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소버스 1000대 도달...2030년까지 보급 2만대 목표
정부는 이번 주 내에 국내 수소버스 등록 대수가 1000대를 넘어설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수소버스는 지난 2019년 6월 1호차가 경남 창원에 등록된 것을 시작으로 5년1개월 만에 992대가 등록됐다. 환경부는 이달 첫째 주에 1000대가 등록될 것으로 예상했다. 수소버스는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무공해차로 주행거리가 500km이상으로 전기버스에 비해 길다. 또 충전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전기버스 급속 충전이 1시간인 데 반해 수소버스 15~20분이면 된다. 내연기관 버스는 승용차에 비해 연간 약 30배의 온실가스 및 약 43배의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연기관 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할 경우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2018년 11월 6개 도시에서 수소버스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이를 시작으로, 지난해 4월에는 수소 상용차 보급 지원단을 발족해 수소버스 등 수소 상용차 보급 초기 단계에서 발생하는 어려운 점을 실시간으로 대응해 왔다. 서울(7대), 광주(6대), 울산(3대), 창원(5대), 아산(4대), 서산(5대) 등 총 30대이다. 정부는 보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지자체, 전국버스 연합회, 물류협회, 수소버스 제작사, 수소충전소 구축·설비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정책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정례적인 소통창구를 운영해 왔다. ▲수소 상용차 보급 확대 정책간담회(2023년 3월)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활성화 세미나(2024년 5월) 등이다. 또 기업 통근버스, 공항버스, 통학버스 등 다양한 수소버스 전환수요를 발굴에도 적극적 행보를 보였다. ▲ESG 선도기업 수소 통근버스 전환을 위한 업무협약(2023년 5월) ▲서울 수소 공항버스·시내버스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2023년 6월) ▲인천 수소 통학버스 전환 업무협약(2023년 7월) 등이다. 특히, 올해부터 액화수소충전소와 대용량 기체수소충전소 등 수소 상용차용 충전소가 확충되면서, 다량의 수소를 소비하는 수소버스 보급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인천 가좌 액화수소충전소(올해 4월17일) 준공을 비롯해 연내 액화수소충전소 40기 구축 등을 목표로 세웠다. 정선화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수소버스 약 2만 대를 포함, 수소차 30만 대 보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소차 보급 및 생산·공급·충전 기반시설(인프라)의 선순환 구조를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소차 생태계 구축을 통한 수소버스 보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소버스 제작사 및 운수사, 수소충전소 구축·설비사, 지자체 등 모두의 힘을 모으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