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발급, 6년만에 1억장 아래로 떨어져
국내 신용카드 발급량이 2008년 이후 처음으로 1억장을 밑돌았다. 9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하나SK카드, 우리카드, 비씨카드 등 7개 전업 카드사의 신용카드 발급량이 9900여만장으로 추정됐다. 이는 2008년 9624여만장 이후 6년만이다. 국내 신용카드는 2009년 1억699만장을 기록한 이후 2010년 1억1658만장, 2011년 1억2213만장, 2012년 1억1623만장, 2013년 1억203여만장 등으로 1억장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다. 하지만 최근 KB국민카드와 롯데카드, 농협카드에서 발생한 개인 정보 유출 사고로 고객들의 탈회가 이어졌고 신규발급 수도 줄어들면서 전체 카드발급량이 급감한 것으로 분석된다. 카드 업계는 체크 카드 활성화와 휴면 카드 정리 등에 따라 올해 1~2월에 신용카드 발급이 300만장 가량 줄어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제활동인구 1인당 보유 신용카드 역시 지난 2월 말 기준 3.9장 수준으로 2007년 처음으로 4장 미만으로 떨어졌다. 여기에 카드 발급 기준이 까다로워지면서 카드를 새로 발급하는 건수도 갈수록 줄고 있는 것. 앞서 금융당국은 신용등급이 7등급 이하거나 월 가처분소득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카드발급을 제한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신용카드 발급 감소세를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사용하지 않는 신용카드의 신속한 정리와 함께 카드사들의 과도한 카드 상품 출시도 제한하기로 했다. 신용카드 부가혜택 변경도 기존 1년에서 최대 5년까지 늘려 카드사들이 카드 고객 유치를 위해 과당 경쟁을 못하도록 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그동안 과도하게 발급됐던 신용카드가 차츰 정상을 찾는 상황"이라며 "일부 카드사 영업정지를 계기로 시장 점유율 제고를 위한 카드 업계의 과도한 마케팅 확대 등 과열경쟁이 유발되지 않도록 지도하고 이번 카드정보 유출사고를 계기로 카드시장의 건정성 및 신뢰도 제고 등 구조개선을 위한 각종 노력도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