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루쌀로 만든 볶음면·만두·음료 등 하반기 줄지어 출시
올해 하반기부터 다양한 가루쌀 제품이 출시된다. 정부는 그간 가루쌀 제품 개발 및 가공기술의 확산을 지원하고, 빵·과자 제조에 적합한 쌀 재배면적 확대를 추진해 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7일 '가루쌀 제품화 패키지 지원사업'이 한창이라며, 식품·외식업체가 개발한 라면·만두·음료 등 다양한 가루쌀 신제품들이 출시를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쌀 품종은 전분 구조가 성글기 때문에 가루를 내기에 적합하다. 제면·제과·제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식품 원료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는 쌀 공급과잉 해소와 수입 밀 의존도 감소를 목적으로, 지난해부터 가루쌀을 활용한 제품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농심과 삼양, 피자알볼로, 런던베이글 등 30개 업체가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국산 햇가루쌀을 활용한 제품을 각 사가 연내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가루쌀의 쫄깃한 식감을 살려 농심은 찜닭맛 볶음면, 하림산업은 어린이 라면, 런던베이글은 단팥 베이글을 이미 출시했다. 피자알볼로는오는 7월 가루쌀을 넣은 피자 도우, CJ제일제당은 만두를 출시할 계획이다. 또 사조동아원은 가루쌀이 기름을 적게 흡수해 건강하고 바삭하다는 장점을 살려 부침·튀김가루를 출시했고, 삼양은 냉동 군만두와 치킨을 선보일 예정이다. 농협식품은 글루텐이 들어가지 않은 과자류, 신세계푸드는 비건음료를 7월 중 출시한다. 하반기에 보다 다양한 쌀 가공식품이 시장에 나올 전망이다. 박수진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지난 18일 농심을 방문한 자리에서 "정부는 안정적인 원료 생산기반 조성, 제품 개발, 판로 확충 등 전방위적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식품기업의 적극적인 제품 개발을 당부했다. 농식품부는 제품 개발과 가공기술 확산 지원은 물론, 재배면적을 확대하는 등 가루쌀 산업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보다 97개소 늘어난 135개 가루쌀 전문 생산단지를 모집했다. 오는 10월 수확기까지 물관리 및 병해충 방제 등 안정적 생산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식품·외식업계에 제품개발, 연구개발(R&D), 판로확충 등을 지원하는 등 농가와 식품기업에 모두 도움이 되는 가루쌀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업계에 약속한 바 있다. 가루쌀이 수입밀을 대체하는 새로운 식품 원료로, 식량안보 강화 및 쌀 수급균형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는 게 농식품부 측 설명이다. 정부는 지난달 1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함께 서울 송파구 가락몰에서 '2024년 가루쌀 제과제빵 신메뉴 품평회'를 개최하는 등 올해 들어 제과·제빵업계의 가루쌀 도입 확산에 더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