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 선발인원 전년 比 13% 줄어…전형 방식은 '다양화'
2026학년도 초등교육과(교대) 입시는 전체 모집정원 3711명으로, 전년도보다 498명이 감소했다. 올해는 교대 입시는 수시 전형 방식이 세분화된 한편, 일부 대학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하거나 폐지한 것이 특징이다. ■ 수시 2524명…여전히 '학생부종합' 중심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인원은 2524명으로 전년도보다 150명이 감소했다. 전체 수시 선발 인원 중 학생부종합전형이 2227명으로 전체 88.2%을 차지한다. 학생부교과전형은 11.8%에 해당하는 297명에 불과하다. 학생부종합전형은 대다수 대학이 1단계 서류 평가 후 2단계 면접을 실시하는 단계별 전형을 기본으로 선발하지만, 공주교대, 이화여대, 춘천교대 등 일부 대학은 면접을 생략하고 서류 100%로 선발한다. 광주교대는 올해 일부 전형에서 단계별 전형 대신 지원자 전원 비대면 면접을 실시하는 일괄합산 방식으로 변경했다. 지난해 교대 수시 경쟁률은 5.95대 1로 최근 5년새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교대에 대한 선호도가 하락하고 있지만, 이로 인해 합격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기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합격자 평균 성적은 이전보다 낮아졌다. 경쟁률이 상승한 광주교대 교직적성우수자전형의 최종등록자 내신 등급 평균은 2.44에서 2.55로 하락했고, 경쟁률이 상승한 서울교대 교직인성우수자전형의 80%컷은 1.99에서 2.45로 하락했다. ■ 학생부교과전형, 일부 대학만 운영… 일부 대학 수능최저학력기준 완화·폐지 학생부교과전형은 경인교대, 광주교대, 서울교대, 이화여대, 제주대, 한국교원대에서만 실시된다. 교과 성적 외에도 서류나 면접을 병행하는 경우가 많다. 서울교대 학교장추천전형은 1단계 교과 100%, 2단계 면접 20%를 반영하며, 경인교대도 면접을 병행한다. 광주교대는 면접 대신 학생부 내용을 20% 반영한다. 이화여대와 제주대는 교과 성적만으로 선발해 지원자의 부담이 적은 가운데, 이화여대는 수능 2개 영역 합 5이내, 제주대는 3개 영역 합 8이내라는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올해는 다수 교대에서 수능최저 기준을 완화하거나 폐지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경인교대 학교장추천전형은 기존 '4개 합 12등급 이내'에서 '14등급 이내'로, 춘천교대 교직적·인성인재전형은 '4개 합 12등급'에서 '3개 합 9등급'으로 완화됐다. 전주교대와 진주교대는 수능최저학력기준을 폐지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수능최저 기준이 완화되거나 폐지되는 경우에는 작년보다 합격 성적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대학이 발표한 입시결과를 확인할 때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서울교대와 이화여대는 작년과 동일한 수능최저 기준을 유지하고 있다. 두 대학은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 모두 수능최저 기준을 적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 정시 1187명…나군 중심 선발, 수능 위주 전형 지속 정시모집 인원은 1187명으로, 전년도 대비 348명 감소했다. 정시는 대부분 나군에서 선발하며, 이화여대(16명)와 한국교원대(33명)만 예외적으로 가군 모집을 병행한다. 정시는 수능 성적만으로 선발하는 대학도 있지만, 면접을 병행하는 경우도 있다. 공주교대, 대구교대, 부산교대, 서울교대, 전주교대, 청주교대가 면접을 실시하며, 이 중 대구교대, 부산교대, 청주교대는 지원자 전원에게 면접 기회가 부여된다. 우연철 소장은 "2026학년도 교대 입시는 선발인원 축소와 함께 수시 전형방식의 세분화가 두드러진다"라며 "같은 학생부종합전형이라 하더라도 면접 유무, 수능최저학력기준, 평가 단계 등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단순히 '학생부종합'이라는 이름만 보고 판단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