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송도 매립 부지 2.4㎢ 증가로 2조 3천억 원 경제가치 상승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국토교통부가 4월 1일 발표한 2025년 지적통계를 통해 지난해 대비 시 면적이 2.4㎢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인천의 총 면적은 1,069.5㎢(669,028필지)로 확장됐으며, 이는 약 2조 3천억 원 규모의 경제적 가치 증가로 이어졌다. 지적통계는 국토교통부가 지적공부를 기반으로 매년 발표하는 공식 통계로, 1970년 처음 작성된 이후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돼왔다. 이번 면적 증가는 연수구 송도동 인천경제자유구역 11-2공구(1.5㎢)와 10공구 항만배후단지(0.9㎢) 매립이 완료돼 새로 등록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1970년 첫 통계 집계 당시 인천의 면적은 189.1㎢에 불과했으나, 지속적인 공유수면 매립과 행정구역 편입을 통해 5.6배에 달하는 성장을 이뤘다. 2025년 기준으로는 대구광역시(1,499.5㎢)에 이어 특·광역시 중 두 번째로 넓은 도시가 됐다. 토지 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임야가 36.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이어 답(14.3%)과 대지(11.2%)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면적의 약 57.8%가 산림과 농경지로 구성된 것으로 조사됐다. 2024년 한 해 동안 잡종지, 임야, 답 등은 2.5㎢ 감소한 반면, 생활기반시설 대지는 2.2㎢, 공원과 유원지는 1.2㎢ 증가했다. 최근 10년간 추이를 보면, 전·답·임야 면적은 각각 7.4%, 11.5%, 3.4% 줄어든 반면, 대지, 도로, 공원은 각각 17.8%, 16.1%, 87.8% 증가해 시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 인프라 확충 노력이 반영됐다. 소유권별로는 개인 소유가 52.4%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국·공유지(26.6%), 법인(19.1%)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 소유 면적은 10년간 3.6% 감소한 반면, 국·공유지와 법인 소유 면적은 각각 11.7%, 6.8% 늘어났다. 이철 인천시 도시계획국장은 "지적통계는 인천의 면적 변화와 토지 이용 실태뿐 아니라 사회적·환경적 변화까지 수치로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 사진, 스토리텔링을 담은 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2025년 지적통계는 국토교통 통계누리, 국가통계포털, 지표누리 등 다양한 통계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