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美중재자·경제·개각… 文, 설 끝나자 대형과제들 직면
[b]2차 北美회담서 비핵화 관련 구체적인 결과물 나올지 관심집중[/b] [b]7일 벤처기업인들 '또' 청와대로 초청하는 文대통령[/b] [b]김부겸·김영춘·김현미·도종환·이개호 등 장관 정치인들 이달 말 교체?[/b] 민족 대명절 설날이 6일을 기점으로 끝나는 가운데, 설날이 끝나갈수록 문재인 대통령에게 대형 국정과제들이 다가오는 모양새다. 문 대통령이 직면한 대형 국정과제들은 크게 '제2차 북미정상회담'과 '경제', '개각' 등이 꼽힌다. 우선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다. 2차 북미회담은 이달 말 개최된다. 북미간 긍정적 관계 형성은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정착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그래선지 다가올 회담에서는 비핵화와 관련된 구체적인 결과물이 나올지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울러 외교계에 따르면, 다가올 회담 이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한이 유력하다. 문 대통령 입장에서 다가올 회담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외교계 일각에서는 2차 북미회담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것임을 조심스럽게 예측했다. 이는 문 대통령이 지난달 21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 때 언급한 발언과 연관이 깊다. 문 대통령은 당시 "당장의 관심사는 2차 북미정상회담 결과"라면서 "지금 결과를 미리 알지 못하더라도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치 상황이 급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이 기회를 무조건 살려야 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2차 북미회담 성공을 위한 '중재' 의지를 강하게 피력한 것이다. 다음은 경제다. 문 대통령은 새해 첫날부터 지금까지 경제 살리기 행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새해 첫 달은 문 대통령에게 있어서 이른바 '경제먼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굵직한 경제 일정을 소화했기 때문이다. 새해 첫 외부 일정으로 서울 중구 소재 '혁신 창업기업 현장'을 찾았고, 중소·벤처기업인과 대기업·중견기업인들을 차례대로 청와대에 초청해 간담회를 가졌다. 문 대통령의 경제 행보는 이달에도 계속되고 있다. 문 대통령이 오는 7일 벤처기업인들을 다시 청와대에 초청하기 때문이다. 오는 7일에는 한국형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 1조원 이상 벤처기업) 또는 1세대 벤처기업 등을 이끄는 약 10명의 기업인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이 경제 살리기에 총력을 기울이는 이유는 최근 악화된 고용지표와 연관이 깊다. 통계청은 지난달 9일 '2018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을 발표했다. 그 결과, 지난해 연평균 취업자 수는 2682만2000명이다. 이는 지난 2017년 대비 9만7000명 증가한 수치다. 다만 지난해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2009년 이후 최저치다. 2009년 당시에는 '세계금융위기' 여파로 취업자 증가 폭이 8만7000명에 그쳤다. 고용동향이 녹록치 않단 얘기다. 이는 문 대통령이 광폭 경제행보를 걷는 연장선상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악화된 고용지표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문 대통령이 지난 2017년 5월 대통령 취임사 때 언급한 "나라 안팎으로 경제가 어렵다. 선거 때 약속했듯 먼저 일자리를 챙기겠다"고 한 발언에 무색해지게 된다. 마지막은 개각이다. 여권관계자들 발언을 종합할 때 청와대는 설 연휴 후 개각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개각 대상은 '정치인 장관'들이다. 정치인 장관으로는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과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이다. 여기에 환경부와 통일부도 개각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개각은 정치인 장관들을 정리하는 의미가 상당하다. 따라서 정치인 장관들과 바톤터치할 후임들은 현 정부 정책을 잘 이해하는 학자 또는 시민단체 출신 인사가 임명도리 가능성이 높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한 번도 바뀌지 않은 장관들이 이번 개각 검토 대상"이라며 "총선에 출마할 국회의원 출신 장관들을 비롯해 2~3명 정도가 더 교체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