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푸드빌, 흑자 이어간다…K-베이커리·외식 사업 순항
CJ푸드빌이 베이커리 해외 사업과 외식 사업 체질 개선에 힘입어 흑자 기조 굳히기에 들어간다. 올해 CJ푸드빌은 3년 연속 흑자 달성이 유력시 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021년 41억811만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2015년 이후 6년 만에 흑자 전환한 것에 이어 지난해에는 영업이익 261억757만원을 달성하는 등 큰폭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비상장사로서 올해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의 정확한 수치는 그룹 방침상 공개하지 않았으나 성장세를 지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CJ푸드빌 관계자는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글로벌 사업을 중심으로 전년 동기보다 성장했다"며 "2021년부터 흑자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CJ푸드빌의 수익성 개선에는 베이커리 브랜드 '뚜레쥬르'의 해외 사업 영향이 컸다. 뚜레쥬르는 2004년 미국에 첫 해외 매장을 오픈한 이후 현재 LA, 뉴욕, 뉴저지, 매사추세츠 등 미국 26개 주에 진출해 핵심 상권을 중심으로 매장을 운영 하며 현지인들에게 인정받는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지난 9월 기준 미국을 비롯한 중국, 인도네시아, 몽골 등에서 뚜레쥬르의 글로벌 매장 수는 총 400호점을 넘어섰다. 미국에서 지난 8월 미국 동부 뉴욕의 맨해튼 인근에 '브롱스빌 점'을 오픈하며 미국 내 100호점을 돌파했으며, 이달에도 4개 매장이 추가 오픈 예정으로 속도를 붙여 연내 120호점, 향후 2030년까지 미국 1000호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러한 미국 내 성장세에 힘입어 지난 9월에는 조지아 주에 생산공장 설립을 위한 부지 선정을 마치고 2025년 완공 계획에 있다. 뚜레쥬르는 아시아 지역에서도 매장을 지속적으로 늘려가며 출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인도네시아, 베트남, 몽골 등 각국에서 현지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가 주효하며 프리미엄 브랜드로 입지를 다지며 K-베이커리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그 결과, 인도네시아 법인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비 약 71%, 영업이익은 전년비 약 740% 상승했고, 2016년 국내 베이커리 업계로는 최초로 진출한 몽골에서는 지난 6월 플래그십 스토어인 '몽골 글로벌파크점'을 오픈하는 등 연평균 35% 이상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며 성장하고 있다. 중국에서도 코로나19의 엔데믹과 함께 올해 들어서만 40여 곳의 매장이 오픈하며 200호점을 눈 앞에 두고 있다. 중국에서 베이커리 시장이 확대해 가는 가운데, 뚜레쥬르의 브랜드와 제품이 인정받으며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는 평가다. CJ푸드빌 관계자는 "뚜레쥬르가 미국에서 100호점을 돌파하고 아시아 시장에서도 속도를 내며 출점을 이어가는 등 해외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전 세계인들에게 사랑받는 '글로벌 베이커리 브랜드'로 입지를 굳히기 위해 확장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외식 사업도 순항중이다.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빕스는 지역별 핵심 상권 공략과 고급화 전략으로 연일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수익성이 낮은 매장은 과감히 정리하고 지역 거점 매장은 특화 매장으로 리뉴얼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펼쳤다. 그 결과, 2018년 말 61곳이었던 빕스 매장은 2019년 말 기준 41개, 현재 26곳으로 줄었다. 매장 수는 줄었지만, 외식 부문 실적 개선으로 지난해 흑자를 달성했다. 현재 빕스 전 매장은 '빕스 프리미어'와 '빕스 테이스트업 플러스'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빕스 프리미어는 고급 호텔을 연상시키는 인테리어를 갖추고 있으며 테이스트업 플러스 매장은 게임룸이 배치된 게 특징이다. 여기에 빕스 메뉴를 간편식으로 구현한 RMR도 40여종 제품도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이스타항공 전용 상품으로 개발한 '빕스 떠먹는 페퍼로니 피자' RMR 기내식 메뉴로 정식 출시되는 성과도 거뒀다. CJ푸드빌 측은 "해외 사업이 선방하면서 매출 상승곡선을 그렸고, 국내 외식 사업 수익성 향상도 실적 개선에 긍정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외식 사업의 경우 프리미엄 요소를 강화해 특별한 외식 경험을 제공한 것이 고객 반응으로 이어져 매우 의미있게 생각한다. 앞으로도 고품격 다이닝 서비스를 선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