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의 미학(美學)] 올림픽파크포레온 "숲이 품은 도시의 안식처"
최근 찾아간 서울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 포레온은 숲을 의미하는 '포레스트'와 한자어 따뜻할 온, 평온할 온의 합성어다. 푸른 숲에 위치한 따뜻하며 평온한 고품격 주거단지를 추구한다는 이름에 걸맞게 녹음이 우거진 작은 숲 속 같은 분위기다. 지난해 11월 입주를 시작했다. 지하철 5호선 둔촌동역 1번 출구에서 나오면 바로 앞에 단지가 보인다. 3단지 앞에는 9호선 둔촌오륜역이 있어 더블역세권이다. 1~3단지 내에는 위례초등학교가 있고 4단지 바로 앞에는 동북중·고교가 위치해 있다. 이밖에도 주변에 한산초·중교, 보성중·고교 등이 있는 학세권이다.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은 지하 3층~지상 최고 35층, 85개동, 총 1만2032세대 규모다. 대한민국에 현존하는 가장 큰 규모의 아파트다. 가구 타입은 전용면적 ▲29㎡A ▲39㎡A ▲49㎡A ▲59㎡A·B·C·D·E ▲84㎡A·B·C·D·E·F·G·H ▲109㎡A·B·C·D ▲113㎡A ▲134㎡A·B ▲139㎡A ▲144㎡A ▲156㎡PH ▲167㎡PH로 구성됐다. 시공은 현대건설·대우건설·HDC현대산업개발·롯데건설이 맡았다. 단군 이래 최대 단지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곳곳에서 산책로, 조각상, 석가산은 물론 다양한 테마의 정원과 포토존을 조성해 주민들에게 평안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제공하고 있다. 입구에 들어서면 메인 산책로인 '포레스트웨이'가 보인다. 힐링을 얻을 수 있는 숲길을 단지 내에 조성해 짙은 솔향과 소나무 숲길을 오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만들었다. 하트 모양의 포토존도 눈에 띈다. 소나무 사이로 하트조형물을 설치했다. 김건주 작가의 작품 '공간 이동(Move in space)'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순환하는 움직임을 통해 발전하며 공존하는 모습을 그려 나가는 삶의 과정을 형상화했다. 다양한 테마의 정원도 곳곳에 배치했다. 자연형 연못과 수변데크, 잔디광장으로 이뤄진 공간 '네이처가든'은 연못 주변으로 조성된 둘레길을 따라 걸으며 이웃들과 커뮤니티를 조성할 시간을 제공한다. 노랑꽃창포, 물억새, 부채붓꽃을 적용한 수생비오톱도 마련돼 있다. '크라우드 가든'은 다채롭게 꾸며진 초화 정원과 그 사이로 조성된 산책로를 걷다보면 잔잔한 안개가 펼쳐진다. 특히 한여름 무더위에 지쳤을 때 잠시 쉬어가기 좋은 곳이다. '성읍원'은 제주 산 아래의 작은 마을을 표현한 정원이다. 이끼석, 현무암 괴석을 무심히 놓고 해안가에서 자생하는 팽나무와 산기슭에서 볼 수 있는 작은 나무와 야생화를 식재했다. 동틀 녘에 나지막한 현무암 돌담에 앉아 있으면 안개 낀 제주의 고즈넉한 아침 분위기를 경험할 수 있다. 가을에 빛을 발하는 노르웨이단풍, 중국단풍, 은목서가 심겨진 정원 '만추원'에는 '가족'이라는 이름의 조각상이 있다. 단순한 형태가 아닌 겹겹이 겹쳐진 층으로 조각된 작품으로 각자의 유년 시절에 있었을 기억을 매개로 서로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휴휴원'은 '물 위에 떠 있는 바위산'을 의미하는 '부소담악'에서 착안, 70m의 계류와 연못, 네 개의 폭포 주변에 소나무와 배롱나무를 식재했다. 한국의 돌과 물의 풍경 속에서 "쉬고 또 쉬어간다"의 의미를 느낄 수 있다. 워터 라운지 '투영의 정원'에서는 유려한 곡선 레이어의 조형 폰드와 미술작품 '플로팅 스톤'을 감상할 수 있다. 떠오르는 햇살이 작품 뒤에서 흩뿌려지는 아침과 몽환적인 분위기의 저녁 경관을 즐길 수 있는 물의 정원이다. '둔촌진경원'은 깊은 계곡 물 사이를 거니는 듯한 석가산 수경시설, 둔촌진경산수원, 한낮의 시원한 물길부터 저녁의 고즈넉한 경관 조명까지 다양한 풍경의 변화를 즐길 수 있다. 4단지 역시 다양한 테마의 정원과 조각상이 위치해 있다. 우선 조각상 '8개의 대칭정원'이 입주민을 반긴다. 위아래의 극명한 대비와 반사가 만드는 아름다운 환영은 본래 자연과 발달된 인공성이 공존하며 잘 가꿔진 우리 시대의 환경을 보여준다. 시원한 수경시설과 특별한 휴게공간이 있는 물빛 커뮤니티 정원 '스트림웨이가든', 아름다운 나뭇잎을 감상하며 이웃과 정을 나누는 휴게정원 '슬로우가든(리프)', 자연을 닮은 석가산, 생태연못 등 싱그러운 풀빛 커뮤니티 정원 '포레스트웨이가든' 등이 있다. 넓은 잔디밭과 팽나무 정원을 조성하고 과거 둔촌아파트 411동 인근에 있었던 원기둥 조형물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설치한 '메모리얼가든'에서는 시원한 팽나무 그늘 아래에서 과거 둔촌아파트의 추억에 잠겨볼 수 있다. 김용관 작가의 작품 '대칭행렬:눈빛'은 눈 결정체와 자연의 모습을 담았다. 똑같은 모양의 눈 결정체는 없듯 우리의 일상도 멀리서 보면 평범하지만 가까이서 보면 매 순간이 특별함을 나타낸다. 임의와 우연, 무작위 속에서 생겨난 패턴을 가지고 만든 작품이다. 오유경 작가의 작품 '바람의 탑'은 물과 돌, 곡선 등 자연의 요소를 단순화해 다양하게 조합한 작품이다. 소망을 뜻하는 '바람'과 자연의 '바람'을 담아 두 가지 의미를 조화롭게 담았다. 대지 위에 우뚝 선 바람의 탑은 마음 속 깊은 곳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사유의 시간을 선사한다. 김태수 작가의 작품 '더 화이트 카타르시스'는 유기적인 형태를 통해 하나의 조화로운 생명으로 피어나는 자연의 본성을 표현한다. 순수를 상징하는 하얀색을 띠고 생동하는 작품은 마음 속에 쌓인 불안, 우울, 긴장과 같은 응어리진 감정을 풀어내고 마음을 정화하는 치유의 생명력을 선사하고자 한다. '워킹 위드 프렌드' 피카소의 작품 중 선을 최소화한 동물 드로잉에서 모티브를 얻어 캔버스가 아닌 3차원 공간 속에 새롭게 재현한 작품이다. 반려견과 산책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바쁘게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이 서로를 돌아보고 아껴줄 수 있는 시간을 가지기를 바라는 마음, 인간과 동물이 함께 어우러져 사는 세상을 담아 행복을 선사한다./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