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주리
기사사진
佛 전역 택시 파업..'콜택시' 반대와 자격증 비용에 문제제기

프랑스 전역의 택시가 13일(현지시각)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파업의 이유는 '관광용 예약 콜택시(VTC)' 우대 정책과 택시 운전 자격증 비용 인상 때문. 이 두 가지 현안에 반대하는 다섯개의 프랑스 택시 조합은 전국적으로 파업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시위는 파리, 마르세유, 보르도, 몽펠리에, 리옹 등에서 진행 될 예정이다. 현재 택시 조합이 정부에 요구하는 사항은 VTC 우대 정책을 수정하라는 것이다. 조합측은 VTC에 대해 더 엄격한 규제를 원하는 상황. 지난 1월 1일부터 적용된 법에 따르면 VTC를 타기 위해선 15분전 예약을 해야하지만 택시 조합은 이를 30분으로 늘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VTC 가격도 1회 60 유로(한화 약 8만 6000원)로 인상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관광객에 한해 예약이 가능했던 VTC가 일반인들도 예약이 가능해지면서 문제는 더욱 커진 것으로 보인다. ◆ 택시 운전 자격증 비용도 불만 지난 10월부터 파리 지역에 추가적으로 허용된 1000여 대의 택시도 문제로 거론된다. 또한 택시 운전 자격증 비용에 대해서도 많은 불만이 나오는 상황. 전국개인택시연합의 나딘 아네(Nadine Annet) 전회장은 "개인택시를 위한 자격증 비용은 지방의 경우 5만 유로(한화 약 7226만원)가 들고 대도시는 25만 유로(한화 약 3억 6000만원)까지 든다. 지역에 따라 40만 유로(한화 약 5억7000만원)가 드는 곳도 있다"면서 "여기에 택시처럼 꾸미는 비용으로 2500 유로(한화 약 361만원)가 더 든다. 이렇게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등록 비용이 150 유로(한화 약 21만원)로 저렴한 VTC가 인기를 얻고 있다. VTC는 택시와 달리 별다른 요구 조건도 없다. 택시는 과도하게 규제되지만 VTC는 부담도 없고 자유롭다"라고 밝혔다. 현재 프랑스엔 5만여대의 전문 택시가 있으며 1만대의 VTC가 있다. / 토마 루르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13 15:33:50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악기 기증받아 '대여 협회' 만들어..두 프랑스 청년의 참신한 아이디어 눈길

프랑스에서 두 청년이 악기를 기증받아 대여 협회를 만들어 주목 받고 있다. 낭트에 사는 두 청년 얀 비트비에르(Yann Bittebiere)와 케빈 카엘로(Kevin Cahello)는 악기 대여 협회 '튜닝 포크(Tuning Fork)'를 만들었다. 이들은 협회를 만들게 된 동기에 대해 "악기 연주는 여전히 엘리트만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경향이 강하다. 여기엔 값비싼 악기 가격이 큰 몫을 한다. 기타만 하더라도 구입을 위해선 적어도 120 유로(한화 약 17만3000원)이 든다. 악기를 연주하고 싶어도 이 비용을 낼만한 여유가 없는 경우가 많다"라고 밝혔다. 협회에서 사용할 악기를 위해선 사용하지 않는 중고 악기들을 기부받는 방식을 택했다. 이들은 "악기를 가지고도 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협회에 기증하면 많은 사람들이 쓸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방법이다"라고 설명했다. 입소문을 타자 기증된 악기는 젬베부터 트롬본까지 십여개가 모였다. 이들은 "우린 악기 뿐 아니라 악보도 받는다. 악기 연주 수업을 위해선 악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 2014년 10월부터 오픈 악기 대여 서비스는 올해 10월부터 시작될 예정. 모바일로 예약이 가능한 시스템 구성이 진행중에 있다. 이들은 "인터넷으로 기부 및 대여 예약을 받으면 낭트의 주요 지점 3~4곳을 정해 대여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직접 사람들을 찾아가는 방식이 악기를 연주하고 음악을 사랑하는 방식이라 생각한다"라고 설명했다. / 실비 로렌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10 18:51:03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사라진 역사적 건축물, 3D로 복원한 프랑스 건축가 눈길

프랑스 니스의 한 건축가가 3D로 사라진 건축물을 복원한 후 재해석해 관심을 받고 있다. 니스의 상징이었던 주테-프로므나드(Jetee-Promenade)는 해상 위에 지어진 카지노로 지난 1944년 2차 세계 대전 당시 파괴된 건물이다. 이 건물에 대해 젊은 건축가 마리오 바소(Mario Basso)가 3D 작업을 통한 건물 복원에 나섰다. 그는 "1년 전 카지노 건물이 담긴 옛날 엽서들을 보고 결심을 하게 됐다. 사라진 건물을 3D로 만드는 일을 하고 싶었다"라고 밝혔다. ◆ 작업 시간 5000시간에 달해 복원 작업을 위해 그는 홀로 수많은 작업 준비를 시작했다. 중고 서점이나 골동품 상점에서 예전 기록 및 사진을 찾는가 하면 건물 설계와 관련된 문헌 조사를 하는 일도 직접 했다. 그는 "작업을 위해 자료들을 취합하고 건물 크기를 컴퓨터로 구현하는 작업을 끊임없이 시도했다. 덕분에 작업량이 많아 주말, 공휴일 할 것 없이 모든 시간을 쏟아야 했다. 제작 시간은 5000시간 정도 되는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열정과 노력을 통해 만들어진 3D 건물은 카지노를 복원하는 것 뿐 아니라 21세기 현재 니스의 모습에 복원 건물을 넣어 현대와 과거를 함께 보여준다. 바다 속 7m 아래부터 기둥으로 받쳐져 있는 건물과 바다가 펼쳐지는 창문은 현대적인 스타일로 변모했다. 이미 2004년 니스의 북역(Gare de Nord)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주목을 받았던 마리오 바소는 앞으로도 후원을 통해 예전 역사적 건축물들을 재해석 하고 싶다고 밝혔다. / 미셸 베르누앙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10 16:33:05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퍼스널 쇼퍼(Personnal Shopper)'로 프랑스에서 사는 법?

프랑스 리옹에서 '퍼스널 쇼퍼(Personnal Shopper)'라는 직업을 가진 한 여성이 눈길을 끌고 있다. 쇼핑은 즐거움인 동시에 골칫거리이기도 하다. 지난 8일부터 프랑스 전역에서 대대적으로 겨울 세일이 시작됨에 따라 쇼핑을 통해 무언가를 사야만 하는 강박감도 높아지는 상황. 이러한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해 퍼스널 쇼퍼 '소피 프레고나라(Sophie Fregonara)'가 있다. 패션 관련 파워 블로거이기도 한 32세의 이 여성은 매번 자신의 고객들을 위해 쇼핑 리스트를 적고 아이템을 구입한다. 그녀는 "전체적인 스타일을 구상한 뒤 그에 맞춰서 아이템을 사야한다. 캐시미어 소재의 스웨터와 검은색의 원피스엔 가죽 부츠가 잘 어울린다"라고 설명했다. ◆200 유로 예산에서 24시간 내에 구입 소피의 경우 쇼핑시 평균 200 유로(한화 약 28만원)라는 예산 안에서 사야 하는 물품을 모두 구입한다. 거기에 24시간이라는 제한된 시간까지 쇼핑을 마치기 때문에 인기가 높은 편. 이는 쇼핑 전 인터넷에서 브랜드 가격을 비교하고 가격을 계산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녀는 "시간이 없을 땐 주요 아이템을 먼저 고른 뒤 그에 맞춰서 악세서리를 바꾼다. 그렇지 않으면 시간이 많이 걸린다"라고 밝혔다. / 로라 레팡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09 14:39:24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전기차 공유 서비스, 남프랑스에 상용화 될까?

남프랑스에서 전기차 공유 서비스가 적은 수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프랑스의 수도 파리에서 전기차 공유 서비스는 오토리브(Autolib')라 불리며 큰 인기를 얻었다. 파리에 이어 리옹(Lyon), 보르도(Bordeaux)등이 서비스 도입을 추진했으며 남프랑스 도시 '마르세유' 역시 공유 시스템 상용화를 목표로 두고 있는 상황. 마르세유의 경우 전기차가 길거리에서 잘 보이지는 않지만 공유 전기차를 활용하는 비율은 프랑스 전체 도시 중 2위를 차지했다. 다양한 위치에서 쉽게 차를 빌려 짧은 거리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시티즈 프로방스(Citiz Provence)라 불리는 이 전기차 공유 서비스는 60대의 전기차가 20여개의 역에 배치되는 시스템이다. 마르세유에 전기차 공유 서비스가 도입된 지는 10년째. 하지만 이 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은 1000명 남짓이다. 대중운동연합(UMP)의 로르-아네스 카라덱(Laure-Agnes Caradec) 보좌관은 "공유 서비스를 상용화 하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공유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은 시민들에게 시간을 두고 서비스를 선보여야 한다"라고 밝혔다. ◆ 80km까지 주행 가능 이번주부터 추가로 5대의 전기차가 투입됐다. 올해 말까지 마르세유는 15대의 전기차를 추가로 공급할 계획이다. 사용료는 등록비 50 유로(한화 약 7만2000원)에 매 달 11 유로(한화 약 1만5000원)를 내면 된다. 충전이 완전하게 된 경우 전기차는 80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 에릭 미구에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09 14:14:12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쇼핑'위해 파리로..프랑스, 중국인 관광객으로 쇼핑 매출 껑충

프랑스 파리가 지난 2013년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높은 쇼핑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중국인들에게 에펠탑, 루브르와 같은 관광지는 성에 차지 않아 보인다. 이들은 명소를 찾는 것 보다는 '쇼핑'을 위해 파리를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들은 파리에서 화장품, 명품 의류, 신발과 같은 쇼핑을 하며 관광을 시작한다. 파리 관광청 부속 학회(OTC)에서 발표한 이러한 중국인들의 관광 성향은 '쇼핑'이 중요한 관광 목적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 관광 산업을 주관하는 아투 프랑스(Atout France)의 크리스티앙 망테(Christian Mantei) 대표는 "우리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더 많은 돈을 쓰게 하기 위해 프랑스의 낭만을 이용한다. 그리고 프랑스의 낭만 뒤엔 명품 가방들이 놓여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많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소비를 통한 즐거움을 위해 파리를 오는 것을 보여준다. OTC의 토마 데샹(Thomas Deschamps) 통계 담당자는 "평균 15%의 관광객들이 '쇼핑'을 위해 파리를 찾는다고 답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중국의 경우 2013년 관광객이 전년 대비 14.9% 증가했으며 중동국가의 관광객도 증가 양상을 보였다.. ◆프랑스에겐 하나의 기회 관광업에 종사하는 경우 이러한 흐름은 큰 기회로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체 관광객 중 중국인 비율이 1%임을 감안할 때 발전 가능성은 무한한 상황. 프랑스상공회의소는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주말에도 가게 영업을 허용할 것을 주장하기도 했다. / 벵상 미셸롱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08 15:14:51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佛 테마파크서 폭발 사고..근로자 1명 사망

프랑스의 한 테마파크에서 폭발 사고가 일어나 사상자가 발생했다. 지난 6일 오후 3시 무렵 루앙(Rouen)에서 25km 떨어진 보카스(Bocasse) 테마파크에서 폭발이 일어났다. 이 사고로 1명이 죽고 1명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20여명의 소방사들이 사고 현장에 모였다. 수습을 이끈 크리스토프 마르그리트(Christophe Margrit) 소방대장은 "우린 사건 현장에서 충격을 받은 피해자들을 진정시키는 일을 맡았다"라고 밝혔다, ◆ 근무 중 사고 난 것으로 추정 현재까지 구체적인 폭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상황. 폭발은 테마파크 유지 보수실에서 최초로 일어났으며 이곳은 월요일에는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는 장소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지 76악츄(76Actu)에 따르면 사고를 당한 피해자는 테마파크의 근무자들이다. 경찰은 "총 5명의 피해자가 발생했다. 이 중 1명은 사망했으며 1명은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나머지 세 명은 충격을 받은 상태다"라고 밝혔다. 사건 발생 후 2시간 만인 오후 5시 무렵 도착한 수사관들은 "근무 중 일어난 사고이며 범죄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라고 밝혔다. 한편 사고가 발생한 보카스 테마파크는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테마파크 중 하나다. 지난 2012년엔 19만2000명의 방문객이 이곳을 찾았다. / 다비드 페로탕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07 16:49:13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佛 레지옹도뇌르 훈장 명예 추락?..훈장 거부한 정치인 주목 받아

프랑스 최고의 영예인 레지옹도뇌르(Légion d'honneur)훈장을 거부한 정치인이 주목받고 있다. 레지옹도뇌르 훈장은 프랑스 최고의 훈장을 의미하지만 모든 프랑스 사람들을 만족시키진 않는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의 아나키스트 가수 레오 페레(Léo Ferré)는 샹송을 통해 "이 불행한 리본 장식과 부끄러움을 느끼게하는 빨간 빛의 훈장은"이라는 표현을 했으며 대표적 프랑스 가수 조르쥬 브라상(Georges Brassens) 역시 "이 치명적인 훈장은 용인되지 않는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지난 1월 1일엔 프랑스 물루즈(Mulhouse) 교외 지역의 한 사회주의자 시장이 레지옹도뇌르 훈장을 거부했다. 그는 훈장 수상 후보로 거론된 것에 대해 "훈장에 관심도 없고 대단치 않은 일이라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또 알자스 지방의 정치인 요 슈피겔(Jo Spiegel)은 페이스북을 통해 "시간이 갈수록 레지옹도뇌르는 그 신뢰가 떨어지고 있으며 민주주의의 위기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라고 밝히며 훈장을 거부했다. 공개적으로 훈장을 거부하고 비판한 정치인은 그가 처음이다. 위키피디아의 레지옹 도뇌르 관련 정보를 보면 지금까지 수상을 거부한 인물 리스트가 눈에 띈다. 가수,배우,작가,정치인,언론인 등 다양한 수상 거부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권력에 대항하거나 훈장을 조롱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레지옹도뇌르 훈장을 거부했다. 프랑스의 대표적 여성 작가 조르주 상드(George Sand)는 훈장을 추천한 장관에게 "이러지 마세요 친구여, 전 나이든 여자 관리인처럼 보이고 싶지 않습니다"라고 편지로 전하기도 했다. 프랑소와 올랑드(François Hollande) 대통령이 집권한 이후엔 다양한 분야의 유명인사들이 수상을 거부했다. 2012년 8월의 경우 아니 테보-모니(Annie Thébaud-Mony) 암 전문 연구원이 건강을 일로 삼아 수상받는 것을 거부했으며 2013년 1월 만화가 자크 타르디(Jacques Tardi)는 자신의 창의력과 사고를 가두지 않겠다는 의미로 수상을 거부했다. / 질 다니엘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06 15:58:31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영하 35도 밖에서 살아남기?..이색 모험 즐기는 캐나다 단체 눈길

캐나다에서 영하 35도의 추위를 이겨내며 생존 모험을 하는 단체가 주목 받고 있다. 큐쥬악(Kuujjuaq)이라 불리는 이 팀은 지난주 퀘벡주 북쪽의 추위를 알아보기 위해 몬트리올을 떠나 걷기 시작했다.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해 큐쥬악 팀과 함께 떠난 다비드 마르코트는 "추위가 심하지만 앞으로의 일정을 위해선 훌륭한 준비 과정이라 생각한다. 현재 준비물 및 계획은 완벽하다"라고 밝혔다. 이미 한차례 선발대가 떠났으며, 후발대원들은 오는 6일까지 목표 지점에 도착해야 한다. 인기척이라곤 전혀 없는 숲속에서 선발대의 흔적을 따라 걷는 이들은 나무를 활용해 집을 지어 야영을 해야 한다. 도착 날까지 밤온도가 영하 30도까지 떨어지는 날도 많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시도된 이러한 방식의 모험은 한차례 뿐이다. 33년 전 80여명으로 구성된 단체가 당시 개발중이었던 고어텍스 소재를 활용해 자연 속 추위에 맞선 것. 하지만 이들 역시 동상을 피하진 못했다. 하지만 이번 카리부(Karibu) 프로젝트는 최첨단 섬유의 혜택을 크게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다비드 마르코트는 "침낭의 경우 특수 소재로 영하 40도까지 견딜 수 있다. 또한 방수 처리가 되어 있어 땀이 나도 젖지 않는다. 장화도 마찬가지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스포츠 프로젝트는 익스트림 관광 가이드 직업을 체험하고 끈기를 키우는 목적으로 진행된다. / 마티아스 마르셸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03 19:39:22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체감온도 영하 40도.. 캐나다 몬트리올 시민들 한파에 패닉

지난 2일 캐나다 몬트리올의 기온이 영하 27도까지 떨어졌다. 몬트리올 트뤼도 국제공항에서 측정한 낮 기온은 영하 27도로 이는 지난 1981년 1월 2일의 낮 기온 영하 28.3도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1981년 1월 2일은 몬트리올에서 지금까지 가장 추웠던 날씨로 남아있다. 몬트리올의 1월 초 평년기온은 영하 5도 수준임을 감안할 때 지난 2일 역시 이례적인 추위를 보였다. 이번 한파엔 지속적인 저기압의 영향으로 북서쪽에서 출발한 강한 바람이 퀘벡주를 향한 것으로 해석된다. 바람은 강한 한기를 가져 체감온도는 영하 40도까지 떨어졌다. 앙드레 캉탕(Andre Cantin) 기상학자는 "외부에 신체가 노출될 경우 한파로 인해 체온이 갑자기 떨어질 수 있다"라고 당부했다. 이로 인해 가벼운 동상 증세를 보여 응급실을 찾아간 환자수도 증가했다. 맥길종합대학병원의 응급센터장 마크 트로케(Marc Troquet)는 "한파에 피부가 노출될 경우 순식간에 동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아이와 노인의 경우 동상에 걸리는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에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동상에 걸릴 경우 피부에 상처가 남을 가능성도 있다. 손가락, 발가락, 코, 귀는 특히 취약한 부분. 특정 부위가 하얘지거나 노랗게 변할 경우엔 즉시 따뜻한 곳에서 몸을 녹이는 것이 필요하다. / 로잔느 레우종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03 18:18:01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佛 2014년도 신년 맞이 방화..그래도 지난해보다 줄어들어

프랑스에서 새해 맞이 방화 사고율이 지난해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마뉴엘 발(Manuel Valls) 내무부장관은 2014년 첫 시작을 기분 좋은 통계를 발표하며 시작했다. 그는 새해를 맞이하며 길거리에 있는 자동차에 불을 지르는 방화 비율이 지난해보다 10.6% 줄어든 것에 대해 만족감을 나타냈다. 작년의 경우 동일 사건의 발생 건수는 1193회에 달했다. 가장 사건이 많이 일어난 지역은 파리 북부 외곽지역 센생드니(Seine-Saint-Denis)로 이 지역에서만 80여건의 자동차 방화사건이 일어났다. 이러한 새해 방화 범죄를 막기 위해 경찰들이 1월 1일 새벽엔 길거리를 지키기도 했다. ◆322명 불심검문..이 중 217명은 구류 처분 총 5만3000명의 경찰관 및 헌병이 새해 축제가 진행되는 동안 주변을 지켰다. 내무부장관에 따르면 이 중 경찰 5명은 과도한 몸싸움으로 부상을 입기도 했다. 이렇게 공권력을 투입한 보안 강화책으로 총 322명이 불심검문을 받았으며 이중 217명은 구류 처분을 받았다. 이는 지난해와 비슷한 비율을 보인다. 이어 마뉴엘 발 장관은 이번 신년 축제에서 시민 3명이 칼에 찔려 숨진것을 언급하며 "이렇게 극악무도한 범죄를 벌인 범인을 잡기 위해 모든 방법을 사용하겠다"라고 강하게 밝혔다. / 마크 므슈누아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02 18:04:55 정주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