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반려동물 케어' 고객잡기 경쟁 치열...가구 4곳당 1곳, 요금제 출시 너도나도
이동통신사들이 가구 4곳당 1곳이 반려동물 케어 가정이라는 점에 감안해 반려동물 케어 서비스에 뛰어들었으며 3사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AI(인공지능) 기반의 반려동물 엑스레이 분석 솔루션인 '엑스칼리버'를 선보인 후 최근 엑스칼리버 진단 범위 확대에 나섰다. KT는 최근 '반려견 디바이스팩'을 출시하고 반려동물 시장 공략에 나섰으며, LG유플러스는 반려견성향분석 서비스인 '포동' 가입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 이통사들은 반려동물 관련 요금제를 출시하고 고객 확대에 나서고 있다. 반려동물 산업은 전세계적인 반려인구 증가와 국내에서도 반려인구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블루오션으로 인식되면서 관련 산업에 많은 기업들이 진출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펫시장 규모는 지난해 8조원 규모로 정부는 국내 반려동물 시장 규모를 20조원 수준까지 키운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통사들도 최근 펫케어 산업에 뛰어들어 반려동물 케어 가정의 이용자를 사로잡고 있다. SKT는 AI 기반 수의영상진단 보조서비스 '엑스칼리버'를 지난해 9월 출시한 후 서비스 1년을 앞두고 복부질환 진단 등 기능을 큰 폭으로 확대했으며, 엑스칼리버 요금제를 다양화해 고객 잡기에 나섰다. 엑스칼리버는 AI가 반려동물의 엑스레이 사진을 분석해 진단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수의사의 진료를 돕는 동물 의료 AI 서비스다. 병원에서 촬영한 반려견의 엑스레이 사진을 엑스칼리버 전용 클라우드에 올리면 질환의 위치와 비정상 소견 등 분석 결과를 15초 내에 제공한다. SKT는 기존 진단 범위였던 반려견의 근골격계 질환 7종, 흉부 질환 10종, 심장 크기 측정에 더 해 이번에 복부 질환 16종을 추가하며 진단 범위를 대폭 확대했다. SKT 관계자는 "복부 질환은 반려견이 가장 흔하게 걸리는 질병 중 하나로,이번 복부 진단 추가로 반려견의 주요 질환을 대부분 탐지할 수 있게 돼 엑스칼리버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엑스칼리버의 엑스레이 판독 결과를 국내 대형 동물병원 수의사의 판독 결과와 비교해 본 결과, 근골격 질환은 86%, 흉부 질환은 88% 수준까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에 추가된 복부 질환의 경우, 94%가 일치하는 등 질환 탐지에 있어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있다. 또 SKT는 엑스칼리버 요금제를 기존 월 33만원의 요금제에 추가해 베이직, 스탠다드 요금제 등 2종을 추가했다. KT는 반려견 활동량을 분석하는 'IoT웨어러블'과 적정 사료량 급여와 실시간 영상음성 소통이 가능한 '자동급식기'를 제공하는 '반려견 디바이스팩'을 출시, 반려동물 시장에 뛰어들었다. '반려견 디바이스팩'은 5G 초이스 요금제에서 '디바이스 초이스'를 가입하면 선택 가능하고, 반려견 디바이스 2종에 대한 할부원금을 24개월간 지원해 무료로 디바이스 이용이 가능하다. 반려견 디바이스 '페보프로(pevoPro) 웨어러블'은 KT IoT 통신 기능을 탑재해 주기적으로 반려견 활동량 기록을 업로드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활동량에 따른 급식량이 반영돼 카메라 내장 '펫위즈(PETWIZ)' 자동급식기를 통해 반려견의 적정 급식량을 조절해 배급해준다. 반려견 비만 관리 등 건강 관리도 도울 수 있다. 또한 페보프로 웨어러블은 페보프로(pevo) 앱을 통해 최근 '페보 댕박사' 서비스를 선보였다. 반려견의 활동, 산책, 휴식, 수면 등 건강에 밀접한 관련정보를 챗봇을 통해 최적화된 정보로 제공한다. 건강을 위한 적절한 산책을 제안해주기도 한다. 반려견 의료비가 부담스러운 고객을 위한 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다. 반려견 의료비 지원 프로그램 '페보(pevo) 반려견 케어플랜'은 월 1만원으로 반려견 의료비를 연 13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페보 반려견 케어플랜'은 반려견 활동량 분석 리포트 서비스 및 질병통원비, 입원비, 수술비 등 의료비 혜택을 제공한다. 반려견 디바이스 2종은 별도 상품으로도 구매가 가능하다. KT 관계자는 "반려견 디바이스팩은 반려견의 건강·섭식관리와 실질적 의료비 부담 경감을 위한 서비스로 기획했다"며 "스마트워치처럼 이통통신을 활용해 활동·수면·휴식 등 기본 데이터를 밀착 수집하고 관리·리포트와 위치 확인 서비스가 가능하다. 특히 월 1만원으로 통원치료를 지원하기 때문에 의료비 경감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반려견 서비스 플랫폼인 '포동'을 지난해 7월부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해 현재 가입자 29만명을 확보했다. 또 올해는 포동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고 가입자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포동은 반려견 성향분석 검사(DBTI), 견주의 고민을 상담해주는 '성향 상담소', 반려견 행동교정을 위해 보호자와 훈련사를 매칭시켜주는 '포동스쿨' 등 반려동물 양육가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또 반려견 훈련소인 '포동스쿨'을 각 지역에서 개소하고 있는데, 이를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지난 4월 전문훈련사 네트워크를 보유한 한국반려견평생교육원과 손잡고 포동스쿨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또 최근 경기도 용인시에 '포동스쿨' 고객을 위한 반려견 훈련소를 공식 오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