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대전시 어린이집 950곳, 석 달만 급감…"공공 어린이집 확충"
대전시 내 영유아 어린이집이 1000여 곳에서 석 달만에 950여 곳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감소에 따른 저출산 심화가 주된 원인이다. 대전시는 국공립, 시립 등 공공형 어린이집을 확대, 저출산 극복과 함께 부모들의 양육 부담을 덜어줄 방침이다. 24일 대전시에 따르면 올해 4월 31일 기준, 대전시내 영유아 어린이집은 총 948곳, 지난 1월 말(1011곳)보다 63곳 감소했다. 만 0~5세 영유아 수는 5만1017명으로 같은 기간 5만1878명 대비 861명 줄었다. 저출산으로 영유아 수가 감소, 어린이집 시설도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현상은 대전 유입 인구 수보다 전출 인구 수가 많다는 점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최근 통계청의 '전국 출생 사망 통계'에 따르면 2019년 147만명이었던 대전 인구는 2020년 146만명, 2021년 145만명, 2022년 144만명 등으로 매년 감소세다. 이 중 출생아 수는 2019년 8410명, 2020년 7481명, 2021년 7414명으로 감소세를 보이다 지난해 7700명으로 소폭 반등했다. 대전의 합계출산율도 2021년 0.81명에서 지난해 0.84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시도별로 보면 1위 세종 1.12, 2위 강원 0.97 등에 밀려 10위에 머물러 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한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평균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다. 다만, 지난해 전국 시도의 평균 조출생률과 합계출산율이 모두 감소한 것과 달리 대전만 유일하게 출산율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럼에도, 대전시의 출산장려책 관련 '육아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대전시 보육통계를 보면 올해 4월 기준 영유아 수는 5만1017명으로 1년 전보다 3000명 감소했다. 이 가운데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을 활용 중인 영유아는 3만7370명으로 이용률이 64%에 그쳤다. 10명 중 4명은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못 하고 있다는 의미다. 젊은층의 혼인률 감소에 따른 출산율 하락으로 가정 어린이집 등 민간 보육시설이 급감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풀이된다. 때문에 대전의 출산율을 끌어올리려면 현금성 지원 같은 단기 지원책보다 촘촘한 돌봄과 교육,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따른 청년인구 유입,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와 같은 인프라 확충 등 중장기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전시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 공공형 어린이집은 122곳으로 작년(127곳)보다 5곳 감소했다. 이 중 시립어린이집은 서구 2곳, 중구와 대덕구, 유성구 각 1곳으로 5곳에 불과하다. 그나마, 동구는 1곳도 없다. 이 같은 지적에 따라 대전시는 공공형 어린이집 확충에 주력할 방침이다. 지난 24일 대전 시립으능정이어린이집이 '시립선화하나어린이집'으로 이름을 바꿔 신축, 중구 선화동으로 이전했다. 어린이집은 연면적 787.15㎡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로, 보육실과 교사실, 조리실, 유희실, 다목적실, 옥상놀이터 등의 시설을 갖췄다. 보육정원은 11개 반 56명(0세 12명, 1세 15명, 2세 14명, 3세 15명)이고, 대전시사회서비스원이 위탁 운영한다. 대전 중구 은행동에 있었던 시립으능정이어린이집은 상가 지역 내 노후 건물에 위치한데다, 보육환경이 열악해 학부모들이 지속적으로 개선을 요구해왔다. 이후 대전시는 2019년 하나금융공익재단 및 푸르니보육지원재단과 업무협약을 체결, 36억원(국비 5억, 시비 17억, 하나금융그룹 14억)을 투입해 신축 이전을 추진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하나금융그룹과의 협력으로 지역의 보육여건을 개선할 수 있게 됐다"며 "저출산이 심각한 시기에 아이 키우기 좋은 대전 만들기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민동희 대전시 복지국장도 "초저출산 시대를 맞아 인구구조 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체감도 높은 생활 밀착형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