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의 반란·탈스펙 바람···‘실속채용’ 붐
구직난 속 구인난, 채용규모 양극화, 고졸채용 증가. 올 한해 취업의 현주소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올 한 해 취업시장 이슈들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중소기업 구인난은 여전=고용노동부의 10월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를 보면 국내 모든 기업의 미충원 인원 9만3000명 중 92.5%가 중소기업에 쏠렸다. 구인-구직 미스매치로 인한 고통이 중소기업에 집중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채용규모는 소폭 증가=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100인 이상 기업 435개사를 대상으로 '2013년 채용동태와 전망'을 조사한 결과, 신규인력 채용규모는 전년에 비해 2.8%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대기업이 3.2%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은 오히려 4.9% 줄어 채용 양극화 현상은 더욱 극심해졌다. ◆고졸 채용 증가율 대졸 앞서=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고졸 신규 채용 규모는 지난해보다 소폭(5.1%) 증가했다. 이는 대졸 채용 증가율(1.8%)보다 3.3% 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일자리 수도권 집중=통계청 취업자수를 분석한 결과, 올 3분기(7~9월) 취업자수는 경기(609만6000명, 24%)가 가장 많았다. 서울(512만4000명, 20%), 부산(164만6000명, 6%), 경남(163만6000명, 6%), 인천(146만명, 6%), 경북(141만6000명, 6%), 대구(118만9000명, 5%), 충남(118만6000명, 5%) 등이 뒤를 이었다. 수도권이 전체 취업자의 50%에 달하는 셈이다. ◆탈스펙 바람 거세=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166명을 대상으로 '채용 시 스펙 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인 51.8%가 '필요하지 않다'라고 답했다. 특히 신뢰도가 낮은 스펙으로는 '출신학교(학벌)'(39.5%), '학점'(38.4%), '토익 등 공인어학성적'(33.7%), '학력'(31.4%), '해외경험'(19.8%) 순이었다. 이에따라 탈스펙 전형을 도입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다. SK와 KT는 올해 오디션 방식을 도입했고 현대자동차는 길거리 캐스팅이라는 이색 채용을 진행해 구직자들의 큰 호응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