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국감]지난해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사용 79억원…유의동 "FDS도입 등 대책 마련 시급"
신용카드를 위변조해 부정사용한 금액이 지난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 새누리당 의원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0년 57억원이던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사용액은 2012년 67억원, 지난해 79억원으로 급증했다. 불과 1년 새 10억 이상이 늘어난 것이다. 카드사별로는 우리카드가 18억4600만원으로 지난해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사용액 중 가장 많았다. 이어 KB국민(14억8400만원), 현대(11억2900만원), 신한(10억7000만원), 롯데(10억3300만원) 카드 순으로 나왔다. 문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도입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이다. 현재 카드사들은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위해 FDS(이상금융차단시스템·Fraud Detection System)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지만 국제카드FDS도입카드사는 롯데,신한,외환카드 3사 뿐이다. FDS란 전자금융거래에 사용되는 단말기 정보나 접속정보, 거래내용 등 다양하게 수집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의심거래를 탐지하고 이상금융거래를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카드사별로는 KB국민카드가 FDS를 이용해 올해 8개월 동안 536억원을 적발했고, 롯데카드는 157억원, 삼성카드는 91억원 상당의 위변조 부정사용액을 적발했다. 다만 외국인들의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사용액이 지난해 1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국제카드에 대한 FDS 시스템은 신한, 롯데, 외환 등 3개 카드사만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유 의원은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사용액이 매년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카드사들은 FDS 도입 등 관련 대책 마련에 인색하다"며 "금융위가 신용카드 부정사용에 대한 실태를 면밀하게 파악하고, 업계와 보안전문가와도 적극적으로 소통해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우리카드 관계자는 "우리카드의 위변조 부정사용액은 8억700만원"이라며 "포함하지 말았어야 할 금액은 해외에서 발생한 위변조 건 중에서 부정사용이 확인돼 승인 자체를 부도처리 한(해외부도회수) 금액"이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