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명히 갈린 대통령 신년사 평가…"국민의 삶 변화" vs "기대 동떨어져"
민주당 "정부와 혁신·포용·공정·평화 위한 과제 함께 실천할 것"
한국당 "장밋빛 미래 말하기 전 '처절한 자기반성' 선행됐어야"
문재인 대통령 신년사에 대한 정치권 평가는 극명하게 갈렸다. 여당은 지난해 성과를 강조하며 "정부의 노력에 함께 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야당은 "대통령은 여전히 변한 것이 없었다"며 "올 한해 민생·경제·안보 모든 게 걱정"이라고 한탄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대변인은 7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은 신년사에서 한층 변화된 혁신과 포용, 공정과 평화의 실천과제를 통해 국민께 더 따뜻한 삶을 만들어내겠단 다짐을 밝혔다"며 "2019년 한 해 문재인 정부는 미국-중국 무역 갈등과 세계 경기 하강에도 불구하고 수출 세계 7위를 굳건히 지켜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제와 사회구조의 근본적인 변화와 개혁을 통해 반칙과 특권을 청산하려는 노력을 이어왔으며, 불평등과 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과제는 국민의 삶에 뿌리내려 함께 잘사는 혁신적 포용국가의 틀을 단단히 다졌던 한 해가 됐다"고 부각했다.
이 대변인은 그러면서 "혁신의 기운을 경제 전반으로 확산시키고,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를 만드는데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며 "상생 도약을 통해 만들어지는 국민 삶의 확실한 변화가 새로운 대한민국 100년의 시작이 될 수 있도록 민주당은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 혁신·포용·공정·평화를 위한 과제를 함께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에선 박용찬 대변인이 논평을 내고 "그 어느 때보다 안보와 경제가 경각에 달려있는 상황에서 현실을 보다 정확하고 냉철하게 직시하는 신년사여야 했다"고 지적했다.
박 대변인은 "장밋빛 미래를 말하기 전에 처절한 자기반성이 선행됐어야 했다"며 "그러나 문 대통령의 신년사는 현실 인식이 국민적 기대와는 너무나도 동떨어져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 것이었다"고 비난했다.
문 대통령이 언급한 포용·혁신·공정·평화에 대해선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후 '포용'은 말의 성찬에 불과했다"고 평가했고, 청와대 하명수사 의혹 등을 언급하며 "'공정'을 말하기 전 국민 앞에 정중하게 사과했어야 했다"고 질타했다. 또 "대통령의 신년사는 어지러운 통계 수치와 난해한 행정용어로 가득차있다"며 "과연 통계만을 보고받고 있는가, 민생 현장에서 힘겨워하는 서민과 중산층의 목소리를 직접 경청하길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범여권의 평가도 긍정적이진 않았다.
정의당에선 김종대 수석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반적으로 대통령의 국정철학 기조는 훌륭하지만, 실효성 있는 이행이 관건"이라며 "정부 초기의 국정철학을 4년차를 맞아서도 반복할 것이 아니라 이젠 행동으로 결과를 만들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민주평화당의 경우 박주현 수석대변인이 논평을 통해 "평이한 산업대책과 기존의 복지대책을 제시했을 뿐, 개혁이 미진하고 민생 악화와 외교실패에 대한 진단과 처방 모두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대안신당 최경환 수석대변인도 "서민은 경제난에 허덕이며 아우성인데, 대통령의 경제인식은 안이하고 낙관적"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