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공사·주택금융공사에 쌓인 '캠코더'… 관치금융 지적 쇄도
[b]자산관리·주택금융公 임원 중 캠코더 비율 70% 육박[/b] [b]야권 안팎에선 '관치금융' 우려의 시선 보내기도[/b] [b]바른미래 "文정부 낙하산 인사는 혈세 낭비"[/b] [b]예금보험공사 임원진도 캠코더로 빠르게 채워지는 중[/b] 금융공공기관에 이른바 '캠코더 인사'들이 급속도로 쏠리는 모양새다. '캠코더 인사'란 '문재인 대통령 대선캠프 인사·여권 성향 시민단체 인사·더불어민주당 출신 인사'를 일컫는 말이다. 캠코더 인사들이 쏠린 금융공공기관으로는 자산관리공사·주택금융공사가 눈에 띈다. 이들 금융공공기관에 캠코더 인사들이 자리매김했음은 바른미래당 정책위원회가 최근 공개한 '공공기관 기관장·상임이사·비상임이사 전수조사'로 인해 드러났다. 바른미래당 정책위는 작년 9월 '친문 낙하산 공공백서'를 통해 365명의 낙하산 인사 명단을 공개했다. 이번 전수조사는 '작년 9월' 1차 발표 이후 '그해 12월31일'까지의 추가 내용인 셈이다. 이 자료에 따르면, 자산관리공사·주택금융공사 총 임원진 중 캠코더 인사의 비율(문재인 정부 출범 후 작년 말까지)은 70%를 육박한다.[메트로신문 3월5일자 <文정부 출범 후 340개 기관에 434명 낙하산> 기사 참고] 우선 자산관리공사다. 자산관리공사 총 임원 16명 중 문재인 정부 때 임명된 임원 수는 12명이다. 그중 캠코더 인사는 8명이다. 이는 총 임원의 67%를 차지하는 수치다. 바른미래당이 공개한 자산관리공사 내 캠코더 임원진은 엄광섭 감사, 천경미·제정부·이유태·박성현·안태환·정권영·임춘길 이사 등 8명이다. 엄 감사는 행정부 출신 관료 낙하산을, 천 이사는 최흥식 전 금융감독원장 측근 낙하산을, 임 이사는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회 낙하산으로 각각 분류됐다. 나머지 이사들은 부산에 연고를 둔 인물들로 지역쏠림 우려를 유발했다. 이와 관련 최 전 금감원장은 문재인 정부 초대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전 정책실장의 측근으로 정평이 났다. 경기고등학교 1년 선후배 사이로 친분이 두텁다는 게 중론이다. 실제 장 전 정책실장이 정책실장 재직 시 금융감독원장직에 최 전 금감원장을 추천했다. 다만 최 전 금감원장은 본인이 하나금융지주 사장이던 지난 2013년, 대학동기의 아들을 하나은행에 채용특혜를 준 의혹으로 금감원장직을 내려놨다. 다음은 주택금융공사다. 주택금융공사 총 임원 14명 중 문재인 정부 때 임명된 임원 수는 10명이다. 그중 캠코더 인사는 7명이다. 이는 총 임원의 70%를 차지하는 수치다. 바른미래당이 공개한 주택금융공사 내 캠코더 임원진은 이정환 사장, 김민호 부사장, 이동윤 상임감사, 박정배 상임이사, 손봉상·최동원·조민주 비상임이사 등 7명이다. 이 사장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부산 남구갑 후보로 출마해 낙선한 이력의 소유자다. 김 부사장은 한국은행 퇴임 임원 낙하산이고, 박 상임이사는 부산시 관료 낙하산, 최 비상임이사는 금융위원회 추천 낙하산이다. 이 상임감사와 조 비상임이사는 문재인 대통령 대선캠프 낙하산이고, 손 비상임이사는 노무현재단 낙하산이다. 그뿐인가. 예금보험공사에도 빠른 속도로 캠코더 인사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다. 예금보험공사 총 임원 13명 중 문재인 정부 때 임명된 임원 수는 7명이다. 그중 캠코더 인사는 3명이다. 이는 총 임원의 43%를 차지하는 수치다. 눈여겨볼 점은 작년 9월부터 12월 사이에 빠르게 2명에 임원이 추가된 것이다. 바른미래당이 공개한 예금보험공사 내 캠코더 임원진은 위성백 사장, 김용기·강계두 비상임이사 등 3명이다. 위 사장은 민주당 수석전문위원을 지낸 낙하산이고, 김 비상임이사는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출신 낙하산, 강 비상임이사는 광주광역시 경제부시장을 지낸 낙하산이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6일 창원에서 열린 현장최고위원회의 때 "한마디로 낙하산 인사에 관련해서는 문재인 정부가 박근혜 정부보다 한 수 위"라면서 "바른미래당은 작년 9월 이미 친문낙하산 공공백서를 발표했고 캠코더 인사의 시정을 요구했다. 그러나 (당 정책위원회가) 5일 (작년 공공백서 발표) 이후 일어난 상황을 조사해보니 캠코더 인사가 더욱 심해졌다. 그 속도가 낙하산을 넘어 이제 수직강하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윤용호 자유한국당 부대변인도 6일 메트로신문과의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분명 2017년 대통령직 취임사를 통해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고 결과는 정의로울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공공기관 임원진 이력을 살펴보면 한숨이 나온다. 관치금융을 펼치려는 게 아니면 왜 이런 인사들이 임원진으로 임명된 것인지 이해가 안 된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