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교외선 20년 만에 운행 재개...대곡~의정부 50분

국토교통부는 오는 11일부터 교외선 대곡역~의정부역(1호선) 구간에서 의정부발 무궁화호 열차를 운행한다고 9일 밝혔다. 1961년 개통한 교외선은 고양, 양주, 의정부를 이동할 수 있는 경기 북부 대표 교통수단이다. 서울 도심지에서 송추계곡, 장흥수목원 등 주요 인근 관광지를 연결하는 핵심적인 동서 철도 교통이었다.서울외곽순환도로 개통과 같은 도로교통의 발달, 수도권 광역전철 도입 및 노선 확대 등으로 이용객이 점차 감소했고 2004년 4월 여객열차 운행이 중지됐다. 2021년 8월 지자체(고양시·양주시·의정부시),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은 교외선 운영 재개에 대한 지역의 염원에 운행 재개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497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약 3년 2개월 간 시설 개량을 진행했다. 교외선을 운행하게 될 무궁화호 열차는 과거의 추억을 되살릴 수 있도록 차량 내부 시설과 외장도 새롭게 단장했다. 디자인 콘셉트는 '뉴스텔지어'다. 기성세대의 지난 추억(노스텔지어)과 엠제트(MZ)세대의 과거에 대한 새로운 해석(뉴트로)을 결합했다. 대곡역, 원릉역, 일영역, 장흥역, 송추역, 의정부역 등 6개 역에 무궁화호 열차를 왕복 8회 운행할 계획이다. 안정화 단계를 거쳐 단계적으로 운행을 확대한다. 대곡역은 최근 개통한 GTX-A 운정~서울 구간에 있어 의정부와 양주시 주민들의 서울권 접근 편의가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대곡에서 의정부까지 50분 가량 소요된다. 전 구간 기본요금은 2600원이며 기존 코레일톡 또는 역사 창구에서 자유롭게 예매할 수 있다. 1월 31일까지 전 구간 운임 1000원 행사를 진행해 이용을 적극 장려할 계획이다. 윤진환 국토교통부 철도국장은 "이번 교외선 운행재개는 우리 철도가 다시 살아 움직이게 된 매우 뜻깊은 개통이다"라며 "많은 이용객들이 그 옛날 기차여행의 향수를 떠올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5-01-09 14:10:44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해외건설 누적 수주 1조 달러 달성…반도체·車 이어 세 번째

해외건설 수주 규모가 누적 기준으로 1조 달러를 넘어섰다. 지난 1965년 첫 해외수주 이후 59년 만이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와 자동차에 이어 세 번째다. 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4년 해외건설 수주실적 집계 결과, 371억1000만 달러를 수주해 누적 수주금액이 1조 달러(1조 9억 달러)를 달성했다. 지난 1965년 11월 태국 파타니-나라티왓 고속도로 공사에 우리기업(현대건설)이 최초로 진출한 이후 59년 만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최근에는 우리기업들이 해외건설 분야에서 전통적인 건설산업의 틀을 넘어 도시개발, 철도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모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우리 기업들을 적극 지원해 K-도시 및 K-철도, 투자개발사업 등을 통한 해외건설 2조 달러 시대를 이끌어가겠다"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중동 및 아시아라는 강세지역에 80% 이상 집중적으로 진출해왔다. 다만 최근 3년 간(2022~2024) 북미·태평양(19.3%), 유럽(10.4%) 등 선진국으로 진출을 추진하면서 진출 지역 다변화도 이뤄졌다. 공종 기준으로는 1960년대~1990년대 초반까지 주로 토목·건축 분야를 수주했으며, 최근에는 플랜트 등 산업설비 분야가 강세를 나타냈다. 수주국가별로는 누적 기준은 사우디아라비아가 17.7%를 차지했으며 ▲UAE(8.4%) ▲쿠웨이트(4.9%) ▲싱가포르(4.8%) ▲베트남(4.8%) 등의 순이다. 기업별로는 현대건설이 14.5%를 가장 비중이 높았고 ▲삼성물산(9.2%) 삼성E&A(9.0%) ▲현대ENG(7.3%) ▲GS건설(7.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2024년 해외건설 수주금액은 371억1000만 달러로 2016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갖년 세계적인 경기 둔화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중동 무력충돌 등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254개 해외건설 기업이 101개국에서 605건의 사업을 수주했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5-01-09 11:24:53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서울원아이파크 무순위 청약, 1만명 몰려 전타입 마감

서울 노원구 월계동 '서울원 아이파크'의 무순위 청약에 1만명이 넘게 몰려 전 타입 청약 마감에 성공했다. 9일 서울원 아이파크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 8일 무순위 청약을 진행한 결과 558가구 모집에 1만353명이 신청, 평균 경쟁률 18.55대 1로 접수 마감됐다. 가장 경쟁률이 높은 유형은 전용면적 74㎡형으로 3가구 모집에 약 1650여명이 몰려 552.6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무순위 청약 물량 중 전용면적 74㎡ 3가구와 84㎡ 111가구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전용 105㎡, 112㎡, 120㎡ 등 중대형 면적이다. 1순위 청약 당시 1414가구 모집에 2만1219명이 신청, 평균 경쟁률 14.94대 1을 기록했다. 가장 경쟁률이 높은 유형은 전용면적 59㎡A형으로 19가구 모집에 4054명이 몰려 268.53대 1의 경쟁률을 보이기도 했다. 가장 많은 242세대를 모집한 105㎡A형은 603명이 접수해 2.49대 1, 241세대를 모집한 120㎡A형도 521명이 접수, 2.61대 1이라는 낮은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112㎡B형 ▲112㎡C형 ▲120㎡C형 ▲143㎡형 ▲145㎡형 ▲159㎡형 ▲161㎡형 ▲170㎡형은 공급수량에 비해 신청자가 적어 미달됐다. 112㎡C형의 경우 18가구 모집에 9명이 접수, 절반에 불과했다. 서울원 아이파크는 HDC현대산업개발의 역점 사업인 광운대역세권 개발에 따른 주거 공간으로 조성된다. 주거 시설과 함께 호텔, 쇼핑몰, 오피스 등이 들어선다. 광운대역은 2028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C 노선 개통이 예정돼 강남까지 9분 내외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런 개발호재에도 고분양가에 발목이 잡혀 미달이 난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원 아이파크 부지와 인접한 구축 단지 '한진한화그랑빌' 전용 115㎡ 매매 시세는 9억~10억5000만원인데 반해 서울원 아이파크 전용 105㎡의 분양가는 약 16억원이다. 전용 120㎡의 경우 최고가는 18억8700만원으로 이는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지역의 아파트를 매입할 수 있는 가격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대문구 남가좌동에 위치한 'DMC파크뷰자이1단지'가 10월에 전용 120㎡가 17억2000만원에 거래됐다. 그럼에도 이번 무순위 청약에 다시 많은 인원이 몰려 신규 분양에 대한 인기는 여전함을 증명했다는 분석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서울에 들어서는 신축 단지는 웬만하면 분양가가 떨어지지 않는다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무순위 당첨자는 오는 10~11일까지 서울원 아이파크 갤러리에서 계약을 마쳐야 한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5-01-09 10:51:19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LH, 올해 신축 매입임대 5만호 이상 추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주택공급 확대와 전월세 시장 안정을 위해 올해 신축 매입임대주택을 5만 호 이상 매입한다고 9일 밝혔다. LH는 지난 2일 2025년 신축매입임대 공고를 시행했으며, 신축 매입임대주택의 조기 착공 및 공급 조기화를 위해 올해 전담 조직과 인력을 대폭 보강했다. 매입 물량이 집중된 수도권 지역본부에는 매입임대 전담 조직인 매입임대사업처가 신설된다. 매입임대사업처 내에는 조기착공지원팀, 매입품질관리팀을 편제해 주택매입부터 조기착공 지원, 품질관리까지 원스톱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직체계로 확대 개편된다. 또한 지난해 수도권 지역본부 매입임대 담당 인력을 87명에서 228명으로 증원한 데 이어 올해 272명까지 추가 증원해 사업 추진 동력울 강화한다. 신축 매입임대 사업 활성화를 위해 수도권 50호 이상 주택은 공사비 연동형 방식을 적용한다. 우수 민간사업자 참여 확대를 위해 매입건수 기준을 완화하고 특화형 매입임대 사업자 공모를 확대한다. 공사비 연동형 방식은 토지가격은 감정평가, 건물가격은 외부 원가계산 기관이 건물공사비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민간 사업자의 공사비 원가를 매입 가격에 적정하게 반영할 수 있다. 지난해 적용했던 동일 사업자의 연간 매입건수 제한 기준(연 4건)은 증가한 정책 물량 등을 고려해 올해는 적용하지 않는다. 또한 연 2회 실시했던 특화형 매입임대 사업자 공모는 올해부터 연중 수시 접수로 전환하여 사업자 참여기회를 대폭 확대한다. 아울러 맞춤형 주택 설계·시공 기준을 마련해 주택 조기 착공과 안정적 품질 확보에 주력하는 한편 품질관리 체계도 강화해 나간다. 신축 매입임대주택의 특성을 감안해 비(非) 아파트에 적합한 맞춤형 LH 설계·시공 기준을 마련하고, 표준 설계 평면을 사업자에게 제시하여 설계 기간을 단축한다. 또한 조기 착공 유도와 적정 공사 기간 관리를 위해 건축물 규모별 적정 공사 기한도 제시한다. 그 밖에도 주택 품질관리를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외부 건설사업관리(CM) 전문업체와의 품질관리 협업체계 구축, 건축 규모별 품질점검 횟수 차등, 스마트 건설관리 시스템 도입 등도 적용한다. 자세한 사항은 LH청약플러스에 게시된 통합 신축 매입임대 공고문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지역본부별로 전화 문의 또는 방문 상담도 가능하다. 유병용 주거복지본부장 직무대행은 "LH는 매입임대 목표 달성에 집중하여 민간 부문의 주택공급 공백을 신속히 보완하고,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5-01-09 09:32:23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지방 양극화 속 활짝 웃은 '충남 아산'... 새해에도 흐름 이어가나

지난해 지방 청약 경쟁률을 이끈 곳은 충남 아산으로 나타났다. 아산은 새해에도 흥행을 이어갈 전망이다. 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아산에서는 총 6개 단지가 청약에 나서 1순위 평균 22.34대 1을 기록했다. 지방 전체 평균 6.34대 1은 물론 수도권 평균 18.54대 1 보다도 높다.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굵직한 일자리가 많아 사람들이 대거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아산시 자료에 따르면 2022년말 기준 전체 사업체 수는 3만5938개로 2021년(3만4775개)에 비해 3.3% 증가했다. 아산시 인구는 2024년 11월 말 기준 39만3002명으로 집계됐다. 행정안전부 통계 기준으로 3년 전(2021년 12월)과 비교했을 때 지방 기초지자체 중 인구 증가율이 1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강남구(4.6%) 상승률을 웃도는 수치다. 출생아도 늘어나고 있다. 아산시에 따르면 2024년 아산시 출생아는 2029명으로 2023년 같은 기간 출생아수(1844명)보다 185명 늘었다. 지방 기준 대구 중구(191명 증가) 다음으로 많은 출생아 증가를 보였다. 평균 연령도 41.8세로 전국 평균 45.3세보다 낮은 수치다. 탕정면의 경우 33.3세로 아산시 내에서도 평균 연령이 낮았다. 2025년에는 아산신도시센트럴시티 등 대규모 주거단지 개발이 예정돼 있다. 추가적인 인프라 확장으로 지역가치가 오르고 부동산 수요도 쏠릴 것이란 분석이다. 지난달 1순위 청약을 모집한 '아산탕정자이퍼스트시티'는 417가구 모집에 8394명이 청약을 접수해 평균 20.13대 1을 기록했다. 펜트하우스인 전용면적 125㎡PA 타입 3가구에는 413명이 몰려 최고경쟁률인 137.67대 1로 나타났다. 전용 125㎡PB 104.50대 1, 84㎡A 22.16대 1, 59㎡A 8.94대 1 등 다른 타입도 모두 치열한 경쟁을 보였다. 올해 전국에 예정된 총 신규 분양 물량은 14만6000여 가구로 예상된다. 역대 물량이 가장 적었던 2010년 17만2000여 가구보다 2만가구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아산은 탄탄한 수요와 함께 신축 선호 현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청약 흥행을 이뤘다"며 "전국적으로 분양 물량이 줄어드는 가운데 신규 분양에 대한 희소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아산시 내에서는 탕정, 불당 등 주요 택지지구 개발이 마무리 단계이고 '노른자땅'으로 불리는 핵심지역도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분양이 거의 끝난 상태다"라며 "신규 분양에 대한 희소성이 타 지역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5-01-09 06:00:20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한국서 집 산 외국인 10명 중 6명 중국인…많이 산 곳 어디?

지난해 국내에서 부동산을 취득한 외국인 매수인 중 중국인이 65%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이 부동산을 가장 많이 산 곳은 부천시 원미구로 조사됐다. 8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의 '매매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 신청 매수인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부동산(집합건물·토지·건물 포함)을 매수한 뒤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한 외국인은 총 1만 7478명이다. 이는 지난해 1만 5061명보다 11.9% 증가했다. 전체 부동산 매수인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1%로 2019년 1.6%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 지역이 7842명으로 가장 많았고, 인천 2273명, 서울 2089명, 충남 1480명 순이었다. 지난해 부동산을 매수한 외국인을 국적별로 보면, 중국인이 1만 1346명으로 64.9%를 차지했다. 중국인 비중은 2020년 69.3%에서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다. 중국인이 부동산을 가장 많이 산 곳은 부천시 원미구로 817명이었다. 이어 화성시 745명, 안산시 단원구 649명, 시흥시 632명, 인천시 부평구 589명, 부천시 소사구 449명, 인천시 미추홀구 397명, 안산시 상록구 351명 등이었다. 서울에서는 구로구 190명, 금천구 144명이었다. '강남 3구'로 불리는 강남구 부동산을 산 중국인은 22명, 서초구는 16명, 송파구는 12명 등 총 50명이었다. 외국인 부동산 매수는 중국인 다음으로 미국인이 많았다. 미국인은 지난해 2528명으로 전체 외국인 매수인의 14.5%를 차지한다. 미국인 매수 부동산은 강남·용산 등 서울 인기 지역에 집중됐다. 지난해에는 미군 부대가 있는 경기 평택시에 부동산을 산 미국인이 206명으로 가장 많았다. 또 충남 아산 118명, 서울 서초 96명, 강남 80명, 용산 70명, 경기 용인시 처인구 52명, 인천시 연수구 46명, 경기 성남시 분당구 45명 순이었다. 외국인 부동산 매수 지역별로는 세종이 지난해 75명으로 87.5% 늘었고, 부산이 30.1%, 서울은 25.2% 각각 증가했다. 반면, 인천은 지난해보다 2.4% 감소했고, 광주 12.4%, 대전 22.2% 각각 줄었다.

2025-01-08 09:31:08 원승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