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글로벌 이코노미] 로봇 공화국! 내 인생의 '종결자'?

알고리즘으로 무장한 '로봇 기자'가 스포츠 기사를 쓰고 정교한 '손'을 가진 '로봇 의사'가 외과 수술을 진행한다. 90㎏ 군장을 멘 로봇 병사가 시속 16km의 속도로 전쟁터를 누비고, '드론(무인 비행기) 택배'는 갓 구운 피자를 30분 안에 공수한다. 로봇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바야흐로 '로봇 공화국' 시대가 열렸다. 우리의 일상을 깊숙하게 파고든 로봇은 편리한 삶의 '끝판왕'인가 내 인생의 '종결자'인가. 최근 옥스퍼드대학교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20년 내 미국 직업의 45%는 자동화로 사라질 전망이다. 1950년대 산업용으로 처음 등장한 로봇은 과거 공장창고 정리 등 단순 업무를 주로 했다. 하지만 인공지능과 지능 제어기술, 부품 기술과 운동 메커니즘이 발달하면서 '똑똑한' 로봇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뛰어난 인공 지능을 자랑하는 로봇은 기자와 의사 등 전문직 인간 노동자와 두뇌 싸움을 벌이며 그들의 생존까지 위협한다. 미국의 온라인 스포츠 콘텐츠 회사 스타트시트 소속 로봇 기자들은 매달 1만 5000~2만 개의 기사를 쏟아낸다. 컴퓨터 시스템으로 야구 경기 등의 데이터를 수집해 알고리즘으로 상황을 분석, 이미 제작된 문장 안에 그 결과를 삽입하면 야구 기사 하나가 몇 초 만에 완성된다. 수술 로봇으로 유명한 '다빈치'는 전립선암, 갑상선암 등의 수술에 주로 이용된다. 국내에서는 세브란스 병원이 지난달 세계 최초로 다빈치 로봇 수술 1만 건을 달성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전림선암 수술의 80%를 로봇 수술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봇의 맹활약으로 관련 기업들도 눈부시게 성장했다. 다빈치를 개발한 미국회사 인튜이티브 서지칼의 주가는 상장 초기 주당 10달러에 거래됐지만 현재 거래가는 300달러를 훌쩍 넘어섰다. 투자 전문가들은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로봇 기업들의 주가는 머지않아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같은 'IT 공룡' 기업의 주가처럼 폭발적으로 치솟을 것"이라면서 장밋빛 미래를 그리고 있다. 30년간의 교직 생활을 마치고 은퇴한 캐나다인 론 미니한(65)은 "요즘은 학교 수업에도 교육용 로봇들이 등장해 선생님 노릇을 한다"면서 "늦게 태어났으면 로봇한테 밀려 다른 직업을 찾았을지도 모르겠다"고 말하며 웃었다. 그는 이어 "인공지능이 아무리 발달해도 창의력과 공감 능력은 인간이 뛰어나지 않겠느냐"며 "로봇과 인간이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세상이 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2014-01-06 16:00:44 조선미 기자
기사사진
이경재 방통위원장 "2014년은 경쟁 통해 발전하는 미디어 화합의 해로!"

이경재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2014년은 경쟁을 통해 발전을 이뤄나가는 방송·통신 미디어 화합의 해로 만들자"고 강조했다. 이경재 위원장은 6일 오후 4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방송통신인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창조경제의 주역인 한류를 이끌고 있는 방송통신 가족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올해 방통위는 KBS 수신료 현실화, 복잡한 광고제도의 개선, KBS월드·아리랑TV 등 방송 플랫폼의 글로벌 진출 등을 통해 공정한 방송을 구현하고 창조경제에 기여하는 한편, 국민들의 편익을 지켜나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 함께 참석한 정홍원 국무총리는 축사를 통해 "방송통신 산업은 창조경제를 꽃피울 수 있는 분야로 우리나라 경제부흥의 한 축"이라며 "정부도 방송산업의 규제를 개선하고 콘텐츠시장 활성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는 정홍원 총리와 이 위원장 외에도 윤종록 미래부 제2차관, 윤창번 미래전략 수석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방송통신 업계가 대거 참석해 성황리에 개최됐다. 특히 지상파방송사, 종합편성채널, 방송미디어 업체, 외주제작사, 유·무선 통신사 등이 한 자리에 모여 새해의 발전을 서로 기원하고 다짐하는 훈훈한 자리가 됐다.

2014-01-06 16:00:00 이재영 기자
기사사진
佛 레지옹도뇌르 훈장 명예 추락?..훈장 거부한 정치인 주목 받아

프랑스 최고의 영예인 레지옹도뇌르(Légion d'honneur)훈장을 거부한 정치인이 주목받고 있다. 레지옹도뇌르 훈장은 프랑스 최고의 훈장을 의미하지만 모든 프랑스 사람들을 만족시키진 않는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의 아나키스트 가수 레오 페레(Léo Ferré)는 샹송을 통해 "이 불행한 리본 장식과 부끄러움을 느끼게하는 빨간 빛의 훈장은"이라는 표현을 했으며 대표적 프랑스 가수 조르쥬 브라상(Georges Brassens) 역시 "이 치명적인 훈장은 용인되지 않는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지난 1월 1일엔 프랑스 물루즈(Mulhouse) 교외 지역의 한 사회주의자 시장이 레지옹도뇌르 훈장을 거부했다. 그는 훈장 수상 후보로 거론된 것에 대해 "훈장에 관심도 없고 대단치 않은 일이라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또 알자스 지방의 정치인 요 슈피겔(Jo Spiegel)은 페이스북을 통해 "시간이 갈수록 레지옹도뇌르는 그 신뢰가 떨어지고 있으며 민주주의의 위기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라고 밝히며 훈장을 거부했다. 공개적으로 훈장을 거부하고 비판한 정치인은 그가 처음이다. 위키피디아의 레지옹 도뇌르 관련 정보를 보면 지금까지 수상을 거부한 인물 리스트가 눈에 띈다. 가수,배우,작가,정치인,언론인 등 다양한 수상 거부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권력에 대항하거나 훈장을 조롱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레지옹도뇌르 훈장을 거부했다. 프랑스의 대표적 여성 작가 조르주 상드(George Sand)는 훈장을 추천한 장관에게 "이러지 마세요 친구여, 전 나이든 여자 관리인처럼 보이고 싶지 않습니다"라고 편지로 전하기도 했다. 프랑소와 올랑드(François Hollande) 대통령이 집권한 이후엔 다양한 분야의 유명인사들이 수상을 거부했다. 2012년 8월의 경우 아니 테보-모니(Annie Thébaud-Mony) 암 전문 연구원이 건강을 일로 삼아 수상받는 것을 거부했으며 2013년 1월 만화가 자크 타르디(Jacques Tardi)는 자신의 창의력과 사고를 가두지 않겠다는 의미로 수상을 거부했다. / 질 다니엘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1-06 15:58:31 정주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