 조화롭게 확대하고, 사회를 에너지 저소비 시스템으로 전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