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기사사진
1인 가구 맞춤형 적립 혜택…KB국민카드 'KB국민 1코노미 카드'

KB국민카드가 국내 1인 가구 증가 트렌드에 맞춘 카드를 선보인다. 편의점·인터넷쇼핑몰 등 1인 가구들이 선호하는 업종에서 최대 20%까지 적립 혜택을 제공한다. 6일 KB국민카드는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카드 'KB국민 1코노미 카드'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상품은 편의점·음식점·택시 등 1인 가구가 일상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업종에 대해 포인트를 적립해준다. 편의점의 경우 전월 이용실적이 40만원 이상이면 이용금액의 20%를 월 최대 1만점까지 포인트로 적립해준다. 전월 이용실적이 80만원 이상이면 월 최대 2만점까지 적립된다. 또 음식점과 택시 이용 시 전월 이용실적이 40만원 이상이면 월 최대 5000점, 80만원 이상이면 월 최대 1만점까지 각 영업별로 이용금액의 5%를 포인트로 적립해준다. 이동통신요금이나 전기·수도·도시가스 요금 등 1인 가구 관련 생활요금에 대한 포인트 적립 혜택도 제공한다. SKT·KT·LG U+ 등 이동통신요금 자동이체, 전기·수도·도시가스요금 납부, G마켓·옥션·인터파크·11번가·롯데닷컴·신세계몰 등 6개 인터넷 쇼핑몰 이용 시 전월 이용실적이 40만원 이상이면 월 최대 5000점, 80만원 이상이면 월 최대 1만점 범위 내에서 5%를 적립해준다. 아울러 KB국민카드의 O2O 서비스 플랫폼인 '플러스 02O' 내 데일리호텔·야놀자 등 숙박, 그린카 등 렌터카, 배달의 민족 등 배달 서비스 이용 시 5%를 포인트 적립해준다. 캐릭터샵인 카카오프렌즈플래그십스토어에서도 이용금액의 5%를 적립해준다. 전월 이용 실적이 40만원 이상일 경우 포인트는 월 최대 5000점, 80만원 이상이면 월 최대 1만점까지 적립된다. 이 외 카드로 건당 30만원 이상 결제 시 3000점이 적립(월 1회·연 4회)되며 카드 보유 고객이 KB국민은행의 'KB 1코노미 스마트 적금'에 가입하면 0.1% 포인트 우대 이율을 받을 수 있다. 연회비는 별도 국내외겸용카드 발급 없이 국내 가맹점과 JCB의 해외 가맹점 이용이 가능한 케이월드가 1만5000원, 국내외겸용(마스터)은 1만7000원이다. 모바일 단독카드 발급 시에는 각각 9000원, 1만1000원이다.

2017-03-06 10:38:56 이봉준 기자
기사사진
우리카드, '배달의 민족 우리체크카드' 선봬…앱 결제 시 20% 할인

우리카드가 2030세대의 만족도를 높인 배달음식 제휴 카드를 선보인다. 2일 우리카드는 국내 대표 배달음식 주문 앱(App)인 '배달의 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 형제들과 제휴를 맺고 '배달의 민족 우리체크카드'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배달의 민족' 모바일 앱이나 웹에서 결제 시 2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상품은 배달음식 주문 앱과 체크카드의 주 이용층인 2030세대가 선호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탑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위비마켓·G마켓·옥션 등 쇼핑 업종 10% 할인, 스타벅스 20% 할인, 파리바게뜨·베스킨라빈스·던킨도너츠 등 제과 업종 10% 할인,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 영화관람권 10% 할인, 전국 시내버스·지하철 2000원 할인, 휴대전화 요금 3000원 할인 등 혜택을 제공한다. 한편 우리카드는 이달 말일까지 상품 출시를 기념해 카드 발급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총 100명에게 '배달의 민족' 1만5000원 할인 쿠폰 10매를 각각 증정한다. 아울러 오는 6일부터 19일까진 '배달의 민족' 자체 간편결제 서비스인 '배민페이'에서 카드 이용 시 2000원을 추가 할인해준다. 같은 기간 우리카드로 결제하는 고객도 매일 선착순 1000명에 한해 2000원씩 할인 받을 수 있다. 중복 적용이 가능해 최대 4000원까지 할인 가능하다.

2017-03-02 09:30:22 이봉준 기자
기사사진
신한카드, 자녀 학원비 등 최대 10% 캐시백 '신한카드 에듀' 선봬

신한카드가 초·중등 자녀를 둔 부모들을 위해 일반전문학원, 학습지, 유치원 등 교육 업종에서 캐시백 혜택을 제공하는 '신한카드 에듀(Edu)'를 출시했다. 2일 신한카드에 따르면 상품은 교육 업종 결제 시 전월 실적에 따라 최대 10%의 캐시백 혜택이 제공된다. 전월 이용금액별로 50~100만원 미만은 한도 1만5000원 내에서 캐시백 5%, 100~150만원 미만은 한도 3만원 내에서 캐시백 7%, 150만원 이상은 한도 4만5000원 내에서 캐시백 10%가 주어진다. 또한 결제 건수에 따라 추가 캐시백도 제공된다. 월별로 건당 20만원 이상 승인금액에 대해 2건은 3000원, 3건은 4000원, 4건 이상은 5000원 캐시백이 추가로 주어진다. 아울러 아파트 관리비, 마트, 병원, 약국 등 업종에서도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아파트 관리비 자동이체 시 당월 교육 업종의 결제가 있는 경우 매월 5000원 캐시백이 별도로 제공된다. 홈플러스·이마트·롯데카드 등 마트와 병원·약국 등 의료업종 결제 시에는 1% 캐시백이 제공된다. 업종별 캐시백 혜택은 전월 신판 이용금액이 50만원 이상일 경우 제공된다. 다만 교육 업종 이용금액은 제외다. 온라인 거래는 적용되지 않는다. 연회비는 해외 브랜드 S&이 2만원, 마스터가 2만3000원이다. 한편 신한카드는 신상품 출시를 기념하여 학부모 대상으로 작가 조승연, 교수 데니스 홍 등 자녀교육 강연을 제공한다. 오는 5월 말까진 아파트 관리비 캐시백 이벤트도 진행한다.

2017-03-02 09:29:33 이봉준 기자
기사사진
하나카드, 3월 1·11일 이틀 간 하나머니 파격 적립

하나카드는 3월 1일과 11일 단 이틀 간 하나머니를 파격적으로 적립해주는 하나데이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하나카드 인터넷 홈페이지 또는 1Q페이 앱(App)에서 응모 후 '하나'를 뜻하는 1이 들어가는 1일과 11일 하나카드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하나머니를 적립해준다. 하나카드는 먼저 하나데이에 5000원 이상 결제한 승인번호 중 숫자 1이 가장 많이 포함된 고객 한 명에게 111만1111 하나머니를 적립(럭키 하나머니)해준다. 또한 하나데이에 결제 금액이 가장 많은 고객 한 명에겐 100만 하나머니, 2~11등까지는 10만 하나머니, 12~111등까지는 1만 하나머니를 증정(하나데이 구매왕)한다. 아울러 하나데이 이틀 동안 카드를 이용한 금액을 합산하여 10만원, 20만원 이상 결제한 고객 가운데 1000명을 추첨하여 각각 1000 하나머니, 2000 하나머니를 증정(하나머니 적립 추첨)한다. 단 럭키 하나머니와 하나데이 구매왕 혜택은 서로 중복이 불가하지만 하나머니 적립 추첨은 각각 중복이 가능하다. 임완수 하나카드 회원마케팅부장은 "고객들이 카드를 사용하면서 혜택을 체감하고 즐거움도 느낄 수 있는 하나데이 이벤트를 앞으로도 꾸준히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2017-02-28 09:50:19 이봉준 기자
기사사진
앱 이용자 편의성 높인다…KB국민카드, 통합 모바일 앱 선봬

KB국민카드가 통합 모바일 앱(App)을 선보인다.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화면에 메뉴 구성까지 이용자 편의성을 제고했다는 설명이다. 27일 KB국민카드는 기존 모바일홈·앱카드·전자지갑 등 3개로 나눠 운영해 온 모바일 앱을 하나로 통합했다고 밝혔다. 카드 이용내역이나 O2O 서비스 등 다양한 정보·혜택·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통합 KB국민카드 앱에는 먼저 잠금번호(6자리)·앱카드 결제비밀번호(6자리)·지문인증 등 간편 로그인 기능이 추가됐다. 기존 3개 앱에서 중복 제공해 온 167개 메뉴들을 통합하여 절반 수준인 80개로 줄이는 등 앱 이용자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고객 중심의 화면·메뉴 구성(UI)으로 각종 거래 절차를 간편하게 이용(UX)할 수 있도록 했다. 카드 이용 내역 등 정보 확인이 가능한 'My KB', 포인트·마일리지 등 관련 혜택을 살피는 '혜택', 장단기 카드대출 조회 등 금융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앱카드 등록과 결제가 가능한 '앱카드' 등 주요 4개 메뉴를 상단에 배치하여 고객들이 필요한 서비스를 쉽게 찾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장애인을 위한 접근성 지침도 준수하여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자막을 제공하고 본문 텍스트를 확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KB국민카드 관계자는 "이번 통합 모바일 앱 출시로 모바일 환경에서 카드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때 여러 개의 앱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며 "고객 카드 생활의 모든 서비스 경험을 아우르는 진정한 의미의 통합 앱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다양한 니즈와 모바일 트렌드를 적극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2017-02-27 09:08:43 이봉준 기자
기사사진
'큰손' 中관광객, 지난해 전체 외국인 소비의 60% 차지

국내 외국인 관광객, 단체→개별 관광으로 변화 양상 지난해 전체 외국인 관광객 가운데 중국 관광객의 국내 소비 비중이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남아 국가 중심으로 소비 증가세도 뚜렷했다. 23일 신한카드가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분석한 '2016년 외국인 신용카드 국내 지출액'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관광객의 신용카드 지출액은 8조3232억원으로 전체 외국인 지출액(13조7400억원)의 60.6%를 차지했다. 전년(5조6929억원)과 비교해선 46.2%나 증가했다. 이어 일본 1조8955억원, 미주 1조5153억원 순이었다. 동남아 국가의 증가세도 눈에 띄었다. 지난해 대만 관광객이 국내서 2605억원을 소비하며 전년 대비 67.1%나 증가했다. 이어 태국 관광객이 1654억원, 베트남 관광객이 597억원 등으로 각각 전년 대비 소비가 38.4%, 63.8%씩 증가했다. 최근 5년간 국내에서 외국인이 이용한 신용카드 금액은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 2012년 6조3350억원에서 지난해 13조7400억원으로 약 2.2배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전년 10조4152억원 대비 31.9%나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쇼핑(52.6%)에 가장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숙박 22.2%, 요식 9.1%, 교통 3.9% 순이었다. 다만 쇼핑의 경우 단체 관광객이 이용하는 면제점·관광상품 업종은 지난 2012년 52.0%에서 2016년 40.0%로 비중이 감소한 반면 개별 관광객이 주로 이용하는 할인점·편의점 등 업종은 같은 기간 5.8%에서 11.2%로 증가했다. 이 같은 개별 관광객의 증가세는 이용업종의 다양화와 이용지역 확대로까지 이어졌다. 국내 외국인 관광객의 요식, 교통 등 소비액은 전년 대비 각각 46.6%, 33.0%씩 증가했고 체험과 스포츠 역시 각각 35.7%, 33.9%씩 확대됐다. 특히 요식 업종 중 커피전문점·제과점, 한식 이용 증가율이 각각 전년 대비 61.9%, 55.9%로 높게 나타났다. 교통 역시 철도와 고속버스가 59.1%, 41.6%로 전년 대비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이는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개별관광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설명했다. [!{IMG::20170223000082.jpg::C::480::위성호 신한카드 사장은 23일 "해외 관광객 유치가 국내 내수활성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기 때문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외국인 카드이용소비 분석 결과는 관련 업종 종사자들에게 좋은 정보가 되고 있다"며 "향후 외국인 관광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현장감 있는 관광정책 수립 지원을 위해 더욱 고도화된 빅데이터 분석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신한카드}!]

2017-02-23 13:28:43 이봉준 기자
기사사진
신한카드, 2017 고객패널 운영…DT패널 신설

신한카드는 지난 23일 서울 남대문로에 위치한 알로프트호텔 행사장에서 2017 따뜻한금융 고객패널 발대식을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신한카드 고객패널 제도는 고객 중심의 경영활동을 바탕으로 고객과의 소통을 확대하고 소비자보호 관점의 제도 및 업무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된다. 올해 고객패널은 신한카드의 2017년 전략방향인 DT드라이브에 걸맞게 기존 서포터즈 패널과 별도로 DT패널을 신설했다. 서포터즈 패널은 20대에서 60대까지 전 연령을 아우르는 패널로 신한카드 전체 상품과 서비스 등에 대한 모니터링과 조언을 하게 된다. 소비자보호 관점의 신상품 출시 전 사전점검·상품약관·서비스 등 거의 모든 업무 영역의 개선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DT패널은 디지털 관련 분야 전문 패널로 이 분야에 관심이 많은 20대 회원으로 구성됐다. 신한카드가 진행하고 있는 디지털 신기술 접목한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살피게 된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고객을 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고 제도 및 업무 처리 과정을 개선해 고객을 먼저 생각하는 고객 중심의 신한카드가 될 것"이라며 "특히 전사적으로 DT드라이브를 강조하고 있는 만큼 신한카드의 디지털 역량 강화에 DT패널의 역할도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신한카드의 DT드라이브는 디지털 혁신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Digital Transformation), 데이터 기술 시대의 선도(Data Technology), 기존과 다른 생각으로 새로운 도전을 지속(Different Thinking&Try) 등을 추진하여 BIG to GREAT를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2017-02-23 10:32:03 이봉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