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
기사사진
"정치도 내 역할 중의 하나"

정치권이 내놓은 개혁 플랜이 국민을 감동시키지 못하는 상황에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이 기부재단 설립을 공식화하며 정치 참여 가능성을 열어놓자 인터넷은 들끓기 시작했다. 주식시장도 그동안 하락세를 보였던 안철수 테마주를 일제히 끌어올리며 안 원장의 대선 출마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안 원장은 6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연 ‘안철수재단 설립 계획 발표’ 기자회견에서 “우리 사회의 발전적인 변화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하는 생각 하에서 (재단 설립을) 진행했다”면서도 “정치도 그 중 하나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달 21일 미국 출장에서 돌아오며 “(여야가) 소임을 다하면 저 같은 사람까지 정치할 필요가 있을까 생각한다”고 말한 것과는 확실히 달라진 뉘앙스다. 전문가들은 이번 발언으로 안 원장이 정치권에 한 발짝 더 다가선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대선 출사표를 던지는 것을 포함해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선 때와 유사한 형태로 특정 후보에 대한 지지의사 표명 등 여러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긴 호흡으로 정국상황을 주시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최근 야권의 잠룡으로 분류되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의 지지율 상승이 안 원장의 행보를 정치권 쪽으로 돌렸을 것이란 해석도 나오고 있다. 리얼미터의 이달 첫째 주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문 상임고문의 지지율은 19.3%로 전주 17.4%보다 1.9%포인트 상승한 반면 안 원장은 21.2%로 2%포인트 하락했다. 재단 설립 시기를 두고도 미묘한 반응이 엇갈렸다. 재단 설립에 핵심적으로 관여한 강인철 변호사는 “재단 설립 인가가 3월 말~4월 초 완료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때는 4·11 총선 직전 정치권이 가장 활발한 시기로 안 원장이 주가를 끌어올리기 적합한 시점이라는 분석이다. 이사진 구성도 주목받고 있다. 이사장에 김대중계 인물로 꼽히는 박영숙 한국여성재단 고문을 내정한 것을 두고 범야권 껴안기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안 원장의 정치참여 여부를 둘러싸고 아고라 등 인터넷 게시판은 들끓는 중이다. “사회를 사랑하는 마음에서 나온 진지한 고민” “안원장이 정치에 참여한다면 한국 사회가 발전할 수 있다”는 반응과 “기부는 결국 정치에 참여하기 위한 간 보기 작업” “재단을 왜 정치인에게 맡기느냐” 등의 의견으로 나눠 열띤 토론이 벌어지고 있다. 주식시장에서도 안철수연구소는 전날보다 8.2% 오른 12만4000원에 장을 마감, 뜨거운 관심주임을 방증했다. 정치평론가 서영석씨는 “안 원장의 최근 행보는 본인 의지와 무관하게 정치권의 기대를 높이기에 충분했다”면서 “다만 준비가 안 돼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어느 쪽으로도 결심을 굳히지 않은 채 경계선상의 행보를 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012-02-07 10:08:3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朴, 아들뻘 청년에게 길을 묻다

한나라당이 아들 뻘 20대 청춘에게 길을 물었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쇄신’이 시작됐다는 평과 함께 10·26 재보선 패배 후 안철수 콤플렉스에 빠져있던 한나라당이 ‘리틀 안철수’라는 깜짝 카드를 꺼내들었다. 한나라당은 27일 이준석(26) 클라세스튜디오 대표를 비상대책위원으로 임명했다. 이 대표는 서울과학고·서울대·미국 하버드대를 졸업하고 현재 교육벤처 업체를 이끌고 있다. 박 비대위원장은 올해 10~11월경 저소득층 학생 대상 무료과외 봉사단체인 ‘배움을 나눈 사람들’(배나사)의 나눔 현장에서 이 대표를 처음 만났다. 박 대표가 한나라당의 취약층인 2040세대에 어필하기 위해 이 대표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영입을 제의할 만큼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비대위 첫 회의에 참석한 이 대표는 “대학등록금, 저소득층 학생 주거문제 등에 대해 진실되게 정책에 반영되도록 일해보고 싶다”며 “당당하게 제 의견을 말하고 2030세대 쿼터가 아니라 내 열정으로 정책들을 만들어 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 대표는 메트로신문과의 통화에서 “안철수 교수와 비교 자체가 안 된다. 본 받고 싶은 인물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미지를 이용당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당연한 지적이지만 비대위원 수락 때부터 박 비대위원장께 ‘조용히 있는 성격은 아니다’고 말했다”며 “논리로 설득당하지 않는 이상 끝까지 제 분야의 정책을 관철 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눔활동을 펼쳐온 수재 청년’의 한나라당 비대위 활동은 ‘늙고 불통인 정당으로 각인된 한나라당에 쇄신 바람을 일으킬 것’이란 기대와 더불어 ‘들러리로 전락할 것’이라는 싸늘한 반응을 동시에 자아내고 있다. 상당수 네티즌은 “기존 보수의 답답함을 풀어나가길 바란다” “이준석 청년이야말로 안철수보다 나라의 기둥이다” 라며 기대를 드러냈다. 반면 “아직 그쪽 생리를 잘 모르는 청년일 듯” “학벌 빵빵하고 저소득층 대상 무료 과외를 운영한다지만 겉치장 하는 걸로 밖에 안 보인다” 등의 우려도 만만치 않다.

2011-12-28 10:16:41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