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한반도 해녀 네트워크 구축' 위한 토론회
부산시의회는 해녀 문화 보전 정책 수립의 공감대 형성을 위한 '한반도 해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토론회'가 지난 18일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고 밝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우리나라 해녀 문화의 뿌리인 '제주도'를 중심으로 전국 해녀 1만 여명의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이번 토론회를 주최했다. 전국 권역 토론회 및 국회 토론회 개최 후 전국 해녀들이 참가하는 '한반도 해녀포럼(가칭)'을 발족할 계획이다. 1880년대 제주도 해녀가 처음 육지로 진출해 물질을 한 곳이 '부산부 목도', 지금의 영도로 알려져 있으며, 부산은 우리나라 육지 해녀 문화의 시작지로서의 큰 상징성이 있다. 이날 토론회에는 부산시의회 안성민 의장을 비롯한 안재권 해양도시안전위원장 및 위원, 부산시 이성권 경제부시장, 제주특별자치도의회 김경학 의장, 제주특별자치도 김희현 정무부지사, 해녀 대표 등이 참석했다. 우리나라 해녀 문화는 2016년 제주해녀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데 이어, 2017년에는 해녀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하지만 산업화, 기후 변화, 고령화 등으로 해녀 수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매년 은퇴하는 해녀 수보다 신규 유입되는 해녀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으로 해녀 문화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김수희 독도재단 교육연구부장은 '한반도 해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확대 방안'이라는 발제를 통해 한국 해녀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행정 네트워크 구축, 해녀 양성 및 해녀 문화 체험 등 프로그램 마련, 해녀 복지 강화, 바다 자원 관리 등을 강조했다. 토론자로 나선 임말숙 부산시의원은 "지금의 해녀 문화의 위기는 부산과 제주를 비롯한 전국적인 상황으로, 해녀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신규 해녀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부산 해녀들을 위한 실질적 지원을 위해 집행부의 정책이 수행될 수 있도록 의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