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재영
파리 외곽순환도로 '환경보호'위해 제한 속도 기준 높인다

내년 1월부터 파리 외곽순환도로의 제한 속도가 70km/h로 강화되는 데 대해 프랑스 행정재판소가 법령 검토에 나섰다. 현재 파리 외곽순환도로의 제한 속도는 80km/h다. 베르트랑 들라노에(Bertrand Delanoe)의원의 주도로 지난 2년간 추진되어 온 이번 속도 감축안은 지난 12월 12일과 13일 공기 오염도가 경고 수위를 넘어선 이후 추진에 탄력을 받고 있다. 파리시는 소음 및 공기 오염이 줄어드는 것을 기대하고 있는 상황. 지난 8월 파리시 교통 담당관 줄리앙 바르쥬통(Julien Bargeton)은 "법령이 시행될 경우 도로의 안전, 소음 해소, 대기 오염 감소와 같은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또 "대기오염 농도가 약 5% 이하로 내려갈 경우 시민들의 건강에도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겉보기에만 그럴듯? 하지만 높아진 제한 기준에 대해 일-드-프랑스(Ils-de-France) 운전자클럽 대표 시몽 미달(Simon Midal)은 강한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외곽순환도로의 실질 속도가 이미 80km/h 이하라고 주장한 그는 속도 제한 폭이 높아져도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자동차 속도를 10km/h 줄일 경우 소음은 낮엔 0.5~1㏈(데시벨), 밤엔 1.5㏈(데시벨) 줄어든다. 이에 대해 파리소음감시기구(Bruitparif)의 회장 줄리 노비옹(Julie Nauvion)은 "소음이 줄어드는 폭이 극히 미미하다. 소음 감소 효과를 보려면 제한 속도를 15% 정도 줄여야 한다. 또 외곽순환도로만 제한할 것이 아니라 전지역의 고속도로를 모두 통제해야 한다"라고 평가했다. / 오잘 에미에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3-12-17 19:59:27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여보세요,시장님!' 휴대기기로 민원 신고..공공 서비스 부문 대상

2013 프랑스 공공 서비스 시상식에서 시민들이 시장에게 의견을 보내는 시스템 '여보세요-시장님(Allo-mairie.com)'이 대상을 수상했다. 탁아소 건립, 가로등 수리와 같은 일들을 시장에게 바로 알릴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런 고민 해결을 위해 '여보세요-시장님' 서비스가 만들어졌다. 공공 서비스 시상식에서 대상을 수상한 이 시스템은 사회당 소속 산업부 장관 아르노 몽트부르(Arnaud Montebourg)의 후원 아래 완성됐다. 서비스를 기획한 회사 창립자 르노 프로뵈르(Renaud Proveur)는 "이 서비스는 처음엔 시장과 전화통화를 하는 개념으로 만들어 졌다. 개발한 이후 컴퓨터,스마트폰,태블릿P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 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처음 전화로만 서비스를 시작했을 땐 아침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시간이 제한돼 민원을 다 받기 어려웠다. 하지만 스마트폰, 태블릿PC까지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더 많은 시민들이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라고 덧붙였다. 현재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민의 비율은 10~20%에 달한다. '여보세요-시장님'은 민원을 중요도에 따라 분류 하는 강점이 있다. 르노 프로뵈르 사장은 "길에 위험한 물체가 있다는 접수를 받으면 바로 담당자에게 전달된다. 그래서 사건·사고가 난 경우 대처에 뛰어나다"라고 밝혔다. ◆도심 연결하는 조직망 단일 민원을 신고하는 기능도 뛰어나지만 여러 민원이 모여 대규모 사업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르노 프로뵈르 사장은 "만약 많은 주민이 탁아소 건립을 원할 경우 시장은 민원 양에 따라 탁아소 건립을 추진하고 그에 맞는 예산을 기부금 형식으로 모집한다. 민원수에 따라 호응도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대규모 사업의 경우 수요 측정이 용이하다"라고 설명했다. 도심을 연결해 주는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뛰어나다. 그는 "사는곳 근처에 스포츠센터를 만들어 달라는 민원을 받을 경우 시장이 민원을 보낸 시민에게 바로 이메일을 보낼 수 있다. 이럴 경우 관련된 정보들을 보내주기 때문에 시민들이 새로운 연결망을 만날 수 있게 된다"라고 설명헀다. / 장-세바스티앙 장치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3-12-17 19:57:39 정주리 기자
X-MAS를 위해 하루 1만개 배달하는 완벽 배송 '눈길'

프랑스 리옹에서 특별한 시스템을 이용해 보다 많은 크리스마스 선물을 배송하는 사이트가 인기다. 택배 운송 사이트 'LDLC.com'의 사장 레미 헬름스테터(Remi Helmstetter)는 "산타할아버지가 나이가 들어 늙었으니 우리가 그들을 도와야 한다"라며 농담을 던졌다. 그는 오는 25일 유럽 최대의 명절인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선물 배송이 쌓여 신경이 곤두서 있다. 2만1000㎡에 달하는 화물창고엔 크리스마스까지 배송해야 하는 각종 소포들이 가득하다. ◆매일 1만개에 달하는 소포 보내 레미 헬름스테터 사장은 대규모 크리스마스 배송을 위해 지난 11월 중순부터 임시 근무팀 3개조를 뒀다. 크리스마스 선물의 경우 주로 하이테크 제품이 많아 주문서 작성을 위해 아침 6시부터 새벽 1시 30분까지 업무가 계속되는 상황. 하지만 업무량이 많아도 배송 날짜는 정확하게 지켜진다. 그는 "크리스마스 때는 절대 배송이 늦어지면 안된다. 크리스마스 선물을 그 다음날 받는다는 건 상상도 할 수 없다"라고 설명했다. 이곳에선 매일 1만개에 달하는 소포들이 전산처리 되며 배송된다. 이는 한해 평균 배송량보다 두 배 많은 양이다. 전산처리된 소포들은 오류를 막기 위해 하나하나 사진으로 기록되는 과정도 거친다. / 피에르-알렉상드르 브방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3-12-17 19:54:34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러시아 동성애법 반대, 소치 올림픽 개막식 보이콧 이어져

다가오는 2014년 2월 러시아의 소치 올림픽을 앞두고 유럽 분위기가 심상찮다. 지난 6월 푸틴이 서명한 동성애 혐오법을 두고 이에 반대하는 유럽 국가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 현재 유럽 국가들은 '인권'과 '외교'를 놓고 딜레마에 빠진 상황이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경우 니콜라 사르코지 역시 베이징에 가는 것을 망설인 바 있다. 이에 대해 당시 중진의원 이었던 장-마르크 아이로(Jean-Marc Ayrault)의원은 "프랑스의 외교가 앞뒤가 모순됐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다"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6년이 지나 보수당과 진보당의 차이만 있을 뿐 여전히 되풀이 되고 있다. 유럽의회 전회장 비비안느 레딩(Viviane Reding)은 트위터를 통해 소치에 가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 그녀는 "성소수자들이 그곳에 가면 결국 러시아 법대로 차별을 당할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이유를 들었다.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Barack Obama)는 보다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공식석상에서 러시아의 동성애 혐오법에 대해 의견을 표명한 적이 없는 그는 소치 올림픽을 거부하는 행동은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올림픽 개최식에는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 독일과 비슷한 견해 보여 지난 일요일엔 로랑 파비우스(Laurent Fabius) 외무부 장관이 "올랑드 대통령이나 다른 장관들이 소치 올림픽에 가지 않을 예정"이라 발표했다. 발표 이후 많은 사람들이 소치 올림픽을 보이콧하는 것이 아니냐 묻자 이튿날 "겨울에 열리는 올림픽은 대통령이 가지 않는게 일반적인 관례"라는 해명을 하기도 했다. 현재 프랑스는 독일의 입장을 따라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주 독일 대통령 요아힘 가우크(Joachim Gauck)는 소치 올림픽의 불참 의사를 밝히며 "이러한 결정은 정치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언론은 올림픽 보이콧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냐며 의견이 분분한 상황. 이에 대해 러시아 의원들은 "사적인 문제라면 이해할 수 있지만 정치적으론 무모한 발언이었다"라고 밝혔다. / 줄리 멘델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3-12-17 19:49:48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비트코인'으로 신발 구입 가능...사이버화폐 현실화

몬트리올의 한 신발가게가 비트코인을 이용한 결제 제도를 도입해 눈길을 끌고 있다. 중세시대때 만들어진 '즈크화'를 21세기 화폐인 비트코인으로 구입할 수 있게 된 것. 신발 매장 주인인 디에고 아르느도(Diego Arnedo)는 "전통과 현재가 만나는 방식이 재미있다"고 웃음 지었다. 그는 "비트코인은 현재 하나의 트렌드면서 전세계적 화폐다. 이런 흐름을 가게에도 적용해 보고 싶었다"라고 밝혔다. 지난 2009년 처음 세상에 등장한 비트코인은 국적,은행과는 상관없는 독자적인 가상화폐다. 일본의 한 익명의 프로그래머가 구상한 시스템으로 화폐의 진위여부가 드러나기 때문에 부정행위나 사기사건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페이팔(Paypal)처럼 인터넷 상거래도 가능하며 실제 상점에서도 지불이 가능하다. 매장 주인 디에고 아르느도는 "이곳에서 신발을 비트코인으로 구입하길 원할 경우 스마트폰의 QR코드를 계산대에서 스캔한다. 그렇게되면 비트코인이 거래되며 실시간으로 거래잔고를 확인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가상 화폐이기 때문에 비자(Visa),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merican Express), 페이팔(Paypal)과 같은 결제 서비스에서 3~4% 수수료를 요구한다. 거기에 아직까지 구체적인 비트코인 거래 규정이 없는 상황. 비트코인으로 결제가 가능한 매장을 소개하는 'coinmap.org'에 들어가보면 몬트리올엔 약 15여개 매장만이 나와있다. 한 3D 프린터기 회사 사장 프랑소와 라에이(Francois Lahey)는 "가맹점이 적은 것은 당연하다. 비트코인의 경우 그 가치가 지난 45일간 계속해서 변화를 보여왔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사람들은 비트코인을 소비의 목적이 아닌 투자의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고문변호사 아담 아틀라스(Adam Atlas)는 국세청이 현재 비트코인을 화폐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상인들의 매출 집계에도 포함되지 않는다고 지적헀다. 몬트리올 상점의 비트코인 도입은 더딘편이지만 그 인기는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몬트리올의 비트코인 대사 파비앙 로드리게즈(Fabian Rodriguez)는 당국과 은행을 대상으로 비트코인 화폐 도입을 요구하는 상황. 또한 기업 및 시민들에게 비트코인 활용법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그는 "지난 강연땐 150여명의 사람이 방문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다음 강연에선 비트코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부터 구체적 활용법까지 이야기를 나눌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비트코인을 통해 희망을 되찾은 경우도 있다. 이란의 신발 기업 '페르시안 슈즈(Persian Shoes)'는 서방국을 대상으로 수출이 제한돼 인터넷 판매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인터넷 결제시 페이팔이나 비자가 까다로운 조건을 요구했기 때문에 여기서 비트코인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특별한 규제가 없는 비트코인을 결제수단으로 정한 결과 높은 수익을 얻었다는 후문이다. / 마티아스 마르샬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3-12-17 15:32:43 정주리 기자
프랑스 초저가 진료 치과 인기

저렴한 가격으로 치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로우 코스트(low-cost) 치과'가 내년 1월 프랑스 남부 오바뉴(Aubagne)에 생긴다 로우 코스트 치과는 '덴티프리(Dentifree)'라는 이름으로 지난 9월 북부 도시 릴(Lille)에서 처음 개업했다. 언뜻 보면 진료실이나 상담실 등의 공간이 다른 치과와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진료 과목과 가격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릴의 로우 코스트 치과 담당자 니콜라 티베르(Nicolas Thibert)는 "사용하는 제품이나 진료의 품질은 같지만 임플란트 치료의 경우 1160유로(한화 약 168만원)부터 시작한다. 보통 임플란트가 2000유로(한화 약 289만원)임을 감안할 때 매우 저렴한 가격이다. 치석제거 역시 가격 할인폭이 크다"라고 설명했다. 저렴한 가격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그는 "중개자 없이 필요한 물품을 바로 납품업자에게 받기 때문에 가격을 적어도 40%이상 낮출 수 있다"라고 밝혔다. ◆개업의 사이에서 논란 커져 덴티프리는 현재 지역건강관리기구(ARS)의 감시를 받고 있지만 개업의들은 반대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부쉬-두-론(Bouches-du-Rhone) 지방의 의사조합회장 뤽 헤이즐러(Luc Heitzler)는 "법적으로 잘잘못을 따질 수도 있다. 현재 덴티프리는 지역 환자 중 35%를 맡고 있다"라고 밝혔다. / 에릭 미구에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3-12-17 15:27:40 정주리 기자
여성스런 차량용 아이템 파는 인터넷 쇼핑몰 화제

프랑스 리옹에 자동차를 여성적으로 꾸며주는 이색 사이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인터넷 사이트 'Pretty Little Car'의 첫 화면엔 가짜 속눈썹, 색깔 속눈썹, 작은 가방, 선글라스 등 여성을 위한 아이템들이 눈에 띈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이러한 아이템들은 '자동차'를 꾸며주는 제품들이다. 사업을 맡고 있는 마리옹 코엔-타누기(Marion Cohen-Tanugi)는 "내 첫 자동차는 르노의 트윙고(Twingo)였다. 차를 어떻게하면 여성적으로 바꿀 수 있을지 고민하던 중 사업을 생각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올해 23세인 그녀는 실업학교를 나와 첫 사업에 도전 했다. ◆ 설치하기 쉬운 제품에 중점 인터넷을 통한 아이템 판매를 구상한 그녀는 "사업을 위해 통장에 저금해놓은 2500유로(한화 약 362만원)를 깨서 아이템들을 샀다. 물론 아이템을 사기 전 두 달 정도는 물건을 구하기 위해 도매상들을 만났다"라고 설명했다. 꼼꼼한 비교와 테스트를 통해 선정된 아이템들은 차에 설치하기 쉽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컬러 핸들 덮개나 측면거울에 붙이는 윙크 스티커,헤드라이트에 붙이는 특별 속눈썹까지 독특한 제품들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 마리 리안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3-12-17 15:24:57 정주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